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필著,『石洲集』, 韓國文集叢刊 75, 1991. | 미소장 |
2 | 申欽, 「晴窓軟談上」, 「晴窓軟談下」, 象村集 | 미소장 |
3 | 李植,『諺解杜詩澤風堂批解上』, 도서출판 다운샘, 1987. | 미소장 |
4 | 李植,『諺解杜詩澤風堂批解下』, 도서출판 다운샘, 1987. | 미소장 |
5 | 杜甫著, 仇兆鰲注;『杜詩詳注』 제1~5책, 中華書局. 1979. | 미소장 |
6 | 권필著, 이상하 옮김,『국역석주집1』, 민족문화추진회, 2006. | 미소장 |
7 | 권필著, 이상하 옮김,『국역석주집2』, 민족문화추진회, 2006. | 미소장 |
8 | 吉川幸次郞,『시절을 슬퍼하여 꽃도 눈물 흘리고』, 뿌리와 이파리, 2009. | 미소장 |
9 | 김만원 외,『두보 성도시기 시 역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 미소장 |
10 | 김만원 외,『두보 재주낭주시기 시 약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 미소장 |
11 | 김만원 외,『두보 진주동곡시기 시 역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미소장 |
12 | 김영주 외,『완역 두보율시』, 명문당, 2005. | 미소장 |
13 | 김태준,『조선한문학사』, 조선어문학회. | 미소장 |
14 | 이영주 외,『두보 초기시 역해』, 솔출판사, 1999. | 미소장 |
15 | 정민,『목릉문단과 석주권필』, 태학사, 1999. | 미소장 |
16 | 陳伯海 著, 李鍾振 譯,『당시학의 이해』, 사람과 책, 2001. | 미소장 |
17 | 洪瑀欽 編譯,『한시운율론』,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3. | 미소장 |
18 | 姜旼昊, 「杜甫 排律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7. | 미소장 |
19 | Poetics on the acceptance phase of Du-Fu’s poetry in Ungok Won Cheonseok | 소장 |
20 | 김미경, 「선조조 전쟁 체험 한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3. | 미소장 |
21 | 韓國詩에 대한 杜詩 受容樣相 | 소장 |
22 | 杜甫의 詩史說 小考 | 소장 |
23 | 두보 '팔애시' 탐토 | 소장 |
24 | 董達, 「松江 漢詩의 材源 硏究 -杜詩 受用을 中心으로-」,『국어국문학』제110권, 국어국문학회, 1993. | 미소장 |
25 | 박은희, 「권필시의 표현기법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1994. | 미소장 |
26 | 성미혜, 「서사시 장르 문제로 바라본 황무지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9. | 미소장 |
27 | 송재용, 「石洲 權韠의 古詩에 관한 一考察」,『도솔어문』6집,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90. | 미소장 |
28 | 「關山戎馬」의 작품세계와 杜詩受容의 미의식 | 소장 |
29 | 申明淑, 「麗末鮮初 敍事詩 硏究」,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30 | 吳雨容, 「杜甫와 丁若鏞의 사회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17. | 미소장 |
31 | The Aspect and Meaning of Du Fu's Beizheng(北征) | 소장 |
32 | A Study on Song-Yeon(宋淵)’s Old Style Poetry(古詩) | 소장 |
33 | 李丙疇, 「韓國漢文學上의 杜少陵」,『無涯梁柱東博士華誕紀念論文集』, 1963. | 미소장 |
34 | 이상봉, 「이재 황윤석 한시의 두보시어 활용양상」,『대동한문학』제43집, 대동한문학회, 2014. | 미소장 |
35 | Articles announced at The 10th International Meetings of Chinese Studies in 1990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eriod of Tufu poetry to Korea ![]() |
미소장 |
36 | Study on Dongak Lee, Ahn-nul's Monody : With regard to Seokju Kwon, Pil's Death | 소장 |
37 | 退溪 李滉 시에 나타난 杜詩 수용 양상 | 소장 |
38 | 李炫知, 「柳方善 漢詩考察 -두시 수용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0. | 미소장 |
39 | 高麗詩壇에 있어서의 杜詩受容 樣相 考察 : 林椿의 杜詩評價를 중심으로 | 소장 |
40 | 정재철, 「조선중기 도학가의 두보 시 시용 양상」,『한국한문학연구』제56집, 한국한문학회, 2014. | 미소장 |
41 | 「팔애시(八哀詩)」초탐(初探) ![]() |
미소장 |
42 | 河西 金麟厚의 杜詩 수용양상 ![]() |
미소장 |
43 | 茶山 丁若鏞의 杜甫詩 收容樣相 | 소장 |
44 | 崔海蓮, 「이익의 두보 수용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논문, 2015. | 미소장 |
45 | Seokjoo Kwonpil's embracement style of Dubo poetry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