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동북아시아 구석기시대의 현장조사법 연구 = The study of field research method of Paleolithic in Northeast Asia / 이헌종 1

목차 1

국문초록 2

I. 머리말 3

II. 동북아시아 구석기시대의 현장 발굴법 4

1. 발굴의 전제들 4

2. 기초자료 수집의 기본, 발굴법 5

III. 문화해석을 위한 자연과학 분석 방법의 기반, 층위 11

IV. 보고서 작성과 실험실 작업 16

1. 석기기술법 16

2. 실험과 기능분석 17

V. 동북아시아 구석기발굴의 적용 : 맺음말을 대신하여 21

참고문헌 23

[요약] 25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賈蘭坡·黃慰文, 1997, 『發現北京人』, 幼獅文化事業公司 미소장
2 谢飞, 2006, 『泥河灣』, 文物出版社 미소장
3 高星·王惠民·贺吉德 主編, 2011, 『水洞沟』, 科學出版社 미소장
4 高星·沈辰, 2008, 『石器微痕分析的考古學實驗硏究』, 科學出版社. 미소장
5 러시아 고고학에 있어서 자연과학의 적용 - 구석기시대 - 네이버 미소장
6 이헌종, 1997, 「석기분석법」, 『고고학연구방법론』,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7 이헌종, 2016. 『섬의 고고학』. 학연문화사 미소장
8 후기구석기시대 돌날제작기법에 관한 실험고고학적 접근 : 연질망치와 경질망치의 직접타격법 중심으로 소장
9 The study of Archaeological Evidence and Technical Change of Hard and Soft Hammer Techniques in the Blade Tool Industry in Korea 소장
10 최몽룡·이헌종, 1994, 『러시아의 고고학』, 학연문화사. 미소장
11 Li, F., Gao, X., Chen, F.-Y., Pei, S.-W., Zhang, Y., Zhang, X.-L., Liu, D.-C., Zhang, S.-Q.,Guan, Y., Wang, H.-M., Kuhn, S.L., 2013. The development of Upper Palaeolithic China: new results from the Shuidonggou site. Antqiuity 87, 368-383. 미소장
12 Progress in the stratigraphy and geochronology of the Shuidonggou site, Ningxia, North China 네이버 미소장
13 Licent, E. & P. Teilhard de Chardin. 1925. Le Paleolithique de la Chine. L’Anthropologie 25:201–34. 미소장
14 J.Y.Kim·S.K.Krivonogova·Y.J.Lee·J.Y.Woo·K.C.Oh·D.Y.Yang·J.C.Kim·I. Y.Safonova·M.Yamamoto, 2013. Climatic stages recorded in sediments of the Gunang Cave, South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Vol. 313–314, 5 November, 194-209 미소장
15 Journal of altaica issue 1. 1992, AIC, Novosibirsk. 미소장
16 Journal of altaica issue 2. 1993a, AIC, Novosibirsk 미소장
17 Journal of altaica issue 3. 1993b, AIC, Novosibirsk. 미소장
18 Journal of altaica issue 4. 1994, AIC, Novosibirsk. 미소장
19 Pei, W. C., 1934. A preliminary report on the Late Palaeolithic cave of Choukoutien.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China 13:327–58. 미소장
20 Pei, W. C., 1938. Bone breakage due to the role of animals and natural causes. Palaeontologica Sinica 118:1–61. (In French.) 미소장
21 Pei, W. C., 1938–39. On the Upper Cave industry. Peking Natural History Bulletin 13:175–79. 미소장
22 Pei, W. C., 1939. On the Upper Cave industry. Palaeontologica Sinica 9:1–58. 미소장
23 Pei, W. C., 1940. The Upper Cave fauna of Choukoutien. Palaeontologia Sinica 125. Chungking: Geological Survey of China. 미소장
24 Абрамова. З.А, Палеолит Енисея-Афонтовская культура, Новосибирск, 1979. 미소장
25 Деревянко А.П. 2007. К проблеме обитаня Неандертальцев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и Сибири, ИИАиЭ СОРАН, Новосибирск. 미소장
26 Деревянко А.П. , А.К. Агаджанян, Г.Ф. Барышников и др. 1998. Археологоия, геология и палеогеография плейстоцена и голоцена Горного Алтая, ИИАиЭ СОРАН Новосибирск. 미소장
27 Деревянко А.П. , М.В. Шунков, А.К. Агаджанян, Г.Ф. Барышников, Е.М. Малава, B.А. Ульянов, Н.А. Кулик, А.В. Постнов, А.А. Анойкин 2003. Природная среда и человек в Палеолите Горного Алтая, ИИАиЭ СОРАН Новосибирск. 미소장
28 Колобова К.А., А.И. Кривошапкин, К.К. Павленок 2014. Кореноидные изделия впалеолитических индустриях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Археология, это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No.4(6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