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컬링 샷정확도 향상을 위한 압박형 훈련장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장비는 가이드폭 조절을 퉁해 샷의 좌·우정확도 향상을 위한 심리적 압박을 제공하고, 레이저디스턴스 모듈 세트를 통해 샷의 강도 정확도 향상을 제공함으로써 종합적인 샷의 정확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샷 진행영상 피드백을 통해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경기력 분석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휠체어 컬링 대표팀 코칭스태프, 협회관계자, 아이스메이커 등과의 파일럿 시험을 수행하고 의견을 청취한 결과, 종합적인 샷 정확도 훈련, 심리적 압박, 경기력 분석에서의 개발장비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and developed a shot accuracy trainer for wheelchair curling. This trainer is developed to improve curling shot accuracy by supplying functions of changing guide width in which curling stone passes by and of time mesurement of Hack to Hog. And it also can supply training video of athlete to coach to analyze. From the pilot test from coaching staff of wheelchair curling team, association executives and icemaker of rink, we tried to verify the usability of proposed syste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인을 위한 데이지 도서 기반 독서보조기기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eveloping Daisy Book Based Reading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임순범, 박주현, 이종우, 육주혜 pp.279-285

의료기기 안전에 관한 대학병원 의료인들의 인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 Perception and Behavior Regarding the Safety of Medical Devices among Medical Personnel at a Tertiary Care Hospital 임지혜, 김규성, 김새롬, 김영순, 이훈재 pp.287-297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과 사용자 및 관리자 인식 조사를 통한 국산 의료기기 개선 방안 = Suggest Improvement for Medical Device Made in Korea by the Investigation of Domestic Medical Device Percentage and Survey of Medical Device Users and Manager 이정현 pp.299-306

한국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Korean Mobile Applications 이진혁, 민홍기 pp.307-314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System for Visual Disabilities 장영건, 차주현 pp.315-321

무릎 슬리브 착용과 골지 건 기관 자극이 한 발 서기 동작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Knee Sleeve with a Stimulation of Golgi Tendon Organ on One Leg Standing and Proprioception 정보라, 장윤희, 김규석, 류제청, 고창용 pp.323-330

영상증배관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획득시스템과 위치오차검증 = Real Time Image Acquisition System using a Image Intensifier and Position Error Verification 이동훈, 김남훈, 정종범 pp.331-338

고령자 대상 전산화 종합 신경인지 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 The Validity of Reliability of Computerized 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in the Elderly 박희수, 양노열, 문종훈, 유창호, 정상미 pp.339-348

고령자 및 장애인용 높이조절 세면기의 설계 가이드라인 = Design Guideline of Height-adjustable Wash Basin for Persons with Disability 배주환, 문인혁 pp.349-354

농촌 고령자의 욕구조사를 통한 사과인공수분 복지로봇 설계 = The Design of Apple Artificial Pollination Welfare Robot by A Survey for the Elders' Needs of Rural Region 김동옥, 이수철 pp.355-361

보청기를 위한 IMCRA 기반 저연산 음성 향상 알고리즘 = Low-Complexity Speech Enhancement Algorithm Based on IMCRA Algorithm for Hearing Aids 전유용, 이상민 pp.363-370

원형 근전도 센서 어레이 시스템의 센서 틀어짐에 강인한 손 제스쳐 인식 = Hand Gesture Recognition Regardless of Sensor Misplacement for Circular EMG Sensor Array System 주성수, 박훈기, 김인영, 이종실 pp.371-376

휠체어 컬링 샷 정확도 향상을 위한 훈련장비 개발 = Development of Shot Accuracy Trainer for Wheelchair Curling 길세기, 이현빈, 김태완, 이상철, 황종학, 심현민, 한영환 pp.377-383

참고문헌 (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http://www.koreacurling.co.kr/upfile/board//8486b8b3 9.pdf, WCF Rules of Curling, Korea Curling Fede ration, 2016. 미소장
2 J. C. Back, “A Study on the effects of prior attack score and score per end in men’s curling games, 2010 winter Olympics,” The Annual Report of Elite Coaching Course for Sports Game, The Institute of Sports Science, 2011. 미소장
3 J. B. Ynag et al, “International curling games analysis for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2, no. 3, pp. 393-404. 2013. 미소장
4 J. C. Park, “A comparison of the strategy in woman’s curling game based on individual team’s level and individual quarter,” The Annual Report of Elite Coaching Course for Sports Game, The Institute of Sports Science, 2007. 미소장
5 M. Y. Kim, “A effects of preemptive scoring type on performance of curling game,” The Annual Report of Elite Coaching Course for Sports Game, The Institute of Sports Science, 2011. 미소장
6 S. G. Park et al,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nners and losers in curling: focused on shot type, shot accuracy, blank end and average score,”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28, no. 2, pp. 517-528, 2017. 미소장
7 T. W. Kim et al “Comparison of national competitions of women’s curling competition and prediction of Win-los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56, no. 4, pp. 595-604, 2017. 미소장
8 S. G. Park et al, “The ranking prediction of women curling games based on performance indicators in curling,”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5, no. 2, pp. 1097-1107, 2016. 미소장
9 S. K. Kil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utting training system with changeable guideline of width and dista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 8, no. 4, pp.275-281, 201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