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허물 모르는 게 내외 : 오페레타의 발레 '박쥐' / 유형종 ; Wiener Staatsoper ; Michael Poehn 1
[머리글] 1
격식은 내려놓고 볼거리를 더한 오페레타 2
감각적 스타일, 색슈얼한 매력의 발레 2
[저자소개] 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산다는 건, 논다는 것! : 마당놀이를 기다리며 | 글: 윤중강 | pp.10-13 |
|
보기 |
"어머니 아버지 같은 관객들, 마당놀이의 자부심이죠" : 김성녀와 손진책 [인터뷰] | [인터뷰이]: 김성녀, 손진책 ; 글: 유주현 ; 사진: 전강인 | pp.14-17 |
|
보기 |
네 개의 역할, 여덟 가지 빛깔 | 글: 차경연, 안지선 | pp.18-23 |
|
보기 |
신화 혹은 미스터리 : 국립무용단 향연 | 글: 손민호 | pp.26-29 |
|
보기 |
시대적 고민에서 사명으로 : 국립극장 제야판소리 | 국립극장 | pp.30-31 |
|
보기 |
제야에는 더욱 문전성시 : 2017 국립극장 제야음악회 | 글: 조화연 | pp.36-37 |
|
보기 |
창극이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다 : 국립창극단 산불 | 글: 이진아 | pp.40-43 |
|
보기 |
우리는 왜 재즈를 듣나 : 재즈의 탄생과 의미 | 글: 황덕호 ; 그림: 손민정 | pp.58-61 |
|
보기 |
12현에서 25현까지 : 국립국악관현악단 개량가야금 수용사 | 글: 송현민 ; 사진: 김창제 | pp.62-65 |
|
보기 |
허물 모르는 게 내외 : 오페레타의 발레 '박쥐' | 글: 유형종 | pp.66-69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