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일제 식민지 시대를 거친 한국과 비슷한 상황들이 배경이 된 작품들을 통해 다양한 양상의 내러티브 패러다임의 중요성을 벤 오크리와 마이클 온다치의 문학 작품들을 통해서 살펴보고 포스트 식민주의 기간 중 시대의 아픔을 작품 속에서 어떠한 미학적 접근 방식을 추구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서술되고 표현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다양한 수사학적 기법들을 볼 수 있었고 포스트 식민주의 내러티브를 통해 다양한 수사학적 표현 및 스토리텔링들이 차용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포스트 식민주의 시대의 젠더에 관한 다양한 양상들과 표현들도 다양한 수사학적 기법들과 함께 보여 주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주의 및 포스트 식민주의의 영향으로 주인공들이 겪는 갈등과 담론을 차별화된 내러티브의 개연성으로 묘사된 부분과 다양한 기법의 서술형식을 빌어 주인공들의 관계를 묘사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나이지리아 출신인 벤 오크리의 『굶주린 길』에서 작가는 요루바 신화의 혼령아이를 1인칭 화자로 등장시킴으로써 독특한 서술형식의 소설을 선보이고 있다. 주인공 아자로의 가족을 통해 독립 이후 아프리카 사회의 폭력, 탐욕, 불신, 분열 등을 초현실적인 상황 묘사를 통해 접근 하였다.

마이클 온다치는 『영국인 환자』와 『아닐의 유령』을 통해 푸가 스타일, 불완전하거나 무정형의 형식을 선보인다.

본 연구는 두 작가가 식민지 이후의 시대의 재해석을 통해 전쟁이나 독립 이후 사회의 혼란상을 효과적으로 서술한 기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포스트 식민주의의 시대를 살아낸 주인공들의 내면세계의 묘사에 대한 서술적 기법을 살펴보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arrative techniques between two authors who has postcolonial historical background.

There are studied two studied parts of narrative techniques which are how to develop the storytelling in postcolonial period. The first subject is mainly focused on rhetoric approach for the texts in postcolonial period and the next is about gender approach for the text in postcolonial period. Both approaches are apparently effected to express about postcolonial societies in postcolonial period and to deliver the situations of postcolonial period to the reader.

There are various fragmentary, amorphous patterns, fugue styles, and storytelling devices used to develop the complic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The varied language of each writer forms a significant element of their works. Their language is fully descriptive and both authors create a visual empirical reality, albeit through the use of imagined events.

Okri’s The Famished Road and Ondaatje’s The English Patient and Anil’s Ghost were all identified to possess a similar postcolonial approaches with various narrative techniqu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권념요록(勸念要錄)』의 국어사적 고찰 = A study of『Gwonnyeomyorock(勸念要錄)』 김무봉 pp.7-41

龍巖 朴雲의「巡狩賦」에 나타난 志向意識 = The structure and relm in Yongam Park woon's the poetical prose of royal tour 李九義 pp.43-74

應製詩의 관점에서 살펴본『帝王韻紀』와 李承休의 역사인식 = A Study of LeeSeunghyu's『JewangUngi(帝王韻紀)』& He's Historical consciousness 강석근 pp.75-102

멀티 플랫폼 환경의 웹드라마 스토리텔링 특성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Web Drama produced by terrestrial broadcasters in Multiplatform Environment : MBC 제작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고선희 pp.103-132

소명의식으로서의 詩 創作과 시적 대상으로서의 自然 = A study on the poetry of Yoon Dong-Joo : 尹東柱論 金美延 pp.133-161

조선시대 숙종 시기의 성균관 좨주(祭酒) 논고 = A study on the Sungkyunkwan JoaeJu in the time of Sukjong in the Joseon Dynasty 張在天 pp.163-180

龍州 趙絅의 대일인식 = Yongju Jo Gyeong's Perceptions of Japan 방기철 pp.181-208

조선 후기 순원왕후와 안동 김문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 = Re-evalu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Queen Soonwon and the Andong Kim fami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박주 pp.209-239

天符經의 정신철학을 계승한 老子의 道와 철학의 체계적 이해 = Understanding Dao and Philosophical Structure of Laotzu Inheriting the Spiritual Thought of Cheonbugyeong 金益洙 pp.241-277

李濟馬의 慧覺과 資業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HeaGag(慧覺)and JaEop(資業)of Lee Jema(李濟馬) 박찬두 pp.279-307

『석문의범』과『의례준칙』의 상례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funeral rites for the Sukmooneuibhum(釋門儀範)and the Euireajunchik(儀禮準則) : 의례에 대한 관점으로 南勝鉉 pp.333-357

초등학교 고학년의 효에 대한 인식 = (A) Study on Awareness of the Concept od filial duty in Elementary school grades 5-6 윤정노 pp.359-383

지역축제와 문화콘텐츠의 실현 = Local Festivals and Re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이혜경 pp.385-410

成人學習者의 學歷取得經驗을 통한 인간의 성숙 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uman Maturation Based on Academic Qualification Attainment of Adult Learners 양숙현 pp.411-437

TV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 재현된 가부장 이데올로기 고찰 = A study on the patriarchal ideology reenacted in TV drama <Dear My Friends> 윤복실 pp.439-466

『관자』의 직업사상 = Guanzi(管子)'s Thoughts on Occupation 정영근 pp.495-523

The study of Postcolonial Narratives in the Postcolonial Period: focusing on rhetoric approach with various narrative techniques 심예지 pp.525-546

板橋 鄭燮 書畵美學의 道家美學的 467考察 = A taoist aesthetic study on the zheng xie's calligraphy and painting 徐水晶 pp.467-493

The Catastrophe Discourse and Understanding of the Sociology of Law= 재앙담론과 법사회학적 이해 Song Young-hyun pp.309-331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Introduction: Postcolonial Trauma Novels 네이버 미소장
2 De Bruijn, Ellen., “Coming to Terms with New Ageist Contamination: Cosmopolitanism in Ben Okri’s The Famished Road”. In Research in African Literature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2007. 미소장
3 Derrickson, Teresa., “Will the ‘Un-truth’ Set You Free? A Critical Look at Global Human Rights Discourse in Michael Ondaatje’s Anil’s Ghost”. Literature Interpretation Theory, 15: 131–152, 2004. 미소장
4 Durrant, Sam. Postcolonial narrative and the work of mourning: JM Coetzee, Wilson Harris, and Toni Morrison. SUNY Press, 2012. 미소장
5 Hawley, John., “Ben Okri’s Spirit-Child: Abiku Migration and Postmodernity”. In Research in African Literature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1995. 미소장
6 Johnson, Brian., “Michael Ondaatje". Maclean’s. Vol. 113, 2000. 미소장
7 Okri, Ben., “The Famished Road”, Vintage Books, London, 1991. 미소장
8 Ondaatje, Michael. “The English Patient." 1997. 미소장
9 Ondaatje, Michael. “Anil’s Ghost”, Picador, London: Bloomsbury, 2000. 미소장
10 Okolo, Mary Stella C. African literature as political philosophy. CODESRIA Books, 2007. 미소장
11 Young, Robert. Postcolonial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미소장
12 Recharting the geography of genre: Ben Okri's, The Famished Road as a postcolonial, Bildungsroman. 네이버 미소장
13 Simpson, D. Mark. “Minefield Readings, The Postcolonial ” English Patient." Essays on Canadian Writing 53, 1994: 216-23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