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치매대응체계의 현상을 진단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Gilbert와 Specht 그리고 Gilbert와 Terrell의 사회복지정책 분석틀을 사용하여 현행 치매대응체계를 배분, 급여, 전달, 재정 영역으로 나누어서 현상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현행 치매대응체계는 정책 대상에서 제외된 넓은 사각지대의 존재,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의 미흡, 치매가족을 위한 직접적 서비스의 부족, 보건복지서비스에 대한 낮은 접근성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치매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숨겨진 치매노인을 찾아내기 위한 조기발견 체계의 강화, 가정방문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의 강화, 보건-복지 전달체계간의 연계 강화,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서비스의 확대, 사회보험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확보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current dementia care system and suggest the policy considerations in the perspective of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This study used the policy analysis framework of Gilbert & Specht (1974) and Gilbert & Terrell (2013) and identified 4 major criteria such as ① allocation, ② benefit, ③ delivery, ④ finance. The current dementia care system had various limitations such as the largest blind spots of the policy target population, inadequate client-tailored services, deficiency of the direct services supporting the families, poor access to health and welfare services. The efforts to improve the dementia care system should involve enhancing the early detection programmes of hidden patients in the community, reinforcing the tailored outreach case management services,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health and welfare deliverly system, expanding of at-home support to reduce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and enhancing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 = Evaluation and Policy Considerations of the Dementia Care System in the Perspectives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권중돈 pp.9-36

간호의 견지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제언 = Assessment and Suggestion on Strategies to Overcome Dementia and Its Tasks : Nursing Perspectives 홍(손)귀령, 박경옥, 오은미 pp.37-63

고령자의 근로여부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Working Status on Poverty among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Age Limit on New Subscription of Unemployment Insurance : 고용보험 신규가입연령 상한기준을 중심으로 조보배, 최요한 pp.64-87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영, 허성희, 장수지 pp.88-124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ath Anxie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기태, 송진영, 정종화 pp.125-153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Factors and Social Networks on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Men and Wome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성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박소영 pp.154-190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충동성과 우울, 당뇨병 관련 자기관리행동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Depression, Impulsivity and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on Glycemic Control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서지현, 김정민, 최지영 pp.191-215

Korean Version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 = 한국어판 돌봄수혜자 자기효능감 척도 : KCRES-SF 척도와 수정된 KCRES-SR 척도의 요인구조 확인 및 타당도 검증 : Factor Structure Identification and Validity Test of the Short Form (KCRES-SF) and the Revised Shorter Form (KCRES-SR) Jung, Soyon, Seo, Honglan pp.216-247

노인의 노인복지관 물리치료 이용 특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atisf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y Usage on Senior Center 송이슬, 김기원 pp.248-270

개호보험에서 케어직원이 인식하는 좋은 돌봄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A Study on IPA Analysis of Good Care based on Japanese Care Staff's Awareness in Long-Term Care Insurance : The Case of Japan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미 pp.271-301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Care Helper 김정오, 문희, 박옥임 pp.302-334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내 갈등의 매개효과 분석 =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n Social Workers' Burnout :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김년희, 조성숙 pp.335-364

인구 집단 측면의 복지 수요는 사회복지 예산 비중 증가를 견인하였는가? = Did the Welfare Demand of the Population Side Lead to an Increase in the Share of Social Welfare Budget? : Evidence from 16 Provinces in Korea 장인수, 김홍석 pp.365-395

인구·성장·이자·소득의 상대적 관계가 국민연금 기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Impact of the Relation between Population, Growth, Interest and Income on the National Pension Fund in Korea 김용하 pp.396-420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대상 A형 간염 백신 무료접종사업 비용-효과분석 = Cost Effectiveness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City's Hepatitis A Vaccin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박세희, 김선영, 이태진 pp.421-458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의 건강도시사업 연구경향 분석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Healthy City Project in Korea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이문재, 윤기찬 pp.459-488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및 자격관리에 대한 정책결정과정 연구 = A Study on Reorganization of Service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between Nurse and Nurse Assistant : Focusing on Policy Stream Model by Kingdon : 킹던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유리, 최성경, 김인숙, 강선주 pp.489-519

학자금 대출과 혼인이행 = Student Loan and Marriage : Focusing on Female Graduates from 4-Year Universities : 4년제 대학 졸업 여학생을 중심으로 배호중, 한창근 pp.520-555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 변화 과정 = The Process of Bonding Social Capital Formation in Korean Adolescents : Exploring Family, School,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Trajectories and Their Associated Predictors : 가족, 학교, 지역사회 각 영역별 결속형 사회적 자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유창민 pp.556-595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School Life Adaptation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 여가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진희, 권오영, 김석준 pp.596-629

