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경상도 자인팔광대 탈놀이 = Gyeongsangbuk-do Jain-Palgwangdae mask play :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testimonies and an early script : 증언자료 및 초기 복원대본 소개와 연구 / 손태도 1
목차 1
국문초록 2
1. 머리말 3
2. 자인팔광대 현지 조사 경위 6
3. 자인단오제와 팔광대놀이 12
1) 한장군 제전의 배우잡희 13
2) 성황제의 백희 16
3) 조선 후기 평민문화의 하나로서 탈놀이 20
4. 자인팔광대의 내용 26
1) 양반과 말뚝이 마당 27
2) 양반과 본처와 후처 마당 27
3) 줄광대와 곱사 마당 29
5. 자인팔광대의 특징 30
1) 자인지역만의 독창적 탈놀이 30
2) 조선 후기 자인지역의 생활상을 담은 탈놀이 31
3) 유흥 위주의 극 진행 34
6. 자인팔광대 대본 35
제2차 자인팔광대 대본 : 최종대본 45
제3차 대본 54
7. 자인팔광대 관련 면담 조사 66
8. 맺음말 121
참고문헌 122
Abstract 12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기조발제: 전통이 미래다 | [발제]: 김명곤 ; 채록: 김예슬, 양보나 | pp.5-12 |
|
보기 |
전통공연의 관객과 눈 맞추기 | 박인배 | pp.13-26 |
|
보기 |
우리나라 국가축제의 역사와 그 전망 = Korean national festival, history and prospect | 손태도 | pp.29-79 |
|
보기 |
한국 전통연희의 유형과 축제 자산으로의 새 지평 = Korean traditional Yeonhui types, new horizon of festival materials | 임재해 | pp.85-135 |
|
보기 |
한국민속예술축제의 회고와 전망 | 이보형 | pp.143-150 |
|
보기 |
신라 도제 횡적에 대한 연구 = Study on Silla wind instruments : focusing on Hyangsamjuk of Silla : 향삼죽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이진원 | pp.151-172 |
|
보기 |
'그림자극 만석중놀이'와 그 연구 실태 = Shadow play 'Mansokjungnori' | 김기종 | pp.pp173-185 |
|
보기 |
경상도 자인팔광대 탈놀이 = Gyeongsangbuk-do Jain-Palgwangdae mask play :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testimonies and an early script : 증언자료 및 초기 복원대본 소개와 연구 | 손태도 | pp.188-312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