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베니스의 상인』의 샤일록은 악한이자 악마로서 간주되거나 기독교 사회에서 부당하게 박해당하는 피해자로 간주되어왔다.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 이후의 비평에서는 문학 텍스트나 문학 비평의 영역에서 배제되었던 타자의 문제를 새롭게 부각시켜서 유태인 샤일록을 베니스의 기독교 사회에서 억압당하는 인종적, 종교적, 경제적 타자로 해석해냈다. 이 논문은 크리스테바의 비체화 이론을 토대로 타자로서의 샤일록이 어떻게, 왜 비체로서의 샤일록이 되었으며 어떤 방식으로 비체가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샤일록은 베니스의 기독교 사회가 깨끗하고 동질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어놓은 경계선에 의해 주변으로 밀려난 타자, 즉 비체가 되었다. 샤일록을 비체로 만드는 장치인 경계선에는 게토와 특수한 유태인 복장 같은 눈에 보이는 경계선과 종교적, 경제적 측면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선이 있다. 그러나 샤일록은 빌려간 돈을 제날짜에 갚지 못한 앤토니오에게 1파운드의 살을 떼어달라고 요구함으로써 이런 경계선을 넘어 기독교 사회의 정체성을 위태롭게 만든다. 경계선을 넘으려는 샤일록의 시도는 1파운드의 살에 대해 다른 해석체계를 제시한 포오샤에 의해 저지당하고 샤일록은 다시 비체의 자리로 추방된다. 비체로서의 샤일록에 대한 비평은 타자의 수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항상 경계를 벗어나서 지배 체제에 도전하고자 하는 욕망을 강조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카탈루냐어의 전통적 시각표현의 해석적 모호성과 관련된 언어-문화적 현상 = The linguistic and cultural phenomena derived from the interpretative ambiguity in the traditional Catalan time telling expressions 곽재용 pp.225-259

푸슈킨의 자화상 연구 = A Study on Pushkin's Self-Portraits 심지은 pp.283-311

괴물서사란 무엇인가? = What Is a Monster Narrative? : Seven Frag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nster Narrative and a Catastrophic Narrative : 괴물서사에서 파국서사로 나아가기 위한 일곱 개의 단편 문형준 pp.31-51

포스트휴먼 시대의 '주적(主敵)'들의 재현 = "Main Enemies" in the Posthuman Era : Monsters in Three Spanish Films : 스페인 영화와 괴물들 서은희 pp.53-75

포스트휴먼 시대의 젠더정치와 괴물-비체의 재현방식 = Gender politics and the monster-abject representation method of the posthuman age : Focused on works by Kim Eon-hee and Han-Kang : 김언희와 한강의 작품을 중심으로 백지연 pp.77-101

가능 표현의 실현 용법에 대하여 = On the 'realization' meaning of possibility expressions : '-ul swu iss-' and its counterparts in Japanese and Chinese : '-을 수 있-' 및 일본어·중국어의 대응 표현을 중심으로 강영리, 서취아, 박진호 pp.313-346

비교문학연구방법론에 대한 소고 = Thick Description as a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 길고 약하고 두껍게 비교하기 박선주 pp.347-370

로뻬의 연극『세비야의 별』에 나타난 비극성 연구 = Study on Tragic Characteristic in Lope's Drama La estrella de Sevilla 윤용욱 pp.371-394

쌍형어에 대하여 = On Doublets 이은경 pp.425-451

신경학적 예외상태에서 비인간적 동물-되기 = A Becoming-Nonhuman Animal in the Neurological State of Exception : Black Swan and Birdman : <블랙스완>과 <버드맨> 박제철 pp.1-29

러시아 음악 산업 현황과 과제 =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the Russian Music Industry : Centered on the Digital Sound Sources : 디지털 음원을 중심으로 권기배, 김세일 pp.395-424

프랑스어 전치사 de의 의미 구조와 문법화 = The Semantic Structure and Grammaticalization of the French Preposition de 박정준 pp.453-482

아무도 말하지 않으려는 사드 작품의 몇 가지 특성 = Certain characteristics of Sade's work that no one wants to allude 정해수 pp.261-281

아프리카의 신부대(bride wealth) 관습 = The Custom of Bride Wealth in Africa : The Context of Change and Reconstruction : 변화와 재구성의 맥락 설병수 pp.131-172

무역 중국어 담화 고찰과 한중 협상문화 비교 = Discourse Analysis of Business Chinese and the Comparison of Negotiation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Business Emails Related to 'Napkin Holder' Imports : '냅킨꽂이' 수입 관련 비즈니스 이메일을 중심으로 최태훈 pp.103-129

