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 또는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수사상자의 중증도 분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하였으며,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의 정확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등 현장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였다. 개발된 e-Triage System은 IoT개념을 활용하여 다양한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중증도 분류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NFC 모듈 등 전자적 요소를 반영한 e-Triage Tag를 구현하였다. 앱으로 구현된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환자의 평가가 가능함을 입증하였고, 시인성을 위해 전자 중증도 분류 결과를 4가지 LED램프로 표출하였으며, 2차 분류를 통해 RTS 점수를 FND(Flexible Numeric Display)로 표출하였다.

The following research has focused and implemented on designing a system that classifies the severity of mass casualty situations across both normal and disaster levels. The system’s algorithm has implemented requirements such as accuracy as well as user convenience. The developed e-Triage System has applied various severity classification algorithms implemented from IoT concepts. In order to overcome flaws of currently used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s, the e-Triage System used electronic elements including the NFC module. By using the mobile application’s severity classification algorithm the system demonstrated quick and accurate assessment of patient. Four different LED lamps visualized the severity classification results and RTS scores were portrayed through FND(Flexible Numeric Display) after a two wave classific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재난관련 조례 분석연구 = Analysis of Municipal Ordinances on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ts 16 subregions : 부산광역시 및 부산 16개 구·군을 중심으로 Sinjung Kweon, Youngmi Yoo, Sunyoung Michelle Cho pp.1-8

재난상황 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 and Operating Plan of Reserve Components Emergency Response Forces SeungBae Seon pp.9-16

재난에 따른 농촌주민의 심리적 영향을 고려한 재난대책 방안 = A study on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impact of rural residents Eunyoung Seo, Yeounjung Kim, Young-Kune Lee, Miri Park pp.17-27

IoT개념을 활용한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Research of IoT concept implemented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Seungyong Kim, Gyeongyong Kim, Incheol Hwang, Dongsik Kim pp.28-35

재난 현장 대응 및 상황 정보 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 A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odel for the disaster field response and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ChangYeol Lee, TaeHwan Kim, ChangSeong Lee pp.36-42

경주지진에 의한 곡선교량의 내진 안전성 평가 =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Curved Bridges by Gyeong-Ju Earthquakes Jun-Tai Jeon pp.43-50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건축공간 계획방향 연구 = A Planning Direction for Community focusing on Library Information Space Planning for Research and Education Activation : 연구·교육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 정보공간 계획 Kum-Jin Lee, Jong-Do Park pp.51-58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사고 통계분석 및 사고대응 개선방안 = Improvement on Accident Statistic Analysis and Response of Hazardous Chemical Transport Vehicle Byeong-han Jeon, Hyun-sub Kim pp.59-64
CBRNE 재난 시 격리이송을 위한 장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evice for isolation unit in CBRNE disaster Seung Hee Ham, Namkwun Park, Myong O Yoon pp.65-71

고위험군 종사자에 대한 부적절한 장비 착용이 안전사고 위험성 인식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appropriate Equipment Wearing Patterns on Accident risk perception and Job exhaustion for High Risk Workers Soo-gil Lee, Chang-hee Kwon, Ung-burm Jang pp.72-78

긴급복구용 팽창재료의 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 및 장기 안전성 평가 =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Long-term Stability of Expansion Materials for Emergency Repair by Temperature Jeongjun Park, Kisung Kim, Hyounhoi Kang, Ju-Ho Kim, Gigwon Hong pp.79-88

열분석 실험에 의한 화약류 폐기물의 화재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Fire Cause Analysis for Explosives Waste by Thermal Analysis Experiment Jae-Sun Koh pp.89-100

군 부대 개인화기 사격장 시설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Facility Improvement in the Military Personal Firearms Shooting Range Sang-Hyuk Park, Seung-Pil Namkung pp.101-106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isaster triage: START, then SAVE--a new method of dynamic triage for victims of a catastrophic earthquake. 네이버 미소장
2 Trauma score 네이버 미소장
3 Feng Xia, Laurence T. Yang, Lizhe Wang, Alexey Vinel "Editorial Internet of Things" Int. J. Commun. Syst. (2012); 25:1101-1102. 미소장
4 Australian triage tags: A prospective, randomised cross‐over trial and evaluation of user preference 네이버 미소장
5 Study on the direction detection based on audible and non-audible signals using smart devices 소장
6 Kim M., Kim D., Lee M. "The study on the function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12.1 (2016), 32-39 미소장
7 Mass Casualty Triage: An Evaluation of the Data and Development of a Proposed National Guideline 네이버 미소장
8 A Brief History of Triage 네이버 미소장
9 Momeni, A. (2007). Disaster Triage. Emergency Health Manager Training Program. Retrieved October 10, 2008 미소장
10 START Adult Triage Algorithm. Radiation Emergency Medical Management: REMM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ttp://www.remm.nlm.gov/startadult.htm 미소장
11 Taber, Clarence Wilbur; Venes, Donald (2009).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 p. 2366. ISBN 0-8036-1559-0 미소장
12 Disaster triage tags: is one better than another? 네이버 미소장
13 Wikipedia. (2008). Triage.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trieved October 18, 2008, from http://en.wikipedia.org/wiki/Tria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