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남성 노인 자살의 심각성을 예견하고 적절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으로 남성 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신체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검증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조현진(2016)의 연구에서 제안한 ADDIE 모형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개발 절차는 분석(A)→설계(D)→개발(D)→실시(I)→평가(E)단계 절차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10개 종목(기억게임, 앉아 발로 볼링하기, 성화 봉송하기, 풍선 제기차기, 희망 탑 쌍기, 탁구식 배구, 강 건너, 물 건너, 풍선 튕기기, 오재미 농구, 강강술래 등)의 프로그램이 개발 되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우울(t=3.404, p<.01)과 자살생각(t=2.689, p<.05)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들의 활동의 장을 열어주고 노인들의 인적 네트워크 즉,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데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이며 지역단위 더 나아가서는 국가 단위에서 수용하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hysical leisure activity program to prevent suicide among elderly men, which is becoming a major social issue, to make an appropriate alternative and foresee severity of elderly men suicide and investigate an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was composed of each stages, program development, application and investigation of effect and it was conducted according to ADDIE model suggested in a study by Jo Hyung Jin (2016). Development stage was processed by each steps, analyzing(A)→Designing(D)→Development(D)→Implementation(I)→Evaluation(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10 activities (Memorizing game, feet bowling while be seated, torch-bearing, kicking balloon game, building a wish top, volleyball in Ping-Pong style, crossing river and water activity, bounding balloon, basketball, Korean circle dance, and so on) were developed and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programs had an effect of decreasing depression (t=3.404, p<.01) and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t=2.689, p<.05). With this study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is able to help elderly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ies and have a social safety net, which is a social network. In addition, the program can be nationwide in its application and accepta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북한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맨손무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are Hand Martial Arts Shown in the Joseon Sahoegwahak Haksuljib of North Korea Centering on Nalparam, Suback, Subakhee, Taekwondo and Taekkyeon : 날파람, 수박, 수박희, 태권도, 택견을 중심으로 김영만, 전정우, 박성한 pp.1-11
초창기 Y.M.C.A의 미식축구 발전사 = The Early History of American Football in the Y.M.C.A. : Based on the Triangle Articles : The Triangle의 기사내용을 중심으로 이가람, 우승호 pp.13-24
폭력의 정체성 탐색을 통한 건전한 운동선수사회 만들기 = Making Athlete Society Healthy through Exploration on the Identity of Violence 서경화, 안용규 pp.25-33
바둑의 스포츠화 논쟁과 과제 = A Debate on the Approval of Baduk as a Sport and Its Tasks 정용우 pp.35-45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사상= Aristotle's thought of Physical Education. 16, Practical Syllogism of Doping by Intention . 16, 고의적 도핑행위에 대한 실천추론 황정현 pp.47-55

스포츠복지와 Active aging의 사회적 함의 = Social Implication of Active Aging as Sport Welfare 오정수 pp.57-72
남성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신체 여가활동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검증 = Development and Effect on Physical Leisure Activity Program for Preventing Suicide in Elderly Males 이민규 pp.73-89

갈길 잃은 배드민턴 셔틀콕 카드 = Badminton Shuttlecock Card Loses its Meaning : The Problems of Badminton Shuttlecock Card of Busan Metropolitan City Badminton Union : 부산광역시 배드민턴연합회의 배드민턴 셔틀콕 카드의 문제 박세훈, 이근모, 장승현 pp.91-104
다층 모형을 활용한 중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인성관계 분석 = Participation and Personalities Relationship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 Sports Club Using Multi-level Model 박태인, 조정형, 차은주, 김영재 pp.105-117
여성스포츠인의 사회진출 활성화방안 연구 =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Social Advancement for Women Sports Athletes 맹이섭, 이완영 pp.119-129
불법 스포츠토토를 선택하는 이유와 경험적 의미 탐색 = The Reasons behind Selecting Illegal Sports-ToTo, and Exploring the Empirical Meanings 이정래, 홍지영 pp.131-145
익스트림 스포츠 참여자의 하위 문화적 특성 =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Extreme Sports Participants 안현균 pp.147-156
하타요가 참여가 여대생의 신체-심리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Hatha Yoga on the Physical-Psychological Functional Recover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체지방량, 복부지방량, BMI, 유연성, 평형성, 척추기능, 비만스트레스, 생활만족감 중심으로 육영숙 pp.157-171
유소년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운동동기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사회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대회참여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s of Sport-event Participation Experienc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Exercise Motivation, Physical Self-efficacy, and Sociality Improvement in Youth Sports Club Members 하숙례, 조재혁, 윤영구 pp.173-183