참고문헌 (5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감사원, 중앙치매센터. (2017). 치매환자 관리 누락 방지를 위한 국가치매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 감사원, 중앙치매센터. 미소장
2 강순옥. (2017). 치매전담시설 확대에 따른 실천사례: 문제와 대안, 한국노인복지실천연구회, 대한민국 고령사회 진입, pp.113-124. 미소장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 2016년 건강보험 통계연보. 원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미소장
4 국가예산정책처. (2017.6.). 2017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서울: 국가예산정책처. 미소장
5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 2016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미소장
6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7.). 장기요양 기관 현황.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미소장
7 국회예산정책처. (2014). 치매관리사업의 현황과 개선과제. 서울: 국가예산정책처. 미소장
8 권중돈. (2012). 인권과 노인복지실천. 서울: 학지사. 미소장
9 권중돈. (2012). 치매환자와 가족복지: 환원과 통섭. 서울: 학지사. 미소장
10 권중돈. (2016). 노인복지론(6판). 서울: 학지사. 미소장
11 김기웅. (2015). 대한민국의 제3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개요 한-영 치매극복 국제심포지엄: 국가치매관리정책 효과 제고 전략, pp.9-11. 미소장
12 The output analysis of CBR based on health center - Based on the output analysis of Gilbert and Specht 소장
13 김선희, 이미란. (2016). 지역사회의 치매관리 및 예방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 인프라 연계 방안.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6), pp.93-101 미소장
14 김주경. (2017). 노인 의료서비스 제공체계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사회 대응 노인의료복지 제공체계 개선방안, pp.3-15. 미소장
15 An Analysis Study of the Policy Process and Policy Contents of the Basic Old Age Pension 소장
16 박건우. (2017). 치매국가책임제에 바란다. 권미혁 국회의원, 한국치매협회, 제1차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전략 포럼, pp.31-34. 미소장
17 A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Policy for the Aged in Germany, the UK and Sweden 소장
18 방병관. (2017). 노인요양서비스 제공체계 현황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사회 대응 노인의료복지 제공체계 개선방안, pp.45-51. 미소장
19 Analysis on the Policies for Runaway Adolescents : Analysis on the Youth Shelter Policies Applying the Framework of Gilbert and Terrell 소장
20 변선정. (2017). 국가 치매등록체계의 필요성과 구축전략. 중앙치매센터, 2017 국가치매관리워크숍, pp.9-22. 미소장
21 보건복지가족부. (2008. 9.). 치매종합관리대책.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미소장
22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7). 2016년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미소장
23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2016).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6. 세종: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미소장
24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014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25 보건복지부. (1996). 삶의 질 세계화를 위한 노인․장애인복지 종합대책.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26 보건복지부. (2006). 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및 안전관리지침.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27 보건복지부. (2012).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28 보건복지부. (2012). 2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2-2015).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29 보건복지부. (2015).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30 보건복지부. (2017).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31 보건복지부. (2017.9.).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32 보건복지부. (2018.2.) 제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33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11). 치매노인실태조사. 성남: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미소장
34 성수정. (2015). 치매파터너즈 사업소개. 중앙치매센터. 2015 국가치매관리워크숍: 치매친화적 지역사회 구축전략, pp.103-110. 미소장
35 An analysis on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36 유애정. (2016). 달라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및 서비스. 중앙치매센터, 2016 국가치매관리워크숍: 치매환자 가족지원 전략, pp.57-66. 미소장
37 유애정. (2017). 치매 국가책임제의 효과적인 추진 전략: 치매환자 돌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로 더 든든하게. 권미혁 국회의원, 한국치매협회, 제1차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전략 포럼, pp.43-50. 미소장
38 윤종철. (2015). 치매행복마을 사업소개. 중앙치매센터. 2015 국가치매관리워크숍: 치매친화적 지역사회 구축전략, pp.137-148. 미소장
39 Gilbert & Terrell 분석틀을 활용한 한부모가족지원사업에 관한 연구 소장
40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소장
41 임현국. (2017). 치매 전문의가 보는 치매 국가 책임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권미혁 국회의원, 한국치매협회, 제1차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전략 포럼, pp.37-41. 미소장
42 A Study on a Regional Difference of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Dementia in Local Governments 소장
43 A Study on the Main Issues and Improvemen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 Focusing on the analytical frame of Gilbert and Terrell - 소장
44 정경희, 오영희, 황남희, 권중돈, 박보미. (2014). 노인단독가구의 생활 현황과 정책 과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45 Policy Analysis of HEEMANG START Program 네이버 미소장
46 통계청. (2016.12.) 장래인구추계. 대전: 통계청. 미소장
47 통계청. (2017.5.) 2015~2045 장래가구추계. 대전: 통계청. 미소장
48 Research on Resettlement Measures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Policy - Focus on Gilbert and Terrell's Policy Analysis 소장
49 Alzheimer’s Association. (2016). 2016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 Chicago: Alzheimer’s Association. 미소장
50 Gilbert, N., & Specht, H. (1974).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New Jersey: Prentice-Hall Inc. 미소장
51 Gilbert, N., & Terrell, P.(2013).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8th ed.), London: Pearson Education Ltd. 미소장
52 Park, S. B.(2014). The Analytic Framework of Social Policy.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4(4), pp.37-5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