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조창에서 종장 제4음보 생략 현상의 율격적 동인 = The Metrical Motivation of Leaving out the Fourth Foot of Jongjang in Sijochang 류속영 pp.5-47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전승양상과 성격 = The Properties and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Busan Urban Legends : Focusing on the Tales of the Elderly Population of the Busan Jingu Area : 부산진구의 노년층 이야기를 중심으로 류경자 pp.49-75

<숙향전>에 나타난 '고통'의 문학적 해석 = Literary Interpretation of 'Pain' Represented in Sukhyangjeon 김현화 pp.77-107

해동사가의 중국체험을 통한 타자인식 변화 연구 = A Study on Hai-Dong-Sa-Ga's Experience of China and Recognition of Others 박설매, 김강 pp.109-133

박팔양 시와 낭만적 코즈모폴리턴 = Park Pal-Yang's Poetry and Romantic Cosmopolitanism 김영주 pp.135-165

최승자 시의 전복성 연구 = A Study on the Subversion of Poems by Choi Seung-ja 오덕애 pp.167-196

염상섭『백구』에 나타난 통속화 전략의 의미 = A Study on the Narrative Strategy in Yeom Sang-seop's Novels : Focusing on Bakku 조미숙 pp.197-228

요산 김정한의 신문 매체에 대한 인식과 소설 창작 방법 연구 = A Study of Yosan Kim Jeong-han's Newspaper Reading and Novel Creation : 『어떤 유서』를 중심으로 오현석 pp.229-261

김정한 미발표 장편 자전소설 연구 = A Study on Unpublished Full-length Autobiographical Novels of Jeong-Han Kim : Memory of Colonial Modern and Aspect of Self-representation : 식민지 근대의 기억과 자기재현의 양상 김경연 pp.263-308

거대한 국가의 절멸된 공동체, 그리고 홀로 선 개인들 = Lonely Beings in an Enormous Nation, and the Community 김옥선 pp.309-336

'거제도'의 전쟁포로에 대한 기억과 흔적 = Memories and Traces of the Prisoners of War in Geojedo : Focused on Son Yeong-mok's Geojedo : 손영목의『거제도』를 중심으로 변화영 pp.337-362

극작가 박재성의 전기적 정보와 오독의 문제 = The Problem of Biographic Information and Misreading of Playwright Park Jae Sung 민병욱 pp.363-38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 KBS 라디오의 <무엇일까요>를 중심으로 최미진 pp.391-435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일남, 「숙향전의 고난양상과 결연의미」, 논문집 24,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19-40쪽. 미소장
2 구충회, 「숙향전의 이본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3. 미소장
3 Sukhyangjeon(숙향전): Memories of An Abandoned Daughter 네이버 미소장
4 The Creation Aspect and the Meaning of the Fantastic in "Sukhyangjeon" 소장
5 김문희, 「숙향전의 환상담의 서사전략과 독서효과」, 한국학연구 37,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165-192쪽. 미소장
6 Imagination, dream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소장
7 김응환, 「숙향전의 도교사상적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3. 미소장
8 김현룡,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 , 일지사, 1977. 미소장
9 나도창, 「숙향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4. 미소장
10 <淑香傳> 배경설화의 종합적 연구 소장
11 <숙향전>의 서사 구조와 의미 연구 소장
12 박경원, 「숙향전의 구조와 의미」, 어문교육논집 12,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 1992, 247-259쪽. 미소장
13 박태근, 「숙향전의 문체론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4. 미소장
14 A Study on the Emotion in < Sukhyangcheon > 소장
15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 영남대학교출판부, 1981. 미소장
16 「숙향전」, 한국고전문학전집 5, 황패강 역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미소장
17 양혜란, 「숙향전에 나타난 서사기법으로서의 시간문제」, 우리어문학연구 3, 외국어대학교 1997, 103-128쪽. 미소장
18 숙향전의 대중소설적 연구 소장
19 <숙향전>에 나타난 생태적 세계관 소장
20 The Rite-of-Passag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tory of Sook-hyang 소장
21 이상구, 「숙향전의 문헌적 계보와 현실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4. 미소장
22 An Additional Thesis on Seoul Block Print 소장
23 「淑香傳」서사구조의 樣式的 特性과 世界觀 소장
24 숙향전의 구조와 초월적 모티프의 작품 내적 기능에 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5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 지식산업사, 1977. 미소장
26 Sookhyang of Sookhyangjeon: Debut of an “Innocent and Pitiful” Heroine 소장
27 17세기 국문 고전소설의 형성에 대하여 : 「淑香傳」을 중심으로 소장
28 지연숙, 「숙향전의 세계 작동 원리 연구」, 고소설연구 24, 월인, 2007, 191-217쪽. 미소장
29 일반논문 : 「 숙향전 」 이본의 개작 양상과 그 의미 - 한문현토본 (漢文懸吐本)과 박순호본 < 슉향전이라 > 를 중심으로 - 네이버 미소장
30 The Heroine`s Way of Life: From Wandering on the Road to Returning Home 네이버 미소장
31 <숙향전>의 공간 구성 원리와 의미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