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지금까지의 수학 교구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연구에서 제시한 교구의 활용을 통하여 나타난 학업성취도의 변화나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구 활용에 대한 변화 내용 보다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중에서 교구의 활용에 적합한 성취기준을 조사하여, 그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의 제시하고, 현재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구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앞으로 교구의 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2017)에서 수학 수업용 교구 표준안에 제시한 교구를 기준으로 앞으로 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Most of the studies of mathematics so far have found positive chang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positive changes in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 or attitudes or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use of the teaching aids and to present the teaching aids and the methods for teaching the learning contents appropriat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Specifically, it finds the achievement standard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s instruction course of th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rs, finds the available diocese in the standard diocese for the math class, and investigates the diocese in use in the present textbook.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완・백석윤(2002). 초등수학교육론,서울:동명사. Kang,W. & Baek,S,Y(2002).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l: Dongmyoungsa. 미소장
2 Teachers' Perceptions on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Using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Devices 네이버 미소장
3 교육부(2016). 보도자료, 서울: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6). Press release, Seoul: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4 교육부(2013).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서울: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3). Mathematics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manual for teachers.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5 교육부(2017).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서울: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7). Mathematics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manual for teachers.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6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5).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7 교육부(2017). 수학 교구 기준안 정비 및 활용 활성화안내(시・도교육청 공문).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7). Guidance on the revision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s instruction standard(official documents of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8 수학의 기본 구조 지도와 딘즈블럭 네이버 미소장
9 학교수학 학습에서의 퀴즈네어 막대 활용 네이버 미소장
10 A Study of Fraction Instruction Using Pattern Blocks as Manipulatives 소장
11 김응태․박한식․우정호(1996). 수학교육학개론,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Kim,E.T., Park,H.S., & Woo,J.H.(1996). Introduction to the Department of Mathemat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미소장
12 김정하(2000). Dienes의 수학 학습 원리의 구체화 방안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J.H.(2000). A Study on the Refinement of the Principles of Mathematics. A master's degree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13 Series E :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Prior Studies Based on Using Teaching Tools 소장
14 나귀수(2002). 연구보고 RRC 2002-4-3,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예시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Na,G.S.,(2002). Research Report RRC 2002-4-3,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rofessor, sample case book, KICE. 미소장
15 남승인(2003).초등학교 수학학습에서 교구활용에 관한연구-칠교판 활용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8, 109 –134. Nam,S.I.(2003). A study on the using of manipulative materia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angram. Thesis Collection of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8, 109-134. 미소장
16 남억우 외(1987). 교육학대사전. 서울:교육과학사. NAm, E.W. et al.(1987). Educational Dictionary. History of Education Science. 미소장
17 A Study on the Uses and the Activation Plan for the Manipulative Material in Elementary Mathematics 소장
18 An Analysis on the Meaning and Use of Manipulative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소장
19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배영사.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1995). Education dictionary. Baeyoungsa. 미소장
20 손숙현(2000). 수학교구를 활용한 클럽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Son, S.H.(2000).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Students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ability to learn shapes from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A master's degree from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21 A Study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Activity-Centered Teach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소장
22 A Study of Activity-type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소장
23 안주형(2001). 탱그램과 모자이크 퍼즐을 활용한 수학과 수업분석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Ahn,J.H.(2001). A study on mathematics and classroom analysis using TANGRAM and mosaic puzzles.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24 이경화・정혜윤・강완・안병곤・백도현(2017). 수학교구의 교수학적 원리와 표준안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1(2), 203-222 Lee, K.H., & Kang. W. & Chung, H.Y & Ahn,B.Y & Baek, D. Y.(2017). Development of Pedagogical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J. Korean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1(2), 203-222 미소장
25 이명희(2003). 패턴블록 조작활동이 공간감각 발달에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M.H.(2003). Effects of Pattern Block Operation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Senses,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26 이성애(1999). 수학 클럽활동 자료의 개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S.A.(1999). Development of Activity materials for the Mathematical Club, Master's Degree from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27 이형미(2016). 초등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교구비교 분석 -한국, 미국, 핀란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Lee, H.M.(2016.08).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al Elem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Korea, USA and Finlan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28 정동권(2001). 수학교실에서 기하판의 활용 의의와 활용사례분석. 학교수학, 3(2), 447-473. Chung,D.K.(2001). An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of the application and use cases of the lower plates in mathematics classrooms, School mathematics, 3(2), 447-473. 미소장
29 새시대 교수법 네이버 미소장
30 A Case Study on the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소장
31 한국과학창의재단(2017). 수학 수업용 교구 표준안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Korea Science Foundation (2017). Development of paradigm standard for mathematics class.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d of Science & Creativity. 미소장
32 Bruner, J. S. (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 Belkapp Press. 미소장
33 Dienes, Z. P.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Hutchinson Educational. 미소장
34 Piaget, J. (1971).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Boston: Routledge and Kegan. 미소장
35 Conceptualizing the curriculum enactment process in mathematics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36 Effects of Manipulative Materials in Mathematics Instruction 네이버 미소장
37 Spikell, M. A. (1993). Teaching Mathematics with Manipulatives: A Resource of Activities for the K -12 Teacher. Allyn & Bacon. Boston, MA 02116. 미소장
38 Suydam, M. N. & Higgins, J. L. (1977). Activity-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Recommendations from research. Ohio: ERIC. 미소장
39 Zbiek, R. M., Heid, M. K., Blume, G. W., & Dick, T. P. (2007). Research on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A perspective of constructs.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1169-1207). Charlotte, NC:Information A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