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비 지출 금액이 운동을 통해 개인이 느끼는 주관 건강을 매개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 10,451명 노인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노인의 만성질환상태에 따른 의료비 지출 금액이 운동과 주관적 건강이 영향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일수록, 주관적 건강이 낮을수록 의료비 지출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성질환 수가 적을수록, 운동을 하는 노인일수록 주관적 건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성질환이 적을수록 운동에 참여하고, 운동을 할수록 주관적 건강이 증진되어 의료비 지출액이 감소하였다. 즉, 운동이 만성질환과 의료비 간의 관계에 대해 주관적 건강을 거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비 지출금액, 운동, 주관적 건강과의 관계는 장기적인 노인 건강 증진을 위해 운동을 통한 건강증진행위와 주관적 건강을 높일 수 있는 심리교육이 함께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노인의 건강과 의료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of the elderly and medical costs :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and self-rated health : 운동과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진선, 임지은, 조시울, 신혜리, 박설우 | pp.1-18 |
|
|
1972년 이전 체육특기자제도의 궤적 = Trajectories of the Sport-specialty Student System before 1972 : The Entrenchment of Sports Scouting Practice within the Nationa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 입시제도 안에 구축된 스카우트 관행 | 한승백, 탁민혁 | pp.19-45 |
|
|
영화<글러브>에 나타난 청각장애학생선수들의 사회화경험 = Socialization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Student-Athletes in the film <G-love> | 김한비, 임수원, 권기남 | pp.47-67 |
|
|
대학 응원동아리의 활동과 의미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A Study on Ethnographic on the Activities and Meanings of College Cheerleading Club | 백정민, 구남호 | pp.69-8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on Daily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 소장 |
2 | The Effect and Policy Implication of Elderly Fitness Programs | 소장 |
3 |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the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Activity of the Elderly. ![]() |
미소장 |
4 | 김미해, 김소희(2002). 만성질환 노인의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48, 150-178. | 미소장 |
5 | The Relationship among the Sports-for-All Participa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Medical Expense of the Elderly | 소장 |
6 |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 | 소장 |
7 | 김양례(2006).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상태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17(4), 125-137. | 미소장 |
8 |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 |
미소장 |
9 |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소장 |
10 | Relationship of Self-perceived Heal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Life Style Pattern on Elder's | 소장 |
11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 Health con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 소장 |
12 |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Expenditure of Different Household Type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 소장 |
13 |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e among Korean Elderly: Analysis of 2012 and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소장 |
14 | The Relationship on an Isokinetic for the Ankle Joint Muscular and Anaerobic Power on the Record of Elite Short Speed Skating Athletes | 소장 |
15 | 만성질환 보유 노인의 의료비 부담 및 의료 미이용 경험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관계에 관한 연구 | 소장 |
16 | 백현희, 김정자(2013). 도시와 농촌 간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에 따른 삶의 질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3), 75-86. | 미소장 |
17 | 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 소장 |
18 | Factors Influencing Self-Rated Health in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 소장 |
19 |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련성 연구 | 소장 |
20 | 윤민지, 유성경(2013).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에서긍정사고, 의미발견 및 의미추구의매개효과 검증: 대학생을 중심으로. Korea Journal, 21(1), 147-167. | 미소장 |
21 | Panel Data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mong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 소장 |
22 |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Exercise Compliance among Elderly Adults at Senior Centers ![]() |
미소장 |
23 |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 소장 |
24 | An Applicatio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 소장 |
25 | 이진향, 오미옥(2017).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인식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2), 429-438. | 미소장 |
26 | 노인의 건강상태와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 소장 |
27 |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Examination and Personal Medical Cost through Panel Survey | 소장 |
28 | Factors Associated with Incidence and Recurrence of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South Korea | 소장 |
29 |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ve symptoms and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 소장 |
30 | Effects of Regular Walking Exercise on Health-Related Parameters in Persons with Chronic Diseases | 소장 |
31 |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애, 박보미(2012).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32 | 고령자의 복합만성질환 분석 : 외래이용을 중심으로 ![]() |
미소장 |
33 | 노인의료비 지출의 결정요인 | 소장 |
34 | 정청희, 김병준(1999). Sports 심리학의 이해. 서울: 금광출판사. | 미소장 |
35 | The Process of Change,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Subjective Health by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among Older Adults | 소장 |
36 | 최성은(2016). 흡연자의 의료비 지출과 흡연이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정학회, 9(2), 1-21. | 미소장 |
37 |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 소장 |
38 | 하귀염(2016). 건강행태와 의료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 미소장 |
3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40 | 허철무, 안상현(2014). 인문, 사회과학편: 신체활동 참여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안녕감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3(6), 357-369. | 미소장 |
41 |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in Sedentary Older Adults | 소장 |
42 | 황연희(2011). 한국 의료패널로 본 한국노인들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지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2, 51-59. | 미소장 |
43 |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able health risks and group-level health care expenditures. Health Enhancement Research Organization (HERO) Research Committee. ![]() |
미소장 |
44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
미소장 |
45 |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finition of health: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 |
미소장 |
46 | Carver, C. S. (2007). Stress, coping, and health. In H. S. Friedman & R. C. Silver (Eds.), Foundations of health psychology (pp. 117-144). New York, NY: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7 | Exercise, Mobility and Aging ![]() |
미소장 |
48 | An interactive perspective on the health beliefs & practices of rural elders. ![]() |
미소장 |
49 | Fehir, J. S. (1988). Self-rat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motivation, and selected demographics as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behavior in men 35 to 64 years old: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Dissertation.. | 미소장 |
50 | Social Context and Self-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 |
미소장 |
51 | Health benefits: Meta-analytically determining the impact of well-being on objective health outcomes ![]() |
미소장 |
52 | Jones, R. S., & Yoo, B. (2010). Korea's green growth strategy: Mitigating climate change and developing new growth engines. OECD Economic Department Working Papers, (798), 0_1. | 미소장 |
53 | Jones, R. S. (2010). Health-care reform in Korea. OECD Economic Department Working Papers, (797), 0_1. | 미소장 |
54 | A Panel Study on Determinan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f the Middle- and Old-Aged Households | 소장 |
55 | Correlates of subjective health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 |
미소장 |
56 | Rowe, J. W.,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The MacArthur foundation study. New York: Pantheon. | 미소장 |
57 |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 |
미소장 |
58 | Ware, J. E. (1987).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Journal of chronic diseases, 40(6), 473-48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