장애인 탁구팀 내 코치와 선수의 동기향상과 개인성장을 위한 코치 중심의 자율성지지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 of Coach Autonomy Supportive Intervention Program on Coaches' and Athletes' Motivation and Personal Growth in Disabled Table Tennis Team 유경은, 천승현 pp.185-203
노자의『도덕경(道德經)』에 근거한 '궁도(弓道)의 도(道)'의 이해와 교육적 의의 탐색 = Exploring of the 'Tao of the Archery' Based on Lao-tzu's『Tao Te Ching』and Physical Educational Meanings 이민규, 김원정 pp.205-220
한국과 독일의 체육교육과정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South Korea and Germany 주성순 pp.221-233
한 산악인의 생애를 통해 본 체육적 삶의 의의 = The Significance of the Athletic Life as Seen through the Life History of a Mountaineer : 김영도 원로의 삶을 중심으로 최정규, 박정준 pp.235-251
DACUM 기법의 직무분석을 이용한 노인스포츠지도자의 직무규명 분석 = A Job Analysis for Elderly Sport-for-all Instructors Using DACUM Method 강현욱 pp.253-266

교과 역량 반영 체육수업 실천의 난점과 과제 탐색 = Exploring the Difficulties and Tasks for Subject Competencies Oriented Physical Education Lessons 유창완, 윤기준, 전세명 pp.267-282
해군사관생도가 지각한 체육 교수자의 리더십과 집단응집력 및 조직몰입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Leadership, Group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in Naval Cadet 남광우, 이호, 김종식 pp.283-296
중학교 스포츠클럽 농구수업지도자의 지도유형과 만족도 및 스포츠지속행동과의 관계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ports Club's Teacher Type of Basketball Teaching on Satisfaction and Sports Adherence Behavior 이정수, 김용만, 윤성현 pp.297-308
체육수업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부정적 경험의 관리를 위한 수업방법 개발 = Developing a Method to Manage the Negative Experiences of Students that Occur in P.E. Class 천항욱 pp.309-324
반복적 체육수업 이탈 남중생이 겪은 긍정적 신체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Successful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 who Being Repetitively Skipping Physical Education Class 장유진, 전해리, 윤현수 pp.325-338
프로스포츠 구단의 스포츠-ICT 융합 기술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of Sports-ICT Convergence Technology Service in Professional Sport Team : Focused on K LEAGUE Fans : K리그 팬을 중심으로 차재혁, 박호윤, 장경로 pp.339-354
스포츠융합산업 인식과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특화전략 인식 및 관람의도 간의 구조 분석 =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Convergence in Sports Industry, Service Differentiation Strategies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ewing Intention : Focused on Professional Baseball : 프로야구 중심으로 오정희, 조광민 pp.355-370
유소년 스포츠클럽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이 종사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Youth Sports Club Manager's Entrepreneurship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 A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백성욱, 한진욱 pp.371-385
프로스포츠 구단의 모바일 앱 사용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ivacy Concern about Professional Sports Team's Mobile Application on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 Moderating Effects of Monetary Incentive and Service Benefits : 금전적 보상 및 서비스 혜택의 조절효과 안찬호, 한진욱 pp.387-402
전통마케팅과 체험마케팅이 경기장 재방문 의도 및 프로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raditional Marketing and Experiential Marketing on Stadium Revisit Intention and Brand Equity of Professional Sport Teams : A Study of Professional Baseball Game Spectators : 프로 야구 관람객을 중심으로 오인애, 정명수, 임충훈 pp.403-417
프로축구 유스팀의 응집력 향상을 위한 팀빌딩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Team Building Program to Improve the Cohesion of the Youth Soccer Team 황성하 pp.419-433
스포츠팬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도덕적 가치판단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ctivities on Moral Value Judgment and Acceptance Attitude of Sports Fans 최환석 pp.435-446
스포츠참여 노인의 대인관계와 고독감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Elderly People's Sports Participations, Lonel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장호중 pp.447-460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배제 및 우울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양성지 pp.461-472
요가수련 참여 성인영성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긍정적 사고와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f Grown-up Women Participating in Yoga Training on Optimism and Self-expression 송순자, 황향희, 김보람 pp.473-484
여가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 여가지지,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Leisure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mong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안병욱 pp.485-496
대학 피트니스센터의 이용지속성 강화를 위한 인적·물적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신뢰 간 역할관계 분석 =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he Quality of Human and Material Service and Consumer Trust in order to Increase Persistent Usage of University Fitness Center 석부길, 조정환, 고경진 pp.497-509
노인들의 여가참여, 성공적 노화, 그리고 사회적지지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articipation, Successful Aging, and Social Support among Older Adults in Korea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 pp.511-521
