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지난 10년간 국내 도서관계에서는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관련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관련 법안이 마련되고, 시설과 설비가 확대되고, 관련 장서와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비율이 증가추세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장애유형별 이용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이용자 면담과 전문가 델파이 연구를 통해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핵심요구를 파악하였다. 이용자들은 자원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확대, 개별화된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시설 편의성 증대, 웹과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향상, 전문적인 인력 배치 등을 요구하였다.

Over the past decade, the environment around libraries for the disabled has been greatly improved. Related legislation was established, facilities and facilities expanded, and the number of related collections and programs increa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urvey of users'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needs to be completed.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xisting research and analyzed the core needs of each type of disability employing user interviews and expert Delphi research. Users demand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resources as well. Users needed personalized services and programs, convenience in using facility, accessibility of web and applications, and professional staff.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공도서관의 운영체계 및 지위적 역할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ructure and Status Role of Korean Public Libraries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하여 노지현, 조용완 pp.99-122

도서관 직원 및 이용자의 일반열람실 인식도 분석 = Analysis of Staff and User's Perception of the Separate Reading Room of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 경북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윤희윤, 김일영 pp.1-22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 측정 연구 =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Social Impact of Cultural Programs of the Children's Library 강정아, 노영희 pp.233-265

이용자 참여 로그 기반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현황 분석 = An Analysis of Library Culture Program Management based on Users' Participation Logs :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국립세종도서관 사례를 통해 최두원, 강주연, 양동민, 이현주, 오효정 pp.293-320

광역자치단체장 및 교육감 후보자들의 도서관 관련 공약 분석 = Analysis of Library Related Campaign Promises of the Candidates for the Head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th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 제1~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조용완 pp.149-171

공감독서교육이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on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송지애, 조미아 pp.267-292

지역사회 공동체 중심으로서의 작은도서관 = Small Libraries as the Center of Local Community : Focused on the case of Atti Library : 대구 안심지역의 아띠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성신, 성희자, 이세나 pp.77-97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자아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A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and Self Efficacy toward Core Competencies 강봉숙 pp.215-232

K-MOOC 시대 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s of Library in the Era of K-MOOC 문방희 pp.193-214

이용자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근대문학자료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Modern Literature Service Based on User Awareness Survey 곽승진, 노영희, 정대근 pp.47-75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Personnel on Students' Reading Behaviors in Korea 박주현, 변우열 pp.123-147

성격유형별 맞춤형 도서 제공이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oviding Book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 on Their Reading Attitude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Happiness And Reading Tendency : 학교행복감과 독서성향을 중심으로 조현양, 조미아 pp.23-46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장애유형별 이용자 핵심요구 연구 = A Study on Disabled Users' Core Need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orders for Library Service 강지혜, 차성종, 배경재 pp.173-191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립중앙도서관. 2016. 『2015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2 전자출판물 활용을 위한 독서장애인 요구에 관한 연구 - 시각 및 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 소장
3 문화체육관광부. 2016. 『도서관법』. 대전: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4 문화체육관광부. 2017. 『도서관법 시행령』. 대전: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5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 및 과제 소장
6 A Study on the Empirical Evaluation of Quality Factor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소장
7 보건복지부. 2016.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대전: 보건복지부. 미소장
8 보건복지부. 2017.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대전: 보건복지부. 미소장
9 Study on the non-use factors of the visually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소장
10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Anxiety among Library Handicapped User 소장
11 A Qualitative Research on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소장
12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특별위원회,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미소장
13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6. National survey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oul.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