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서울시의회의 정책 수립과 추진 역량 제고를 위한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Exploring the Measures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 of Seoul City Council for the Governance / 한희정 ; 남인용 1

[요약] 1

1. 문제제기 2

2. 기존 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1) 정책소통 연구 3

2) 거버넌스와 시의회 정책소통 연구 6

3) 서울시 정책소통 제도 8

3. 연구방법 및 연구문제 10

4. 분석 결과 13

1) 주민 밀착형 정책소통 13

2) 의결 · 심의 · 감사 중심의 정책소통 17

3) 정책소통을 위한 제언 22

5. 결론 및 제언 27

참고문헌 32

Abstract 3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SNS인게이지먼트와 지각된 침입성이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SNS Engagement and Perceived Intrusiveness on the Advertising Avoidance in Social media Native-Ads : 페이스북 네이티브 광고를 중심으로 서상희 pp.151-196

보기
대통령 선거에서의 '서민' 담론과 미디어의 담론 정치 = The Common People : The Politics of Discourse in Korea's Presidential Elections : 제16, 17, 18대 대통령 선거 보도를 중심으로 이종명 pp.119-149

보기
여대생들의 성형외과 OOH(Out-of-Home) 광고 불쾌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선행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실증 연구 =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Antecedents of Irritation by Plastic Surgery Out-Of-Home(OOH) Advertising 박진우, 이형민 pp.7-38

보기
스피치 교육에서 영화 활용의 효과 = The Effect of Using Film in Speech Education 김초희, 염정윤, 김류원, 정세훈 pp.197-227

보기
영화 취향과 소비 연구의 비판적 성찰 = Critical Reflection on Film Taste and Consumption Research : Focusing on research trend in Korea since 2000 : 2000년 이후 국내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이상길 pp.229-261

보기
소통 교육과 창의성 = Communication Education and Creativity : The Effect of a Creative Communication Cours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s : 이공계특성화 대학의 커뮤니케이션 수업과 창의성 증진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진영 pp.329-355

보기
한국 및 중국 대학생의 뉴스 이용 집중 결정 요인 비교 = Determinants of the Degree of Concentration for News Us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이용 장르, 디바이스, 시·공간 차원을 중심으로 왕소, 전범수 pp.91-117

보기
소통의 미학으로 본 ≪금오신화≫ = 'Geumo-Shinhwa'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 : Focused on 'Chwiyu-Boobyuckjeong-Gi' : <취유부벽정기>를 중심으로 이근용 pp.263-292

보기
한류 콘텐츠 소비와 유학생활로 형성된 한국에 대한 프레임과 문화변용 연구 = A Study on the Frame for Korea formed by Consumption of Hallyu content, study abroad life and acculturation : Focused on the Case of Chinese Student in Korea : 한국 체류 중국 유학생 사례 중심으로 분석 석화윤, 정정이, 남윤재 pp.39-90

보기
서울시의회의 정책 수립과 추진 역량 제고를 위한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Exploring the Measures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 of Seoul City Council for the Governance 한희정, 남인용 pp.293-328

보기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원택 (2014). 총론: 지방자치를 보는 새로운 시각. 한국 지방자치의 현실과개혁 과제 (13-39쪽).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미소장
2 권상희, 박기성, 서경선, 남인용, 하봉준, 한희정 (2016). 서울시 정책소통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미소장
3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oul Metropolitan Council's Activities 소장
4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 : 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소장
5 A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Policy Communication with Policy Support in relation to the 2018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소장
6 김의영 (2014). 거버넌스의 정치학. 서울: 명인문화사. 미소장
7 The Study on Grouping PR System of Self-Governing Administration for Residents Understanding 소장
8 An Analysis on Influence of SNS Activation on Local Government PR: Focused on SNS Utilization Conditions in Daegu City 소장
9 김찬동, 김정욱 (2011). 서울시 정책홍보의 효과성 제고방안.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미소장
10 나미수 (2013). 미디어 수용자연구하기. 한국언론정보학회 (역) (2013). 미디어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263-300쪽). 서울: 컬처룩. 미소장
11 박덕병 (2007). 농정의 거버넌스(민관협치) 현황과 과제. 지역과 농업, 2호, 17-62. 미소장
12 A Study on the Tourism Policy-network in Local Governments : Focused on Self-Governing Province's Policy-making Participant 소장
13 유창복 (2015). 협치,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하여. 협치,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하여 (3-28쪽). 서울특별시 협치서울추진단. 미소장
14 이연택, 김형준 (2014). 경찰제도에 대한 정책PR, 정책이해, 정책지지 간의 관계구조 분석. 관광경영연구, 18(2), 1-24. 미소장
15 지방의회의 의정활동 평가 소장
16 이충열 (2010). 서울시의회 정책홍보전략 연구: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정병순, 김다경, 김영은, 이홍택 (2015). 서울형 거버넌스 모델 구축방안. 협치,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하여. 서울특별시협치서울추진단. 미소장
18 언론의 지방의회 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한 의정PR 연구 : 서울시의회를 중심으로 소장
19 (The)Influence of Policy PR on Policy Efficacy and Policy Support in Regional Convention Industry Policy 소장
20 A Study on the Hindrance Factors in Development of Korean Local Government System - Center on the Rel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 소장
21 한국능률협회컨설팅 (2014). 서울시 정책 홍보효과 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특별시. 미소장
22 한상진 (2009). 소통사회학의 도전과 과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455-476. 미소장
23 홍주현 (2016). 순환적 의제설정과정을 통해 살펴본 서울 시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연구: 의제설정과정 참여자들의 메시지에 대한 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동서언론연구, 18호, 18-42. 미소장
24 Developing the Public Dialogue Evaluation Model for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소장
25 2012희망서울정책박람회백서 (2012). 97일간의 기록. 서울특별시. 미소장
26 2013희망서울정책박람회백서 (2013). 서울을 바꾸는 천만의 생각. 서울특별시. 미소장
27 2014정책박람회백서 (2014). 서울 귀를 열고 시민 입을 열다. 서울특별시. 미소장
28 2016함께서울정책박람회백서 (2016). 시민의 삶과 마음을 담다. 서울특별시. 미소장
29 Mason, J. (1996). Qualitative Researching. 김두섭 (역) (1999).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나남. 미소장
30 강현석, 이종섭 (2017, 4, 3). 3선 지자체장 3명 중 2명 “지방분권, 낙제점”.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4022214005&code=940100 미소장
31 서울시 시민예산참여반 (2017, 8, 21). 허투루 쓰지않게…내년예산 555억 시민투표로 결정. 뉴스레터 내손안에 서울. URL: http://mediahub.seoul.go.kr/archives/1106612 미소장
32 서울시의회 홈페이지 http://www.smc.seoul.kr/main/index.do 미소장
33 임진수 (2016, 11, 27). 박원순, “시민중심 협치가 서울의 문제 해결 열쇠”, 서울시, 협치서울 시민대회 가져. 미디어어스. URL: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644 미소장
34 조용훈 (2016, 11, 23). 문제 해결의 열쇠는 ‘협치’... 협치서울선언문 발표. 뉴스토마토. URL: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710220 미소장
35 혁신파크 홈페이지 https://www.innovationpark.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