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남풍』 1집, 기산당, 1951.11.7, 1-20면. | 미소장 |
2 | 『연비동인시집』, 화세프린트사, 1952.12.5., 1-75면.. | 미소장 |
3 | 『풍토』 1집, 풍토동인회, 1953.12.20., 1-59면. | 미소장 |
4 | 『풍토』 2집, 전북교육주보사, 1954.11.25., 1-41면. | 미소장 |
5 | 『풍토예술』, 풍토예술동인회, 1954.9.1., 1-26면. | 미소장 |
6 | 군산시사편찬위원회 편, 『군산시사 하』, 군산시, 2000, 900면. | 미소장 |
7 | 김영만, 「아쉬웠던 <現代>의 자진폐간」, 『잡지뉴스』, 한국잡지협회, 1996. 4, 34-38면. | 미소장 |
8 | 백양촌, 「전북문단의 개관」, 『백양촌수필전집』, 대광문화사, 1989, 282-289면. | 미소장 |
9 | Formation Aspect of Local Literature in Liberalization Period | 소장 |
10 | 안도·한국문인협회 전북지회 편, 『전북문단 70년사(1945-2015)』, 신아출판사, 2016. | 미소장 |
11 | 오영식 편, 『해방기 간행도서 총목록 1945-1950』, 소명출판, 2009, 36-648면. | 미소장 |
12 | 오하근, 『전북현대문학 상』, 신아출판사, 2010, 34-35면, | 미소장 |
13 | 해방 직후 신문자료 현황 | 소장 |
14 | Study on Formation History of Modern Poet Literary World in Gwangju Jeonnam Area1 | 소장 |
15 | 이순욱, 「정전 체제의 형성과 부산 지역 문학사회의 동향」, 『지역과 역사』 32호, 부경역사연구소, 2014.4, 37-66면. | 미소장 |
16 | 전주시사편찬위원회 편, 『전주시사』, 전주시, 1986, 1100-1109·1202면. | 미소장 |
17 | 최명표 편, 『김해강시전집』, 국학자료원, 2006, 801-802면. | 미소장 |
18 | Media and Literature in the Jeonbuk Area during the Korean War : Focusing on the 『Jeonbuk Daily』 | 소장 |
19 | 한국문인협회 전북지회 편, 『전북문학사』, 신아출판사, 1996, 264-270면. | 미소장 |
20 | The Literary media and Nakta of Masan during Korea war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