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초등 쓰기 교수·학습에서 주제 상세화에 따른 학생의 과제 인식 연구 =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of Writing Assessment Depending on Subject Specification in Elementary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 양경희 1

요약 1

1. 서론 2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5

4. 연구 결과 9

5. 논의 및 결론 20

참고문헌 24

Abstract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초문식성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지도실태 및 인식조사 = A Survey on Recognition and Instruction Realities of education community on beginning literacy 진용성 pp.213-244

보기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반영 양상 분석 연구 = Analysi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이슬아, 심상민 pp.191-211

보기
학습 경험의 수준 함양과 배움 중심 행복 교실수업의 조건 = Conditions for the Increased Level of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Based Happiness Classroom Lessons : With a focus on the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and textbook under the Revised Elementary Korean Curriculum of 2015 : 2015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의 쟁점을 중심으로 이상신 pp.163-190

보기
국어적 창의성을 위한 문법 지식의 본질과 조건에 대하여 = On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Grammatical Knowledge for Korean Creativity 이동혁 pp.137-162

보기
기억을 떠올리려 할 때 얼굴의 움직임과 표정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Facial movements and expressions during trying to remember 유동엽 pp.111-135

보기
초기 문해력 교육의 현황과 과제 = Early Literacy Education in Korea : Status Quo and Future 엄훈 pp.83-109

보기
초등 쓰기 교수·학습에서 주제 상세화에 따른 학생의 과제 인식 연구 =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of Writing Assessment Depending on Subject Specification in Elementary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양경희 pp.57-82

보기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의 실제화 연구 = Study on Authentic Listening·Speak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Public Speaking of the lower grade : 1,2학년을 위한 '발표하기'를 중심으로 서현석 pp.29-56

보기
남북한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 내용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on Listening and Speaking in North and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 With Focus on South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and North Korea’s 2013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권순희, 강보선, 정진석, 주재우 pp.5-27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가은아,강민경(2016), 초,중학생의 쓰기 화제와 글 유형에 대한 선호 양상, 작문연구제29집, 한국작문학회, pp.275∼310. 미소장
2 김은정(2003), 쓰기 과제가 학생들의 의미 구성 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3 김은주(2015), 쓰기 과제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쓰기 동기와 쓰기 태도의 차이, 부산대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쓰기 과제 구성에 대한 연구 소장
5 The Factors Involved in Writing Motivation of Secondary Student Writers 소장
6 우리나라 학생들의 쓰기 효능감 발달 연구 소장
7 Study on Setting the Components of Writing Assignment 소장
8 A Study on Specification the Components of Writing Assignment 소장
9 이병승(2014), 필자의 쓰기 주제에 대한 내용 지식이 쓰기 과정과 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쓰기 과제 유형에 따른 필자의 인지적 전략과 정의적 반응 연구 소장
11 A Study of Writer's Perception upon Rhetorical Components of Writing Assignment 소장
12 Applebee, A. N., Langer, J. A., Mullis, I. V. S. (1989). Crossroads in American education: The nation’s report card. A summary of findings, Princeton, NJ:Educational Testing Service. 미소장
13 Bereiter, C. & Scardamalia, M.(1987). The psychology of written compos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14 Rhetorical Specification in Essay Examination Topics 네이버 미소장
15 Cooper, P. L.(1984),The Assessment of Writing Ability: A Review of Research, Pages i–46 GREB-82-15R, RR-84-12 ETS Research Report 미소장
16 Motivational Factors and Writing: the Role of Topic Interestingness 네이버 미소장
17 Effects of topic knowledge on the allocation of processing time and cognitive effort to writing processes. 네이버 미소장
18 Park, Young-Mok(1987), The influence of the task upon writing performance, Tower Press. 미소장
19 Renninger, K. A., & Hidi, S.(2002) Student interest and achievement issues raised by a case study. In: A.Wigfield, & J. S. Eccles(Eds),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pp. 175-195). New York: Academic Press. 미소장
20 Ruth, L., & Murphy, S.(1988), Designing Writing Tasks for the Assessment of Writing,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미소장
21 Soven, M. I.(1999), Teaching Writing in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Allyn & Bacon. 미소장
22 Text generation and recall by high-knowledge and low-knowledge individuals 네이버 미소장
23 Weigle, S. C.(2002), Assessing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