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컬링 샷정확도 향상을 위한 압박형 훈련장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장비는 가이드폭 조절을 퉁해 샷의 좌·우정확도 향상을 위한 심리적 압박을 제공하고, 레이저디스턴스 모듈 세트를 통해 샷의 강도 정확도 향상을 제공함으로써 종합적인 샷의 정확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샷 진행영상 피드백을 통해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경기력 분석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휠체어 컬링 대표팀 코칭스태프, 협회관계자, 아이스메이커 등과의 파일럿 시험을 수행하고 의견을 청취한 결과, 종합적인 샷 정확도 훈련, 심리적 압박, 경기력 분석에서의 개발장비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http://www.koreacurling.co.kr/upfile/board//8486b8b3 9.pdf, WCF Rules of Curling, Korea Curling Fede ration, 2016. | 미소장 |
2 | J. C. Back, “A Study on the effects of prior attack score and score per end in men’s curling games, 2010 winter Olympics,” The Annual Report of Elite Coaching Course for Sports Game, The Institute of Sports Science, 2011. | 미소장 |
3 | J. B. Ynag et al, “International curling games analysis for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2, no. 3, pp. 393-404. 2013. | 미소장 |
4 | J. C. Park, “A comparison of the strategy in woman’s curling game based on individual team’s level and individual quarter,” The Annual Report of Elite Coaching Course for Sports Game, The Institute of Sports Science, 2007. | 미소장 |
5 | M. Y. Kim, “A effects of preemptive scoring type on performance of curling game,” The Annual Report of Elite Coaching Course for Sports Game, The Institute of Sports Science, 2011. | 미소장 |
6 | S. G. Park et al,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nners and losers in curling: focused on shot type, shot accuracy, blank end and average score,”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28, no. 2, pp. 517-528, 2017. | 미소장 |
7 | T. W. Kim et al “Comparison of national competitions of women’s curling competition and prediction of Win-los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56, no. 4, pp. 595-604, 2017. | 미소장 |
8 | S. G. Park et al, “The ranking prediction of women curling games based on performance indicators in curling,”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5, no. 2, pp. 1097-1107, 2016. | 미소장 |
9 | S. K. Kil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utting training system with changeable guideline of width and dista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 8, no. 4, pp.275-281, 201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