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5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Diplomatic Strains between South Korea and West Germany after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in 1967 소장
2 김언호. 1991. “나의 삶, 나의 음악, 나의 민족”(한겨레신문 1988.10.27. 대담 보완), 최성만 ·홍은미, 『윤이상의 음악세계』, 92-108에 재수록. 미소장
3 김호정. 2017. “언론이 본 윤이상: 1960년 이후 중앙일보·동아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한독음악학회·민족음악학회 주최 학술대회 ‘윤이상, 통일, 베를린’(2017.11.4.) 발표논문집, 136-145. 미소장
4 노동은. 2017. “윤이상. 통일음악회를 성사시킨 세계적인 음악가,” 『인물로 본 한국근현대음악사』, 서울: 민속원, 259-287. 미소장
5 노승림. 2017. “작곡가 윤이상이 지닌 정치·사회적 헤게모니 연구,” 학술대회 ‘윤이상, 통영, 베를린’ 발표논문집, 146-153. 미소장
6 류경선. 2017. “윤이상이 작곡한 교가의 분석적 고찰,” 학술대회 ‘윤이상, 통영, 베를린’ 발표논문집, 47-59. 미소장
7 박용구. 1989. “‘윤이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공간』 1989년 5월호, 30-31. 미소장
8 박용구. 1994a. “윤이상 - 그가 차지한 자리, 차지해야 할 자리,” ‘윤이상 음악축제’ 프로그램. 미소장
9 박용구. 1994b. “맥박 뒤흔든 ‘음악 언어’. ‘윤이상 축제’ 서울 공연…순도 높은 예술혼·국제적 보편성 보여줘」, 『시사저널』(1994.9.22.)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Print/111908 (2017.12.05. 접속). 미소장
10 변지연. 2017. “물리학 언어로 접근한 윤이상의 음악관,” 학술대회 ‘윤이상, 통일, 베를린’ 발표논문집, 121-135. 미소장
11 서경식, 한승동 옮김. 2011. 『나의 서양음악 순례』, 서울: 창비. 미소장
12 Issues and Historical Location of the East Berlin-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소장
13 윤신향. 2008. “윤이상 수용문화 어디로 가나? - 윤이상 탄생 90주년을 돌아보며,”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8』, 18-26. 미소장
14 윤이상. 1989. “나의 조국, 나의 음악,” 『음악동아』 1988년 3월호, 34-36. 미소장
15 최성만·홍은미 편역, 『윤이상의 음악세계』, 73-76, 이수자, 『내 남편 윤이상(상)』, 9-12에 재수록. 미소장
16 최성만. 1993. “(베를린 현지 인터뷰) 음악은 내 생명의 원천, 삶의 전부입니다,” 『객석』 1993년 12월호, 122-126. 미소장
17 최성만. 1995. “통일운동 중단, 작곡 전념할 터,” 『객석』 1995년 1월호, 36-37. 미소장
18 윤이상·루이제 린저, 홍종도 옮김. 1988. 『윤이상-루이제 린저의 대담. 상처 입은 용』. 서울: 한울. 미소장
19 ‘Just Peace’ in the music world of Isang Yun 소장
20 이수자. 1998. 『내 남편 윤이상』(상/하). 서울: 창작과 비평사. 미소장
21 탄원서에 나타난 서독인들의 동백림사건 인식 소장
22 "소수적 음악을 위하여" : 유럽 현대음악 속의 윤이상 소장
23 Reconstructing Korean New Music Scene During the 1960s 소장
24 The Pan Music Festival in the 1970s : Reconsidering Experiments in Korean Contemporary Music 소장
25 The topography of the Cold War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소장
26 장현경. 2017. “한국의 윤이상 연주, 제한과 수용의 역사를 찾아서,” 통영국제음악제 주최 윤이상 탄생100주년 기념학술대회 ‘21세기 아시아에서 윤이상의 음악적 유산을 재조명하다’(2017.4.2.) 미출판 발표문. 미소장
27 저자미상. 2017. “후대 음악가들이 말하는 윤이상 음악의 오늘”(서면인터뷰) - 김승근 박치완 서예리 성시연 윤호근 이정란 최우정,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11』, 19-41. 미소장
28 1960년대 '동백림사건'과 정치·사회적 담론의 변화 소장
29 최성만·홍은미 편역. 1991. 『윤이상의 음악세계』, 서울: 한길사. 미소장
30 Memory for the Future : the Position and Meaning of Korean Culture in the Music of Isang Yun 소장
31 최애경. 2017b. “윤이상의 말년의 창작 작업: 기억과 내면세계의 미학,” 학술대회 ‘윤이상, 통일, 베를린’ 발표논문집, 14-33. 미소장
32 최우정. 2016. “아시아 현대음악의 플랫폼 만들기: 작곡가·기획자 김승근의 활동과 비전,”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10』, 64-71. 미소장
33 최유준. 2017. “윤이상이라는 이름,” 경향신문 2017.2.23. 미소장
34 홍정수. 2015. “나운영과 윤이상의 번진음 음악: 무조음악의 수용과 대응,” 음악미학연구회 엮음, 『글로벌 시대의 동아시아 현대음악』, 73-96. 미소장
35 홍정수. 2017. “윤이상 통영 베를린," 학술대회 ‘윤이상, 통일, 베를린’ 발표논문집, 1-13. 미소장
36 김보협. 1998. “통일 디딤돌 놓는 제1회 윤이상 통일음악회. 남북 화합선율 통일이여 오라” “남북음악인 아름다운 통일선율. 민간차원 문화교류 큰 디딤돌. 윤이상 음악회 결산,” 한겨레 1998.10.29./1998.11.7. 미소장
37 김현숙 차장대우. 1994. “38년간의 오디세이”, 『시사저널』 제249호(1994.8.4.), 42-52. 미소장
38 전성환. 1988. “재독 작곡가 윤이상과의 일문 일답.휴전선 남북공동 음악제 주선하겠다,” 『음악동아』 1988년 8월호, 108-111. 미소장
39 월간음악 편집부. 1979. “충격 취재. 임원식 윤이상의 ‘무악’을 지휘하다,” 『월간음악』 1979년 5월호, 54-61. 미소장
40 경향신문 기사. 1956. “입상자에 수상식. 5회 서울시문화상”(1956.4.12.). 미소장
41 경향신문 기사. 1960. “소관현악곡 스코어 간행. <피아노를 위한 오악장>동 발표. 서백림의 윤이상씨 근황”(1960.5.21.). 미소장
42 경향신문 기사. 1969. “올해 ‘킬’ 문화대상을 탈 윤이상씨와의 인터뷰. 조국 위해 대작 창작할 터”(1969.3.8.). 미소장
43 경향신문 기사. 1993. “음악이 전부…사상적 굴레는 잘못”(1993.05.19.). 미소장
44 동아일보 기사. 1988. “윤이상 작품 국내연주 진통”(1988.10.19.). 미소장
45 동아일보 기사. 1999. “윤이상 ‘화엄속의 천사’ 국내초연 논란”(1999.4.12.). 미소장
46 1999. [끝나지 않은 동백림 사건],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2회 1999.9.19. 방송. 미소장
47 2004. [고향 한 작곡가의 유산 - 윤이상], KBS 일요스페셜 2004.10.3. 방송. 미소장
48 2005. [45년 만의 만남], 경남MBC 2005.3.18. 방송. 미소장
49 2006. [윤이상 서거 10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하늘에 새긴 선율”], 경남MBC 2006.4.25. 방송. 미소장
50 2013. Isang Yun In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irected by Maris Stodtmeier Accentus Music.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