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정간보(井間譜) 교육 프로그램 = Research on Jeongganbo Education Program / 한미례, 정낙현 인기도
발행사항
안동 : 한국지역문화학회, 2018.03.30
수록지명
지역과 문화. 제5권 제1호 (2018년 3월), pp.65-84
자료실
[서울관] 해당자료 없음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8082814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콘텐츠로써 정간보(井間譜)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정간보는 세종 때에 만들어진 우리 고유의 악보로, 우리 음악 기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간보 교육은 초등3~4학년 통합음악과정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 시작되어, 초등5~6 통합음악과정에서는 정간보의 형태가 구체화 된다. 이러한 정간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처음 접하는 단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초등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래놀이를 그 도구로 삼아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프로그램은 1단계 교구 만들기, 2단계 교구를 활용한 장단의 부호 이해, 3단계 전통놀이를 통한 놀이로 장단을 익히는 과정을 거친다. 총 2차시 프로그램으로 1차시에서는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2차시에서는 전통놀이 사방치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정간보 이해도 측면의 국악교육과 에듀테인먼트 교육 콘텐츠 개발의 의의를 동시에 가진다. 또한 지역 특성에 따라 편중되었던 국악교육프로그램을 교육현장인 학교와 연계함으로써 폭넓은 국악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2012), 2012 예술인성교육의 비전 및 실천과제 개발연구, 서울: 교육부. 미소장
2 기지은(2003), 정간보를 응용한 전래동요 지도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play programs on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소장
4 김소향(2011), 놀이중심의 통합교육을 통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 연계방안, 발도르프교육연구 3(2), 99-121. 미소장
5 초등학교에서의 정간보 활용 방안 소장
6 김정겸ㆍ신현숙(2014),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1), 173-181. 미소장
7 The Effect of the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s 네이버 미소장
8 송방송(2012), 한계레음악대사전, 서울:보고사. 미소장
9 송유리(2012),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간보 기보법 분석 및 독보력 향상을 위한 지도 방안, 경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윤경애(2008), 국악 창작 능력 신장을 위한 정간보의 효율적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4학년과정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윤명원(2011), 초등학교 국악 제재곡의 기보법 고찰, 음악교육공학 18, 209-230. 미소장
12 A Study On Chongganbo For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Public Schools 네이버 미소장
13 이상호(1999), 전래놀이101가지, 서울:사계절. 미소장
14 이형화ㆍ박소현(2012), 국악교육연구현황분석,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6(1), 111-135. 미소장
15 장사훈(1995), 국악통론, 서울:세광음악출판사. 미소장
16 전경원 외(2007), 창의성 이론과 주제, 서울:시그마프레스. 미소장
17 조연순ㆍ성진숙ㆍ이혜주(2008), 창의성 교육,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8 최병삼(2002), 사물놀이 배우기, 서울:학민사. 미소장
19 한윤이(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 기보법 고찰, 한국음악교육연구학회 44(2), 185-219. 미소장
20 한미례(2013),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박물관 음악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이종연(역), 토랜스의 창의성과 교육, Torrance, E. Paul(2005), 서울:학지사. 미소장
22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https://gugak1951.blog.me, 자료검색일 2018.03.15.) 미소장
23 국립국악원 홈페이지(http://www.gugak.go.kr, 자료검색일 2018.03.15.)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