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제도복합성과 제도정합성이라는 신제도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정부회계제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국가회계와 지방회계에 대한 문헌연구와 실제 운영현황에 대한 자료를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감사원, 회계통계센터 홈페이지 등에서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정부회계제도는 제도복합성 측면에서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의 생산, 공개, 활용의 측면에서 정합성은 높지 않았다. 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측면이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신뢰성 있는 정보의 생산을 위해 회계직 공무원 채용을 신설해야 하고, 감사제도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국가회계와 지방회계 관련 조직의 협력이 필요하다. 투명한 정보의 공개를 위해 실시간 정보공개 및 국가회계정보와 지방회계정보를 연계하여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보활용을 위해 정보이용자에 대한 교육, 타당한 원가정보와 활용가능한 재정분석지표의 제공, 재정책임관제의 도입, 국가회계와 지방회계가 포함된 통합재무제표의 작성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of South Korea on the institutional complex and institutional congruence of new institutional theory and suggests policy reform for the system. I researched the literatures on the national and local accounting system and compiled research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nd Government Accounting and Finance Statistics Center website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성동, “국가재정의 선진화를 위한 국가회계제도의 발전방향,” 국가회계재정통계센터 News Letter, Vol.7, pp.30-35, 2016. | 미소장 |
2 | 제도 부정합성에 따른 갈등증폭, 그리고 정책 고착화 탐색: 만안뉴타운사업을 중심으로 | 소장 |
3 | Two feedbacks and endogenous institutional changes | 소장 |
4 | Analysis of view point on a system congruence to Citizens Participatory-Budget-System: its application to municipal, agricultural, and agri-municipal administrations. | 소장 |
5 |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ouble-Entry Accounting System in Korean Local Governments ![]() |
미소장 |
6 | Introduction and Diretions of Double-entry and Accrual Basis According System in Government Sector ![]() |
미소장 |
7 | 윤영진, “한국지방정부회계제도 개혁,” 사회과학논총, 제21권, 제2호, pp.71-90, 2002. | 미소장 |
8 | (A)Study on Government Accounting Standard Setters in the Form of Independent Advisory Organization : focusing on CNOCP of France | 소장 |
9 | A Study on Government Accounting Standard Setters | 소장 |
10 | A Study on Conceptual Framework of Government Financial Reporting ![]() |
미소장 |
11 |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Concepts in Governmental Accounting Terminology ![]() |
미소장 |
12 | The Application of MD & A to the Governmental Accounting Standard | 소장 |
13 | 지방자치단체의 복식부기 회계제도 도입에 대비한 지방공무원 회계교육 방안 ![]() |
미소장 |
14 | Performance and Tasks of Local Government Accounting Training ![]() |
미소장 |
15 | A Desirable Way of Government Accounting Education ![]() |
미소장 |
16 | Institutional Constraints and Actors' Choice in Government Examination System | 소장 |
17 | 미국, 영국 및 뉴질랜드 중앙정부 감사보고서 사례 연구 | 소장 |
18 | A Road Map to Effective Implementation of Local Governments' Financial Statements Audit ![]() |
미소장 |
19 | Ways to introducing external audit for local governments' closing statements | 소장 |
20 | A Comparison of Government Accounting Audit System of U.S. and Government Accounting Examination System and Review System of South Korea | 소장 |
21 | 지방자치단체 재무보고의 한.미 비교연구 ![]() |
미소장 |
22 | Improvement of financial reports disclosure for the local government | 소장 |
23 | 지방자치단체의 대 주민용 재정운영보고서 공개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24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Linkages for the Reform of the Digital Budget and Accounting System | 소장 |
25 | A Study on Improv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Integrative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 |