테니스 동호인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진지한 여가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Serious Leisure and Exercise Adherence in Tennis Club Members 양태진, 김인형 pp.523-535
여가촉진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에서 여가제약협상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ator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이성철 pp.537-548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경기력 향상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Female Ice Hockey National Team on Athletic Performance Development 박광원, 강현욱 pp.549-560
대학생의 여가제약이 여가기능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isure Constraint on Leisure Function and Career Identity in University Students 정기홍, 안동수, 윤영선 pp.561-57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무용교육의 변화와 과제 = Changes and Tasks of School Danc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박혜연 pp.577-587
만성뇌졸중환자를 위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개발과 그 적용이 자세조절능력과 우울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Development of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r Chronic Stroke Patient and Effect of its Application on Postural Stability Abili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홍미성 pp.589-605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완벽주의성향과 자기관리, 경쟁불안의 관계 = Relations among Tendency of Perfectionism, Self-Management and Competition Anxie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정태선 pp.607-619
공공스포츠서비스 조직의 재정과 경영성과와의 관계 연구 =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nancial Condition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Public Sports Service Organizations 유한웅, 강현민 pp.621-637
분석적 계층화 과정을 활용한 생존수영 구성요인과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Priority Order of the factor Survival Swimming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김성덕 pp.639-650

참고문헌 (7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by Age Group 소장
2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s`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소장
3 An ethical analysis of the elderly’s suicide in aging society 소장
4 The Meaning of Suicide of Elderly Men as Seen Through the Survivors 소장
5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소장
6 김기정(2013). 12주간의 걷기운동이 항암화학요법 중인 암환자의 신체 조성과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7 The Effect of a 12-week Combined-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Fatigue for Cancer Survivors 소장
8 Sources of Enjoyment and Stress in Sports Among Korean Young Athletes 소장
9 A Study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on the SuicideIde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소장
10 Effect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Syndrome in Breast Cancer Patients 소장
11 김윤정, 강현정(2014). 우울감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14(3), 241-249. 미소장
12 김은주(2013).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교류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연구. 복지상담연구, 2(1), 1-17. 미소장
13 김춘종(2013).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 제약요인들의 우선순위 분석: 서울 일부지역 생활체육클럽과 노인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3 (3), 563-580. 미소장
14 김현순, 김병석(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9(3), 801-818. 미소장
15 김형수(1999). 노인 자살에 대한 이해와 향후 정책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29-343. 미소장
16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소장
17 Exploration of Prevention Strategies on Elderly Suicide 소장
18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소장
19 박광배, 신민섭(1990). 고등학생의 대학입시목표와 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9(1), 20-32. 미소장
20 박미려(2007). 은퇴 노인의 경제적 자원 수혜여부 및 수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1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소장
22 A Study on the Recognition Path Analysis of Suicidal Ideation of Male Elderly 소장
23 Effect of Sport Participation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네이버 미소장
24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소장
25 보건복지부․중앙자살예방센터(2016). 자살예방백서. 서울 미소장
26 Health behaviors and self-efficacy, loneliness of metropolitan the older adults 소장
27 신민섭(1993). 자살 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기 도피 척도의 타당화.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8 Elderly Suicide and It`s Related Factors 소장
29 The impact of Social Network and Hopelessness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Low-Income Adults -Focus on Interaction Effect of us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Service- 소장
30 study on older adults' perceived barriers in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소장
31 An Analysis on the Meaning of the Elderly People`s Leisure and Culture through Male Senior Citizens Using Jongro Pagoda Park and Jongmyo Park 소장
32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the Process of Building Health Promotion by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f Sport For All 소장
33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소장
34 A study of Elderly Suicide Preventive Measures 소장