비체로서의 샤일록 = Shylock as the Abject 이미선 pp.483-507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관리와 활용 현황에 대한 한일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ministration and Utilization of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imjang and Washoku in Korea and Japan : 김장문화와 와쇼쿠(和食)를 중심으로 김현정 pp.197-224

창작 주체의 문화적 위치와 영화 서사와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Position of the Subject of Creation and Filmic Narrative : Focusing on A Quiet Dream by Zhang Lu : 장뤼(張律)의 <춘몽>을 중심으로 진성희 pp.173-196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타자'로서의 유태인 : 『베니스의 상인』(The Merchant of Venice) 연구 소장
2 Shylock`s Otherness 소장
3 윌리엄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 전집』, 김재남 역, 서문당, 1996. 미소장
4 단일 의미의 불가능성 네이버 미소장
5 자메이카 킨케이드의 『애니 존』에 나타난 어머니/식민지 본국의 비체화 소장
6 Barber, C. L., Shakespeare's Festive Comedy: A Study of Dramatic Form and Its Relation to Social Custom, Princeton: Princeton UP, 1959. 미소장
7 Brady, Mary Pat, “The Fungibility of Borders,” Nepantla: Views from South 1(1), 2000. 미소장
8 Butler, Judith,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London: Routledge, 1990. 미소장
9 Butler, Judith, Bodies That Matter: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London:Routeledge, 1993. 미소장
10 Coats, Karen, Looking Glasses and Neverlands: Lacan, Desire, and Subjectivity in Children's Literature, Iowa City: University of Iowa Press, 2004. 미소장
11 The Jew and Shylock 네이버 미소장
12 Creed, Barbara, “Kristeva, Feminity, and Abjection,” The Horror Reader, ed. by Ken Gelder, London: Routledge, 2000. 미소장
13 Danson, Lawrence, The Harmonies of the Merchant of Venice, New Haven:Yale UP, 1978. 미소장
14 Davis, Richard C., “Introduction,” The Jews of Early Modern Venice, ed. by Richard C. Davis and Benjamin Ravid,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P, 2001. 미소장
15 Derrida, Jacques, Of Hospitality, Stanford: Stanford UP, 2000. 미소장
16 Eagleton, Terry, William Shakespeare, Oxford: Blackwell, 1986. 미소장
17 Garber, Marjorie, Shakespeare After All, New York: Pantheon Books, 2004. 미소장
18 Kermode, Frank, “The Mature Comedies,” Early Shakespeare, ed by John R. Brown & Bernard Harris, New York: St Martin's, 1961. 미소장
19 Shylock's Sacred Nation 네이버 미소장
20 Kristeva, J., The Powers of Horror, tr. by L. F. Céline, New York: Columbia UP, 1982 (Original work published 1980). 미소장
21 Kristeva, J., Strangers to Ourselves, tr. by S. R. Leon, New York: Columbia UP, 1991. 미소장
22 Kwon, Young-Keun, “The ‘Other’ in The Tempest and The Merchant of Venice,” 『영어영문학』 9, 2002. 미소장
23 Lacan, Jacques, Écrits: A Selection, tr. by Alan Sheridan, London: Tavistock, 1977. 미소장
24 Meyer, Adam, “Victim and Villain: Shylock in the African American Imagination,” Borrowers and Lenders VII(2), 2013. 미소장
25 Moody, A. D., Shakespeare: The Merchant of Venice, New York: Barron's Educational Series, 1964. 미소장
26 Schneiderman, Stuart, Jacques Lacan: the death of an intellectual hero, Cambridge and London: Harvard UP, 1983. 미소장
27 Shakespeare, William, The Riverside Shakespeare, ed. by Evans, G. Blakemore et al.,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74. 미소장
28 Shakespeare's Shylock 네이버 미소장
29 Stoll, Elmer Edgar, “Shylock,” The Journal of English and Germanic Philosophy 10, 1911. 미소장
30 Derrida, Jacques, “Politics and Friendship: A Discussion with Jacques Derrida at the Center for Modern French Thought,” University of Sussex. http://www.hydra.umn.edu/derrida/pol+fr.html (검색일: 2018.01.10.) 미소장
31 Sentürk, Neslihan, “Border as an Abjection Tool and the Creation of Abject-ivities in The Merchant of Venice,” https://whatamiwriting. wordpress.com/2010/06/06/border-as-an-abjection-tool-and-the-creation-of-abject-ivities-in-the-merchant-of-venice/ (검색일: 2018.01.1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