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현대 한국인들은 15세기 초반 세종대에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이 확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영토가 완성되었다는 인식을 역사교육을 통해 되풀이하여 교육받는다. 그러나 백두산을 중심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이 자연적인 경계 역할을 수행했다고 보는 것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인식이다. 그럼에도 이런 역사인식을 유지하고 그에 심각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영토의 덫에 빠질 위험성을 높이게 된다.

이 글에서는 경계 개념이 ‘지대로부터 선으로’ 이행해왔다는 기존 변경연구의 성과를 수용하여, 15세기 이후 한국의 북쪽 변경이 변화해온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북쪽 변경에 변화가 생기는 두 가지 큰 계기를, 17세기 초반의 네르친스크조약과 19세기 중반의 북경조약으로 설정하였다. 두 조약은 모두 청과 러시아 사이에 맺어진 것이었으나, 그것이 조선 과 청 그리고 러시아 사이의 경계에 몰고 온 변화는 심대한 것이었다.

19세기 후반 국경이 확정되면서 사람들의 이동에는 제약이 가해지고, 주민들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작업이 추진되었다. 이 시기에 한국에도 영토개념이 정착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제국은 근대국가로서의 국민통합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1905년 이후 간도문제는 전국민적 관심사로 부상하였고, 국경선을 경계로 확정된 영토가 민족주의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었다. 간도영유권 문제는 청일간의 협상의제로 전환하였고, 이를 계기로 근대적인 ‘민족’의식이 대두하면서 ‘강역계승의식’ 나아가 ‘영토적 민족주의’는 더욱 확산되어갔던 것이다.

at Korea's national border was fixed along the Yalu River and Tumen River as boundaries in the early part of the 15th century under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at this marked the territory of "Korea" as we today know it. However, this understanding that the Yalu and Tumen Rivers, with Mt. Baekdu in between, served as natural boundaries is inconsistent with historical facts. So maintaining this view of history and placing serious meaning to it only increases the risk of falling into the territorial trap.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northern border of Korea has evolved since the 15th century, incorporating the insights of the border studies that demonstrate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ncepts of boundaries from "zones" to lines." The Treaty of Nerchinsk of the early 17th century and the Treaty of Beijing of the mid-19th century were identified as two important occasions that triggered changes in the northern border of Korea. Both Treaties were concluded between Qing and Russia, but the changes they brought to Joseon's border with these two countries were indeed immense.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 the demarcation of the national border, restrictions were placed on the movement of people while efforts to reinforce their identity were carried out. The Great Korean Empire now aggressively promoted policies of national integration as a modern state. The post-1905 years saw rising interest in the Jiandao issue on a national level, showing that territory as defined by national borders can serve as a factor driving nationalism. The issue of Jiandao territorial rights became a matter for negotiations between Qing and Japan. This fueled modern-type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led to increas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territorial succession" and ultimately, further expansion of "territorial nationalis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06-2016년간 서원연구에 대한 검토 = Review on Seowon Studies during the Period of 2006-2016 邓洪波 pp.3-28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구성과 성격 =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onim in Oksan Seowon, Gyeongju 이병훈 pp.29-97
2000年 이후 한국 서원 연구의 현황과 과제 = The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on Seowon in Korea after 2000 이수환 pp.99-152
18세기 玄風 道東書院 院位田 경영의 '中正'한 가치추구 = How Literary Academies (書院) Applied Confucian Ideas to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During the 18th Century Choson Dynasty : A Case Study on Dodong Seowon(道東書院) : 학문적 가치의 경영원리 적용 정수환 pp.153-184
중국 고대서원교육의 禮容之學 = Yeyongjihak of Ancient Seowon Education of China 초영명, 이강 pp.185-202
전후(戰後) 재일코리안 미술에 나타난 리얼리즘 분석 = A Study on Analysis of Realism in Korean-Japanese Art of Post-War Japan : Focusing on the book of paintings of Joseon artist in Japan : 『재일조선미술가화집(在日朝鮮美術家画集)』을 중심으로 김명지 pp.205-236
中和의 원리에서 본 董仲舒의 經世觀과 陰刑陽德의 통일적 경계 = Dong Zhong-shu's World-view and the Unitary Boundary of Yin-xing and Yang-de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Zhong-he : Focusing on the Categories of Heaven Number and Human Sort : 天數와 人類의 범주를 중심으로 김연재, 조형근 pp.237-278
1945년 8월 15일 해방, 대구의 기억 = Independence, Memory of Daegu on Aug.15, 1945 김일수 pp.279-308
과거사청산에서 사회적 의례의 인식 = Recognition of Social Ritual in Transitional Justice : Focusing on the process of exhumation of civilian victims 노용석 pp.309-334
예천지역 종택마을 입지공간에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연구 = A quantification study using Feng Shui indicator in the location space of Jongtaek village in Yecheon area 박재락 pp.335-367

