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계산기의 활용 방안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lementary School in Elementary School 안병곤 pp.713-729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살펴본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 문항 분석 = Analysis of the Problems in Statistics Uni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3rd Grade in terms of Statistical Literacy 고상미, 김미순, 정재균, 조완영 pp.731-749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ventory based on Perry Scheme and Langer's Mindfulness : Perry의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를 기반으로 이규희, 이지현, 최영기 pp.775-793
수학 교육에서 노티싱(Noticing) 연구의 동향과 과제 =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on Noticing in Mathematics Education 방정숙, 권민성, 선우진 pp.795-817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정영옥 pp.663-690
지수함수 형태의 거리함수에서 미분계수의 절차적 지식 구성과 표현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Change of Procedural Knowledge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Derivative Coefficient in Exponential Function Type Distance 이동근, 김숙희 pp.639-661
예비초등교사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과제로서 "두 자료집합 비교하기" 과제의 가능성 탐색 = A Study on "Comparing Two Data Sets" as Effective Tasks for the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탁병주, 고은성, 지영명 pp.691-712
교육 형평성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교사 교육 시행 효과 = Eff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quity :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김연 pp.751-774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n Analysis of Using TI-73 Calculator for the 5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Math Gifted Class 네이버 미소장
2 강영란(2014a). 초등 영재 학생의 비례 추론 발달단계에 따른 계산기 사용에 대한 행위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6(1), 39-56. 미소장
3 강영란(2014b). 계산기를 활용한 초등 수학 영재의 교실 활동에 관한 활동 이론적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강영란ㆍ조정수(2015). 교사의 도구적 오케스트레이션에 관한 활동 이론적 분석-계산기 기반 초등 수학 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7(2). 273-287. 미소장
5 강완․백석윤(2002). 초등수학교육론. 서울:동명사. 140, 193. 미소장
6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과학,실과-. 교육과학기술부. 3-148. 미소장
7 교육부(1994).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I). 교육부. 209-312. 미소장
8 교육부(199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 과학, 실과-. 교육부. 2-99. 미소장
9 교육부(2016). 초등 수학 교과서(1학년 ~ 6학년). 교육부. 미소장
10 교육부(2016). 초등 수학 교사용 지도서(1학년 ~6학년). 교육부. 미소장
11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1-43. 미소장
12 권세화ㆍ권미연ㆍ김시년(1999). 초등학교 수학학습에서의 계산기의 활용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F <수학교육 학술지>. 3. 171-195.) 미소장
13 김석화(2014). 계산기 활용이 초등수학교사의인식과 수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김진수․정창현(1995).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계산기 이용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34(1). 97-106. 미소장
15 김진환ㆍ강영란(2016). 초등영재학급을 대상으로그래핑 계산기의 지오보드를 활용한 Pick 공식의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논증활동의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8(1). 85-103. 미소장
16 A Study on the Effect of Calculator Using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 Skill 네이버 미소장
17 남승인․김옥경(1998).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있어서 계산기 활용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8(1). 251-268. 미소장
18 초등수학에서 계산기 활용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소장
19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 계산기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20 A Study on Use of Calculators in the Elementary Math Textbook of U,S, 소장
21 류희찬(1991).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개정 방향에 대한 소고.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수학교육연구소. 청람수학교육 제2집, 59-60. 미소장
22 박교식(1997).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육에서계산기 활용까지의 과정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2). 173-186. 미소장
23 박교식(1998).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계산기 활용 방안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8(1). 237-249. 미소장
24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배영사. p. 226. 미소장
25 An Analysis of Effective on Using Calculators in Elementary Mathematics 소장
26 안병곤ㆍ김용태(1998). 교과서에서 계산기의 활용 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화회지 2권, 23-40. 미소장
27 A Design for Instructional Models to Use Calculator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소장
28 이형미(2016). 한국, 미국, 핀란드의 초등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교구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이화영, 장경윤(2015). 인지적 도구로서의 사칙계산기 활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7(2). 157-178. 미소장
30 BeIl, F. H.(1980). Using computers and calculators in elementary schools,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Methods and content for Grades K-8. Wm.C.B Company Publishers. Dubque, Iowa 520001. 미소장
31 Brolin, H.(1987). Studen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and the use of the calculator in a college algebra course, Oregon State University 미소장
32 Harcourt, H.M.(2011a). Go math(Grade 1~6).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33 Hembree, R. & Dessart, D.(1986). Effects of handheld calculators in precollege mathematics: A meta-analysis, Journal for Research Mathematics Education 17(2), pp. 83-99. 미소장
34 McNicol, S., & LeMaistre, C.(1981). Problem solving with calculator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report to the protestant school board of greater montreal. Retrieved from http://catalogue.nla.gov.au/Record/5404163 미소장
35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 Education(1980). An agenda for action.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 Education. 미소장
36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 Education. 류회찬 외 5인 옮김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올:경문사. 미소장
37 Reys, B. J.(1989). The calculator as a tool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1989 yearbooks. NCTM. 미소장
38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Smith, N L.(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Allyn & Bacon. 4-7, 89, 175-177. 미소장
39 Suydam, B.(1983). Investigation af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off students in different college mathematics courses, Ohio University. 미소장
40 Van de Walle.(199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Addision Wesley Longman, Inc. New York. 미소장
41 Wheatley, G. H. & Shumway, R.(1992). The potential for calculators to transform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James T. Fey & Christain R. Hirsch(Eds.), Calculators in Mathematics Education, 1992 Yearbook, pp. 1-8. Reston, VA: NCTM. 미소장
42 Calculators in Elementary Schools 네이버 미소장
43 국립국어원(2017).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