35 The Effects Suicide-Buffering Testing of Leisure Activity for Elderly 소장
36 The Stress,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and the Buffering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소장
37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on Stress and the Decrease of Suicidal Thought of Elderly 소장
38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소장
39 State of Policy on Elderly Suicide Prevention and Proposal for Improvements 네이버 미소장
40 Effect of Life Respect Programs for the Elderly on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소장
4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 - D in Korea 소장
42 The Mediator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Elderly Stress and Depression 소장
4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ultidimensional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Korean Elders by utilizing a Community Network 소장
44 조은영(2010). 여성 노인과 아동을 위한 세대공동체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검증. 미 미소장
45 자살예방을 위한 노인 동료 게이트키퍼 양성훈련 프로그램 효과 검증 소장
46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소장
47 추경진(2012). 청소년,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감,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8 통계청 보도자료(2015). 2014년 사망원인통계. http; //kosis.kr. 미소장
49 Ajzen, I., & B. Driver. (1992). planned Behavior and Leisure Choi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4, 270-224. 미소장
50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the Elderly 네이버 미소장
51 Antonucci, T. C. (1990).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ocial behavior. New York: Van Nostrand Reinnhold. 미소장
52 Family Intervention for Suicide Prevention: A Specialized Emergency Department Intervention for Suicidal Youths 네이버 미소장
53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네이버 미소장
54 A cognitive therapy intervention for suicide attempters: An overview of the treatment and case examples 네이버 미소장
55 Alcohol, Firearms, and Suicide Among Youth 네이버 미소장
56 Suicide risk in the elderly: Data from Brazilian public health care program 네이버 미소장
57 Suicide in Later Life: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네이버 미소장
58 Conwell, Y. (1997). Management of Suicidal Behavior in the Elderly.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 667-683. 미소장
59 Farrell, P., & H. M. Lundegren. (1991). The process of Recreation Programming: Theory and Technique(3rd ed.). State College, PA: Venture. 미소장
60 Heitmann, H, M. (1984). Motives of older adults for participating in physixal activity program. In B. D. McPherson(Ed.). Sport and aging. pp. 199-204. Urbana Champaign, IL: Human Kinetics. 미소장
61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e among middle-aged and older persons living with HIV-AIDS. 네이버 미소장
62 Kelly, J. R. (1983). Leisure Identities and Interactions. Boston: George Allen & Unwin. 미소장
63 ‘I can’t be very sad’: constraint and adaptation in the leisure of a ‘learning in retirement’ group 네이버 미소장
64 Lange, H. R. (2003). Elder suicide: selective guide to resources. Reference Services Revivw, 31(2), 175-184. 미소장
65 Lee, M. K. (2015). Development of Leisure Constraint Scale of the Aged and Validity Verification: Application of Mixed Method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미소장
66 Maris, R., Berman, A., Silverman, M. (2000). Comprehensive textbook of suicidolog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67 Suicide prevention in the elderly (age 65-99). 네이버 미소장
68 OECD (2014). Society at a glance 2014: Social indicator. http://www.oecd.org. 미소장
69 Patton, M.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미소장
70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네이버 미소장
71 Raschko, R. (1990). The Gatekeeper Model for the Isolated at-risk Elderly. In N. L. Cohen(Ed. Psychiatry Takes to the Streets: Outreach and Crisis Intervention for the Mentall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72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Other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Older Women 네이버 미소장
73 Individual and group CBT and IPT for Puerto Rican adolesc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네이버 미소장
74 A cognitive therapy intervention for suicide attempters: An overview of the treatment and case examples 네이버 미소장
75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in the elderly: public health issue, in institutions and at home, within MobiQual program 네이버 미소장
76 Sociological autopsy: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study of suicide in men. 네이버 미소장
77 Shah, A. K., De, T. (1988). Suicide and the Elerly. Journal of Psychiatric Clinical Practice, 2, 3-18. 미소장
78 Stock, W. A., Okum, N. A., Haring, N. J., & Witter, R. A. (1983). Age and subjective well-being: A meta 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1, 1-102. 미소장
79 Suh, G. H., Gega., & Lina. (2017). Suicide attempts among the elderly in East Asia. International pyschogeriatrics, 29(5), 707-7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