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윤이상(尹伊桑, 1917-1995)의 오페라 ≪심청≫은 정치적・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작품이다. 윤이상은 1967년 ‘동백림간첩단사건’ 에 연루되어 한국에 수감되었다가 이후 세계 음악인들의 구명운동을 통해1969년 베를린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윤이상에게 1972년 뮌헨올림픽의 개막 축전 오페라가 위촉되고, 윤이상은 한국의 설화 ‘심청’을 오페라로만들어 무대에 올린다.
윤이상의 오페라 ≪심청≫에서 합창의 역할은 매우 다양하고, 사상적 측면이나 극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작품 속에서 합창의 역할 내지는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논문에서는 윤이상의 오페라 ≪심청≫을 개관한 후 이 작품에 사용된 합창부분의 구성방식과 내용, 음악적 특성 등을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이 작품에서 합창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논한다.
오페라 ≪심청≫에서 합창의 역할은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윤이상이 중요시 했던 사상적 배경을 암시해준다. ≪심청≫은 그내용에 있어서 유교・불교・도교 사상이 함축성 있게 표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상을 표현함에 있어 합창은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줄거리를 전개하거나 이후에 나타날 사건을 예견해준다. 합창은서막에서 천상세계의 사건들을 전개해주고, 이후 심청의 결단이 반드시실현될 것과 심청이 자신을 바쳤지만 결국 살아나게 될 것, 심 봉사의 죽음으로 새로운 세계가 도래할 것 등을 예견해준다.
셋째, 주어진 장면에 극적인 효과를 더해준다. 합창은 주인공 심청이 지상에서의 사명을 반복하거나, 자신을 희생하겠다는 심청의 결심에 대해그것을 반문하는 내용을 되뇌어 노래함으로써 극적 효과를 더해준다.
넷째, 장면의 시공간적 전환을 매끄럽게 해준다. 어린 심청 이후 성장한심청으로 갑자기 넘어가는 장면에서 합창은 무상의 개념을 노래하여 세월의 흐름을 암시함으로써 장면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작품의 주제를 부각시켜 준다. 합창은 심청 설화의 주제인 ‘효’를강조하는 역할과 이 작품에 내재된 ‘인간 실존의 구속과 해방’이라는 인류보편적 주제를 강하게 부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Isang Yun’s opera Sim Tjong is greatly significant in polit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The work was commissioned to Isang Yun to celebrate the opening of the 1972 München Olympics. Since Sim Tjong with the tale-like material could not fully reflect the world people’s universal emotion, the script was dramatized in diverse aspects. In particular, in terms of theme, the issue of ‘filial piety’ was replaced with the human existentialism to help the Westerners understand the opera easily. Thus, an opera with the universal theme was born.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조선인 중심의 음악회장, 경성(京城) 기독교청년회관 = Concert Hall for the People of Chosun :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all in Gyeongseong | 조윤영 | pp.115-165 |
|
|
윤이상 오페라 ≪심청≫에서 합창의 역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s of Chorus Part in Isang Yun's Opera Sim Tjong | 전정임 | pp.85-114 |
|
|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영국의 음악활동과 정치적 함의 = The Political Connotations in Musical Activities of Elizabethan-Era England | 이영민 | pp.7-50 |
|
|
에셀 스미스의 가곡집 연구 = The Representation of the Women's Suffrage Movement as Composer : A focus on Three Songs (1913) of Ethel Smyth (1858-1944) : ≪세 개의 노래≫(1913)를 중심으로 | 김연미 | pp.51-84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Yun, Isang, Sim Tjong, Klavierauszug, Berlin: Bote & Bock, 1972. | 미소장 |
2 | 김용환 편저.「윤이상 연구」. 시공사, 2001. | 미소장 |
3 | 린저, 루이제 / 정태남 옮김.「상처받은 용」. 영학출판사, 1988. | 미소장 |
4 | 신인선. “윤이상 I.”「음악과 민족」 28 (2004), 14-41. | 미소장 |
5 | 윤신향.「윤이상 경계선상의 음악」. 한길사, 2005. | 미소장 |
6 | 윤이상・슈파러, 발터-볼프강 / 정교철・양인정 옮김.「윤이상의 음악미학과 철학: 나의 길, 나의 이상, 나의 음악」. 도서출판 HICE, 1994. | 미소장 |
7 | 한국 음악과 철학이 윤이상 음악에 미친 영향 | 소장 |
8 | 이수자.「내 남편 윤이상 (하)」. 창작과 비평사, 1998. | 미소장 |
9 | 윤이상 오페라「심청」의 서사 구조와 음악적 수용 | 소장 |
10 | 채경화, “한국 고전문학을 활용한 오페라 창작 방법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한남대학교, 2013. | 미소장 |
11 | 최성만・홍은미 편역.「윤이상의 음악세계」. 한길사, 1991. | 미소장 |
12 | Koch, Gerhard R.. “Das Nahe im Fernen. Isang Yun und der Western.”「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동아시아 문화」 (한국음악학회 편・윤이상평화재단편집). 예솔, 2007, 117-128. | 미소장 |
13 | Oh Seung-hun. “Yun I-sang’s Opera Shim Ch’ong: A Legend Revived after 27 years”, Koreana (English) Vol.13 No.2, The Korea Foundation, 1999. | 미소장 |
14 | Stephan, Ilja. “Kontinuität als Schaffensprinzip. Über zyklisch Zusammenhänge im Werk von Isang Yun.”「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동아시아 문화」 (한국음악학회 편・윤이상평화재단 편집). 예솔, 2007. 101-116. | 미소장 |
15 | 노형석, “‘상처받은 용’ 윤이상의 화려한 승천,”「한겨레」, 1999.5.24. | 미소장 |
16 | 노형석, “동백림사건 뒤 작곡, 인간 내면 숱한 암시,”「한겨레」, 1999.5.10. | 미소장 |
17 | 우광혁, “한국 초연 윤이상 오페라 ≪심청≫ 예술성 연출력 탁월 ‘성공적데뷔’,”「경향신문」, 1999.5.24. | 미소장 |
18 | 유윤종, “국내 관객 기대 못 미친 심리묘사: 윤이상 오페라 ≪심청≫,”「동아일보」, 1999.5.24. | 미소장 |
19 | 유윤종, “윤이상 오페라 ≪심청≫이 온다,”「동아일보」, 1999.5.10. | 미소장 |
20 | 윤자경, “≪심청≫ 연출 문호근 씨 ‘보고 들을 것 많아 재미있는 작품’,”「매일경제」, 1999.4.20. | 미소장 |
21 | 임연철, “횡설수설/ 고국에 돌아온 ≪심청≫,”「동아일보」, 1999.5.19. | 미소장 |
22 | “사설/ 윤이상의 ≪심청≫ 27년 만의 귀향,”「한겨레」, 1999.5.24. | 미소장 |
23 | “윤이상 작곡 오페라 ≪심청≫의 한 장면,”「동아일보」, 1999.6.2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