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치매대응체계의 현상을 진단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Gilbert와 Specht 그리고 Gilbert와 Terrell의 사회복지정책 분석틀을 사용하여 현행 치매대응체계를 배분, 급여, 전달, 재정 영역으로 나누어서 현상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현행 치매대응체계는 정책 대상에서 제외된 넓은 사각지대의 존재,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의 미흡, 치매가족을 위한 직접적 서비스의 부족, 보건복지서비스에 대한 낮은 접근성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치매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숨겨진 치매노인을 찾아내기 위한 조기발견 체계의 강화, 가정방문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의 강화, 보건-복지 전달체계간의 연계 강화,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서비스의 확대, 사회보험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확보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감사원, 중앙치매센터. (2017). 치매환자 관리 누락 방지를 위한 국가치매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 감사원, 중앙치매센터. | 미소장 |
2 | 강순옥. (2017). 치매전담시설 확대에 따른 실천사례: 문제와 대안, 한국노인복지실천연구회, 대한민국 고령사회 진입, pp.113-124. | 미소장 |
3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 2016년 건강보험 통계연보. 원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 미소장 |
4 | 국가예산정책처. (2017.6.). 2017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서울: 국가예산정책처. | 미소장 |
5 |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 2016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 미소장 |
6 |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7.). 장기요양 기관 현황.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 미소장 |
7 | 국회예산정책처. (2014). 치매관리사업의 현황과 개선과제. 서울: 국가예산정책처. | 미소장 |
8 | 권중돈. (2012). 인권과 노인복지실천.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9 | 권중돈. (2012). 치매환자와 가족복지: 환원과 통섭.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0 | 권중돈. (2016). 노인복지론(6판).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1 | 김기웅. (2015). 대한민국의 제3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개요 한-영 치매극복 국제심포지엄: 국가치매관리정책 효과 제고 전략, pp.9-11. | 미소장 |
12 | The output analysis of CBR based on health center - Based on the output analysis of Gilbert and Specht | 소장 |
13 | 김선희, 이미란. (2016). 지역사회의 치매관리 및 예방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 인프라 연계 방안.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6), pp.93-101 | 미소장 |
14 | 김주경. (2017). 노인 의료서비스 제공체계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사회 대응 노인의료복지 제공체계 개선방안, pp.3-15. | 미소장 |
15 | An Analysis Study of the Policy Process and Policy Contents of the Basic Old Age Pension | 소장 |
16 | 박건우. (2017). 치매국가책임제에 바란다. 권미혁 국회의원, 한국치매협회, 제1차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전략 포럼, pp.31-34. | 미소장 |
17 | A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Policy for the Aged in Germany, the UK and Sweden | 소장 |
18 | 방병관. (2017). 노인요양서비스 제공체계 현황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사회 대응 노인의료복지 제공체계 개선방안, pp.45-51. | 미소장 |
19 | Analysis on the Policies for Runaway Adolescents : Analysis on the Youth Shelter Policies Applying the Framework of Gilbert and Terrell | 소장 |
20 | 변선정. (2017). 국가 치매등록체계의 필요성과 구축전략. 중앙치매센터, 2017 국가치매관리워크숍, pp.9-22. | 미소장 |
21 | 보건복지가족부. (2008. 9.). 치매종합관리대책.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미소장 |
22 |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7). 2016년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 미소장 |
23 |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2016).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6. 세종: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 미소장 |
24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014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25 | 보건복지부. (1996). 삶의 질 세계화를 위한 노인․장애인복지 종합대책. 서울: 보건복지부. | 미소장 |
26 | 보건복지부. (2006). 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및 안전관리지침. 서울: 보건복지부. | 미소장 |
27 | 보건복지부. (2012).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미소장 |
28 | 보건복지부. (2012). 2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2-2015). 서울: 보건복지부. | 미소장 |
29 | 보건복지부. (2015).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30 | 보건복지부. (2017).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31 | 보건복지부. (2017.9.).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32 | 보건복지부. (2018.2.) 제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33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11). 치매노인실태조사. 성남: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미소장 |
34 | 성수정. (2015). 치매파터너즈 사업소개. 중앙치매센터. 2015 국가치매관리워크숍: 치매친화적 지역사회 구축전략, pp.103-110. | 미소장 |
35 | An analysis on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in Korea ![]() |
미소장 |
36 | 유애정. (2016). 달라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및 서비스. 중앙치매센터, 2016 국가치매관리워크숍: 치매환자 가족지원 전략, pp.57-66. | 미소장 |
37 | 유애정. (2017). 치매 국가책임제의 효과적인 추진 전략: 치매환자 돌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로 더 든든하게. 권미혁 국회의원, 한국치매협회, 제1차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전략 포럼, pp.43-50. | 미소장 |
38 | 윤종철. (2015). 치매행복마을 사업소개. 중앙치매센터. 2015 국가치매관리워크숍: 치매친화적 지역사회 구축전략, pp.137-148. | 미소장 |
39 | Gilbert & Terrell 분석틀을 활용한 한부모가족지원사업에 관한 연구 | 소장 |
40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장 |
41 | 임현국. (2017). 치매 전문의가 보는 치매 국가 책임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 권미혁 국회의원, 한국치매협회, 제1차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전략 포럼, pp.37-41. | 미소장 |
42 | A Study on a Regional Difference of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Dementia in Local Governments | 소장 |
43 | A Study on the Main Issues and Improvemen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 Focusing on the analytical frame of Gilbert and Terrell - | 소장 |
44 | 정경희, 오영희, 황남희, 권중돈, 박보미. (2014). 노인단독가구의 생활 현황과 정책 과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45 | Policy Analysis of HEEMANG START Program ![]() |
미소장 |
46 | 통계청. (2016.12.) 장래인구추계. 대전: 통계청. | 미소장 |
47 | 통계청. (2017.5.) 2015~2045 장래가구추계. 대전: 통계청. | 미소장 |
48 | Research on Resettlement Measures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Policy - Focus on Gilbert and Terrell's Policy Analysis | 소장 |
49 | Alzheimer’s Association. (2016). 2016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 Chicago: Alzheimer’s Association. | 미소장 |
50 | Gilbert, N., & Specht, H. (1974).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New Jersey: Prentice-Hall Inc. | 미소장 |
51 | Gilbert, N., & Terrell, P.(2013).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8th ed.), London: Pearson Education Ltd. | 미소장 |
52 | Park, S. B.(2014). The Analytic Framework of Social Policy.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4(4), pp.37-5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