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청색광 배출도를 낮춘 인터넷 television (TV) 영상이 눈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강한 피험자 98명을 대상으로 동일 애니메이션 영화로부터 추출한 원본 동영상(대조영상)과 저청색광 동영상(시험영상)을 무작위 순서에 따라 1시간씩 온도, 습도, 조도가 동일한 공간에서 시청하도록 하였다. 영상 시청 전과 후, 객관적 척도로서 원거리⋅근거리 굴절력과 눈물막파괴시간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척도로서 별도로 고안된 눈불편감척도를 이용하여 동영상 시청 후 눈불편감척도와 눈불편시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피험자 98명의 연령 중앙값은 28.5세였고(7-47세) 그중 여성이 56명이었다. 영상시청 전 피험자의 원거리 및 근거리 굴절력은 각각 평균 -1.57D, -2.79D였고 대조영상 시청 후 -1.60D, -2.83D, 시험영상 시청 후 -1.58D, -2.87D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근원거리 굴절력의 변화량, 즉 근거리시표 주시 조절력은 원시피험자(37명)에 한하여, 시험영상 시청 후 대조영상 시청 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대조영상 1.83D, 시험영상 2.14D, p<0.01). 눈물막파괴시간은 시청 전 평균 6.50초에서 대조영상 시청 후 5.76초, 시험영상 시청 후 5.97초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눈불편감척도는 대조영상에 비해 시험영상 시청 후 낮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15.40 vs. 12.85, p=0.10). 눈불편증상이 시작된 시간은 시험영상 시청 후 유의하게 늦었다(평균 23.48분 vs. 34.51분, p<0.01).
결론: 청색광 배출을 줄인 인터넷 TV 시험영상은 통상의 영상에 비해 주관적 눈불편감, 피로도를 완화시키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특히 원시 피험자에서는 근거리 조절기능을 적정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눈피로도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urpose: The blue light emitted from electronic devices may be harmful to the eye. We investigated whether internet-protocol television (TV) with lowered blue light emission reduced ocular fatigue.
Methods: A total of 98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They watched an animated movie (A) and an identical version except for reduced blue light (B), sequentially for 1 hour in random order. Before and after watching the movies, we measured the distance and near refraction and tear break-up time objectively. Ocular discomfort score and the earliest onset time of the ocular fatigue symptoms were also measured using our specially designed subjective ocular discomfort scale.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8.5 years, and there were 56 females out of 98 total participants. Both distance and near refra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versus after watching the movies, nor between viewing movies A and B. However, the accommodative amplitude measured by subtracting the near refraction from the distance refraction was found to be greater after watching movie B compared with movie A in a subset of subjects with hyperopia [1.92 vs. 1.72 diopters (D) for the right eye and 2.14 vs. 1.83 D for the left eye; p = 0.04 and p < 0.01, respectively]. The ocular discomfort score was lower (15.40 vs. 12.85; p = 0.10), but not significantly, and the earliest ocular fatigue onset time was significantly delayed (23.48 vs. 34.51 minutes; p < 0.01), after watching movie B.
Conclusions: Reduction of blue light emission alleviated ocular fatigue caused by TV displays. Watching TV with lower blue light may provide benefits to hyperopic individuals by reducing eye strain and improving the accommodative amplitude.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Rosenfield M. Computer vision syndrome. Optometry in Practice 2016;17:1-10. | 미소장 |
2 | Smartphone use is a risk factor for pediatric dry eye disease according to region and age: a case control study ![]() |
미소장 |
3 |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fter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with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 |
미소장 |
4 | Lee HS, Cui L, Li Y, et al. Influence of light emitting diode-derived blue light overexposure on mouse ocular surface. PLoS One 2016;11:e0161041. | 미소장 |
5 | The effect of visual blue light on mitochondrial function associated with retinal ganglions cells ![]() |
미소장 |
6 | Effects of blue light on the circadian system and eye physiology. ![]() |
미소장 |
7 | Effects of smartphone use with and without blue light at night in healthy adults: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placebo-controlled comparison ![]() |
미소장 |
8 | Bando T, Iijima A, Yano S. Visual fatigue caused by stereoscopic images and the search for the requirement to prevent them: a review. Displays 2012;33:76-83. | 미소장 |
9 | Clinical Research on the Ophthalmic Factors Affecting 3D Asthenopia ![]() |
미소장 |
10 | Blue light-absorbing intraocular lens and retinal pigment epithelium protection in vitro ![]() |
미소장 |
11 | Visual function improvement using photocromic and selective blue-violet light filtering spectacle lenses in patients affected by retinal diseases ![]() |
미소장 |
12 | Intraindividual Comparison of Visual Outcomes between Blue Light-filtering and Ultraviolet Light-filtering Intraocular Lens | 소장 |
13 | Iatsun I, Larabi MC, Maloigne CF. Investigation and modeling of visual fatigue caused by S3D content using eye-tracking. Displays 2015;39:11-2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