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古鏡重磨方』箴銘의 어문학적 검토 = Some Linguistical Approaches on Gogyung jungma bang(古鏡重磨方) 李章佑 pp.5-32
퇴율학통의 경학 논변과 경설 회집 = Discussions about Confucian Classics and an Anthology of Annotations for Chinese Classics in Scholastic Lineage of Toegye and Yulgok 이영호 pp.33-58

退溪 李滉의 漢文 文章 讀法 考察 = A Study on Toegye Yi Whang's how to graspthe Sino-letters & Sentences 박종용 pp.59-100
권필 <四懷詩>와 두보 <八哀詩>의 관련 양상 연구 = Related Aspect of Kwon Pil's Sahwashi(四懷詩) and Dubo's Palayshi(八哀詩) 韓海血 pp.101-139
陶菴 李縡의 詩觀과 詩世界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f the Poetry View and the Poetry World of Doam Lee Jae : Focusing on the Poem Writing during the Seclusion Period in Yongin : 龍仁 隱居時期 詩作을 중심으로 이승용 pp.141-175
茶山 丁若鏞 字學에 대한 연구 = Study on Chinese Characters Studies of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 Centering around the scope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relation to Chinese Classics : 茶山 字學 연구의 범위 및 經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양원석 pp.177-203

恥齋 李範世의「題朴秋堂畵竹十七絶」硏究 = A Study of the Chi-Je, Bum-se Lee's 17 poems devoted to Chu-dang Park's painting 이은영 pp.205-234
조선시대 詞訟法書의 編刊과 傳承 = The compilation, publication and successionof civil action book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박철상 pp.235-290
현토와『小學諺解』및 四書諺解의 經文 해석 = Commentary and interpretationof『Sohakeounhae』and Chinese Classic Texts 이규필 pp.291-323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필著,『石洲集』, 韓國文集叢刊 75, 1991. 미소장
2 申欽, 「晴窓軟談上」, 「晴窓軟談下」, 象村集 미소장
3 李植,『諺解杜詩澤風堂批解上』, 도서출판 다운샘, 1987. 미소장
4 李植,『諺解杜詩澤風堂批解下』, 도서출판 다운샘, 1987. 미소장
5 杜甫著, 仇兆鰲注;『杜詩詳注』 제1~5책, 中華書局. 1979. 미소장
6 권필著, 이상하 옮김,『국역석주집1』, 민족문화추진회, 2006. 미소장
7 권필著, 이상하 옮김,『국역석주집2』, 민족문화추진회, 2006. 미소장
8 吉川幸次郞,『시절을 슬퍼하여 꽃도 눈물 흘리고』, 뿌리와 이파리, 2009. 미소장
9 김만원 외,『두보 성도시기 시 역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미소장
10 김만원 외,『두보 재주낭주시기 시 약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미소장
11 김만원 외,『두보 진주동곡시기 시 역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미소장
12 김영주 외,『완역 두보율시』, 명문당, 2005. 미소장
13 김태준,『조선한문학사』, 조선어문학회. 미소장
14 이영주 외,『두보 초기시 역해』, 솔출판사, 1999. 미소장
15 정민,『목릉문단과 석주권필』, 태학사, 1999. 미소장
16 陳伯海 著, 李鍾振 譯,『당시학의 이해』, 사람과 책, 2001. 미소장
17 洪瑀欽 編譯,『한시운율론』,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3. 미소장
18 姜旼昊, 「杜甫 排律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7. 미소장
19 Poetics on the acceptance phase of Du-Fu’s poetry in Ungok Won Cheonseok 소장
20 김미경, 「선조조 전쟁 체험 한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3. 미소장
21 韓國詩에 대한 杜詩 受容樣相 소장
22 杜甫의 詩史說 小考 소장
23 두보 '팔애시' 탐토 소장
24 董達, 「松江 漢詩의 材源 硏究 -杜詩 受用을 中心으로-」,『국어국문학』제110권, 국어국문학회, 1993. 미소장
25 박은희, 「권필시의 표현기법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1994. 미소장
26 성미혜, 「서사시 장르 문제로 바라본 황무지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9. 미소장
27 송재용, 「石洲 權韠의 古詩에 관한 一考察」,『도솔어문』6집,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90. 미소장
28 「關山戎馬」의 작품세계와 杜詩受容의 미의식 소장
29 申明淑, 「麗末鮮初 敍事詩 硏究」,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30 吳雨容, 「杜甫와 丁若鏞의 사회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17. 미소장
31 The Aspect and Meaning of Du Fu's Beizheng(北征) 소장
32 A Study on Song-Yeon(宋淵)’s Old Style Poetry(古詩) 소장
33 李丙疇, 「韓國漢文學上의 杜少陵」,『無涯梁柱東博士華誕紀念論文集』, 1963. 미소장
34 이상봉, 「이재 황윤석 한시의 두보시어 활용양상」,『대동한문학』제43집, 대동한문학회, 2014. 미소장
35 Articles announced at The 10th International Meetings of Chinese Studies in 1990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eriod of Tufu poetry to Korea 네이버 미소장
36 Study on Dongak Lee, Ahn-nul's Monody : With regard to Seokju Kwon, Pil's Death 소장
37 退溪 李滉 시에 나타난 杜詩 수용 양상 소장
38 李炫知, 「柳方善 漢詩考察 -두시 수용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0. 미소장
39 高麗詩壇에 있어서의 杜詩受容 樣相 考察 : 林椿의 杜詩評價를 중심으로 소장
40 정재철, 「조선중기 도학가의 두보 시 시용 양상」,『한국한문학연구』제56집, 한국한문학회, 2014. 미소장
41 「팔애시(八哀詩)」초탐(初探) 네이버 미소장
42 河西 金麟厚의 杜詩 수용양상 네이버 미소장
43 茶山 丁若鏞의 杜甫詩 收容樣相 소장
44 崔海蓮, 「이익의 두보 수용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논문, 2015. 미소장
45 Seokjoo Kwonpil's embracement style of Dubo poetry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