미소장 |
26 | e-호조 정착을 위한 지방재정정보시스템의 과제 | 소장 |
27 | An Analytical Review of the Accounting System and Standards in Local Sectors and Directions for Their Improvements: Focusing on usefulness of financial information and system theory | 소장 |
28 | 지방자치단체 원가회계제도 도입현황 및 과제 ![]() |
미소장 |
29 | Local Governments Cost Accounting Standards and Methods ![]() |
미소장 |
30 | Limitations and Measures for Improving Usefulness of Cost Accounting Standards for Local Government | 소장 |
31 | A Study on the Cost Management System for the Practical Use of the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Based on Accrual Basis | 소장 |
32 | 김은영, 임정혁, “발생주의 재무정보를 활용한재정지표,” 정부회계저널, 창간호, pp.72-89, 2011. | 미소장 |
33 | Analysis of existing financial indicator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suggestion of new financial indicators | 소장 |
34 | Financial analysis indicators of Korean Local government in the accrual basis ![]() |
미소장 |
35 | A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Financial Indicator Ratios in Local Governments Accounting Reporting Based on Double-Entry and Accrual Basis | 소장 |
36 | 한국 영화정책레짐의 단절적 진화 : 제도의 중층성과 다원성 그리고 제도변화의 다면성 | 소장 |
37 | 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of Participatory Budgeting: Analyzing Institutionalization and Its' Implication | 소장 |
38 |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진화와 정책연구 | 소장 |
39 | Ideas, Institutions, and Political Order: Explaining Political Change ![]() |
미소장 |
40 | K. Orren and S. Skowronek, The Search for American Political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 미소장 |
41 | W. R. Scot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age Publications, 2000. | 미소장 |
42 | 국가회계기준센터, 국가회계제도 개혁 백서, 기획재정부, 2012. | 미소장 |
43 | 김완희, 김은영, 이남주, 오예정, 이명인, 국가회계와 지방자치단체회계의 상생 발전방안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5. | 미소장 |
44 | 박정규, “지방회계 및 재정통계 관리의 현황과과제,” 한국정부회계학회 춘계세미나 발표자료집, 2016. | 미소장 |
45 | 정창훈, “국가와 자치단체 회계담당공무원 업무전문성과 회계책임관 책임성 강화 방안에 관한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발표자료, 2016. | 미소장 |
46 | 한국공인회계사회, 국가회계 담당공무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인프라 구축 및 회계전문인력 확충방안, 기획재정부, 2010. | 미소장 |
47 | 세정신문, “기재부, 국가결산협의조정체 ‘회계책임관협의회’ 설치,” 2010년 7월 30일. | 미소장 |
48 | 파이낸셜뉴스, “자치단체 회계책임관 지정, 회계투명성 제고,” 2016년 11월 22일. | 미소장 |
49 | 감사원, 2011회계연도 결산검사보고, 감사원, 2012. | 미소장 |
50 | 감사원, 2012회계연도 결산검사보고, 감사원, 2013. | 미소장 |
51 | 감사원, 2013회계연도 결산검사보고 Ⅱ, 감사원, 2014. | 미소장 |
52 | 감사원, 2014회계연도 결산검사보고 Ⅱ, 감사원, 2015. | 미소장 |
53 | 감사원, 2015회계연도 결산검사보고 Ⅱ, 감사원, 2016. | 미소장 |
54 | 양은전, 김경만, “2011회계연도 재무제표 결산검사 결과 및 향후 검사방향,” 계간감사, 제115권, pp.26-31, 2012. | 미소장 |
55 | 염호열, “2012회계연도 재무제표 결산검사 결과및 향후 검사방향,” 계간감사, 제119권, pp.66-73, 2013. | 미소장 |
56 | http://www.openfiscaldata.go.kr/portal/main.do | 미소장 |
57 | http://lofin.mois.go.kr/portal/main.do | 미소장 |
58 | 강인재, 이경섭, 김이배, 김경하, 지방자치단체의특성을 반영한 지방회계제도 개선방안, 재정성과연구원, 2016. | 미소장 |
59 | http://www.kipf.re.kr/About/Department Information | 미소장 |
60 | http://www.lofa.or.kr/mutualguide/m_grpmap. asp?search2=jibangtonggea | 미소장 |
61 | L. S. Athukorala and B. Reid, Accrual Budgeting and Accounting in Government and its Relevance for Developing Member Countries, Asian Development Bank, 2003. | 미소장 |
62 | Accrual practices and reform experiences in OECD countries Results of the 2016 OECD Accruals Survey ![]() |
미소장 |
63 | 정성호, 정창훈, 김경호, 강인재, 발생주의 재무회계 결산제도의 유용성 강화 연구, 한국정부회계학회, 2014. | 미소장 |
64 | 김상노, 정지웅, 박보희, 윤송이, 오미경, 임정혁, 유동훈, 이진관, 이남주, 이혜진, 주요 5개국 국가회계제도에 대한 연구, 국가회계기준센터, 2013. | 미소장 |
65 | 김동욱, 임동완, 문광민, 윤성일, 지방회계제도중장기 발전방안,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1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