壬辰倭亂 고령·성주지역의 의병창의에 영향을 미친 사유 Seong Ju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Reasons that affect the movement of raise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goryeong 엄진성 pp.369-391
한국 변경사 연구 시론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Borders : Zones, Lines and Territories : 지대, 선, 영토 윤해동 pp.393-419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범진(2012),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미소장
2 남의현(2008), 『명대요동지배정책연구』, 강원대학교출판부 미소장
3 朴來謙, 조남권 박동욱 역(2015), 『沈使日記』, 푸른역사 미소장
4 박창희역(2015), 『역주 용비어천가』 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미소장
5 야기 다케시, 박걸순 역(2015), 『한국사의 계보』, 소와당 미소장
6 이기백(1992), 『한국사신론』, 일조각 미소장
7 이화자(2011), 『한중국경사 연구』, 혜안 미소장
8 임지현 편(2004), 『근대의 국경 역사의 변경』, 휴머니스트 미소장
9 피터 C. 퍼듀, 공원국 역(2012), 『중국의 서진』, 도서출판 길 미소장
10 19세기 북방 강역에 대한 인식 소장
11 김기혁(1996), 「李鴻章과 청일전쟁」, 『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미소장
12 한중관계사에서 변경사로 : 여진-만주족과 조선의 관계 소장
13 박명용(2005), 「연해주를 둘러싼 한국과 러시아영토문제」, 『북방사논총』 4호 미소장
14 박민영(2005), 「장지연의 북방강역 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5집 미소장
15 백두산정계비와 화이(華夷)질서 소장
16 변경에서 중심 읽기 : 변경에서 보는 유럽 근대 국가와 유럽연합 소장
17 Perception of Nation and Territory during the Final Period of the Taehan Empire 네이버 미소장
18 심헌용(2005), 「러시아의 극동진출 전략과 국경을 둘러싼 조ㆍ러양국의 대응」, 『군사』 56호 미소장
19 아키츠키 노조미(2009), 「화이질서에서의 경계지대와 국제법적 ‘국경’」, 동북아역사재단 편, 『근대변경의 형성과 변경민의 삶』, 동북아역사재단 미소장
20 유재춘(2002), 「15세기 명의 東八站 지역 점거와 조선의 대응」, 『조선시대사학보』 18 미소장
21 15세기 前後 朝鮮의 北邊 兩江地帶 인식과 영토 문제 소장
22 유재춘(2011), 「중근세 한중간 국경완충지대의 형성과 경계인식」, 『한일관계사연구』 39집 미소장
23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를 보는 방법 소장
24 '邊地'에서 '內地'로 : 中國人 移民과 滿洲(國) 소장
25 1899년 韓·淸通商條約 締結과 大韓帝國 소장
26 대한제국기 '간도문제'의 추이와 '식민화' 소장
27 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두만강·토문강·분계강 개념과 그에 대한 검토 소장
28 이와시타 아키히로(2015), 「일본의 영토분쟁: 정리와 전망」, 와다 하루키 외, 『독도문제는 일본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가』, 제이앤씨 미소장
29 이완종(2004), 「러시아의 극동진출과 중-러 국경획정과정 연구」, 『북방사연구』 4호 미소장
30 이왕무(2008), 「19세기말 조선의 강역인식 변화」, 『역사와 실학』 37 미소장
31 近代以来中国国境变迁与领土认识 소장
32 개화기 조선의 간도인식과 정책의 변화 소장
33 Kenneth R. Robinson(2010), “Residence and foreign relations in the Peninsular Northeast During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Sun Joo Kim ed.,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History, Identity and Culture, Seattle and Lond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미소장
34 Owen Lattimore(1962), Inner Asian Frontiers of China, Beacon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