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시판용 레이저(650 nm)와 간단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광회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 거울상 초과량 측정에 대한 실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소듐 D 선을 이용하는 표준 고유 광회전도와의 차이는 보정상수 k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였다. 광학 이성질체들 중 Camphor와 Tartaric acid, 및 Menthol에 대해 광회전도를 구하고 검정곡선법으로 농도를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정 농도비로 섞은 광학 이성질체를 대상으로 검정곡선법을 적용하여 거울상 초과량을 측정할 수 있었는데 여러 시료들에 대하여 그 정확도와 표준편차는 98.6 ± 0.3 % 이상이었다. 이를 통해 자체 제작한 장치는 광학 활성과 거울상 초과량을 측정할 수 있음을 알았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광학 활성을 쉽게 정량적으로 교육현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중슬릿에서 빛의 파동-입자 이중성 측정을 위한 광자 간섭의 정량적 측정과 분석 = A Quantitative Measuring and Analysis of a Photon Interference for Measuring Wave-Particle Duality of Light at a Double Slit 이은지, 김상년 pp.382-38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자연모방 기술의 학습 = Learning of New Biomimetic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Scienc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과학교육 박선영 pp.408-419

일반상대론에서 굽은 공간의 비유로서 얇은 고무판의 적절성 = The Validity of the Rubber Sheet as an Analogy of Curved Space in General Relativity 김성원 pp.358-367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유전자와 생명 공학' 영역에 대한 고찰 = Analyses on High-school Life Science Ⅱ 'Genetics and Biotechnology' 남기범, 조은희 pp.368-381

탐구활동 개방도에 따른 학생들의 탐구수행능력 분석 = Analysis of Students' Ability to Perform Inquiry According to the Openness of Inquiry Activity 이병재, 이상권 pp.390-407

온라인 과학 기사를 활용한 과학 자유말하기 활동이 초등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and Science Attitudes Changing after Free Speech Activity with Online Science Articles 권난주, 성혜진, 전상일 pp.330-337

초등학생을 위한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Development of a Systems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김형욱, 정소진, 정소리, 문성윤 pp.288-301

중학교 과학3 및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유전 단원의 개념 수준 및 연계성 분석 = Analysis of Concept Level and Connectivity of the Genetic Unit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3 and High School Life ScienceⅠ Textbooks 김현섭 pp.302-313

간단한 광학활성 측정장치의 개발 및 거울상 초과량 측정 = Development of a Simple Optical Activity Measurement Instrument and its Application to Enantiomeric Excess 김상욱, 권효식, 박용남 pp.346-357

NPN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검전기 제작 = Electroscope by Using NPN Transistor 홍준희, 김중복 pp.338-345

'달의 운동' 단원을 위한 디지털교재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Digital Teaching Material for 'Motions of the Moon' Unit 이유선, 손정주 pp.314-329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성일, 류상호, 김대규, 안종제, 이옥수, 김재혁, 남경식, 김익수 (2012)고등학교 물리II. 천재교육. 미소장
2 김관, 김병문, 박형석, 이상엽, 정두수, 정영근 (2008) 화학의 원리. 자유아카데미. 미소장
3 김창홍, 윤창노, 한호규, 정옥상, 이동휘, 김성진 (엮음) (2001) 화학대사전. 도서출판 세화. 미소장
4 김희준, 김호성, 이보경, 이수미, 이영식, 이정희, 이진승, 이희나, 조향숙 (2011) 고등학교 화학I. 상상아카데미. 미소장
5 박국태, 신현철, 김동진, 김승태, 박기성, 하희나 (2013). 고등학교 고급화학. 서울특별시 교육청. 미소장
6 박종진, 윤웅찬, 강상욱 (2011). 광화학의 이해. 자유아카데미. 미소장
7 배운택, 김남희 (1988) 10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학습용품)간이편광계. 미소장
8 신근섭 (2004) Basic 고교생을 위한 물리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미소장
9 McMurry J (2009) 맥머리의 유기화학 강의. 사이플러스. 미소장
10 Sigma-Aldrich (2001) The Sigma-Aldrich Family. Merck. pp 334- 1540. 미소장
11 Brown W, Iverson B, Anslyn E & Foote C (2016) Organic Chemistry (7th Ed). (역)화학교재연구회. 사이플러스.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