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그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콘텐츠산업진흥법」, 「콘텐츠산업 특수분류」 등과 같은 법제도상에 정의되고 있는 ‘문화예술’, ‘문화상품’, ‘콘텐츠’, ‘문화산업’, ‘콘텐츠산업’ 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문화산업’이 법에서 정의된 1995년부터 법제도의 신규 제정 및 개정을 통해 그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문화산업의 가치사슬은 기획창작단계인 ‘기획·개발’, 사업화단계인 ‘제작·생산’, 활용유통단계인 ‘공연·전시·유통’, 그리고 소비향유단계인 ‘소비·이용·판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산업의 대상은 예술성·창의성·오락성·여가성·대중성 등의 문화적 요소가 체화(體化)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형·무형의 재화인 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 및 영상 등의 자료·정보 및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복합체를 의미한다. 이 산업의 영역은 만화, 영화, 국악을 포함한 음악, 무용·연극·축제를 포함한 공연, 연예(演藝), 미술·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광고, 캐릭터, 인쇄·정기간행물·문학·어문(語文)을 아우르는 출판, 애니메이션·비디오물을 포함한 방송영상물 및 게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형의 건축, 문화재, 미술품, 공예품, 의상, 조형물, 장식용품, 소품 및 생활용품 등과 지식정보·콘텐츠솔류션·에듀테인먼트·모바일문화콘텐츠·디지털문화콘텐츠·사용자제작문화콘텐츠·멀티미디어문화콘텐츠 등의 전자매체 기반의 문화상품과 전시회·박람회·견본시장 등의 문화공간과 사진 및 대중문화예술산업 등이 포함된다.
Korean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been growing faster than the other Korean industries for last two decades. But, the conception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not clearly defined yet. This paper studies the conceptions of ‘Cultural Industries’ and ‘Content Industry’ as well as ‘Culture and Arts’, ‘Cultural Products’ and ‘Content’ which have been defined at Korean legal systems including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and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ion changes of the legal terms from 1995 when the ‘Cultural Industry’ was firstly defined a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compare those legal terms with other acts which have been amended frequently.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국제화에 관한 연구 | 소장 |
2 | 문화콘텐츠 산업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한 담론 | 소장 |
3 | 문화산업 지원정책의 재검토 :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을 중심으로 ![]() |
미소장 |
4 | 김상욱, 『문화콘텐츠산업 정책과 창조산업』, (주)크린비디자인, 2013. | 미소장 |
5 |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사업화 방향에 대한 담론 | 소장 |
6 | (A)Study on Legal System regarding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of the Republic of Korea | 소장 |
7 | A Comparative Study on Government Policy for Animation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 소장 |
8 | 지역문화산업 혁신클러스터 새 모델 연구 : <발전적 문화산업 생태계>개념과 경기도 혁신클러스터 적용을 중심으로 | 소장 |
9 | The Study on the Paradigm Change of Policy Making in the field of Korean Content Industry | 소장 |
10 | 참여정부 문화산업정책의 평가와 향후 정책방향 | 소장 |
11 | Research on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Creative Culture Hub City | 소장 |
12 | 조용순, 「문화콘텐츠의 제작ㆍ유통ㆍ이용에 관한 법ㆍ제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박사학위논문, 2008. | 미소장 |
13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년 콘텐츠산업전망』, KOCCA, 2017. 1. 20 | 미소장 |
14 |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 미소장 |
15 |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 | 미소장 |
16 | 「문화산업진흥기본법」 | 미소장 |
17 | 「문화예술진흥법」 | 미소장 |
18 |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 미소장 |
19 | 「전시산업발전법」 | 미소장 |
20 | 「콘텐츠산업진흥법」 | 미소장 |
21 | 통계청, 「콘텐츠산업」 특수분류 제정 개요, 통계문류포털 경제부문 콘텐츠산업특수분류 자료실,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 (2017. 8. 27. 내려받기) | 미소장 |
22 |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경제부문 콘텐츠산업특수분류 소개,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 (2017. 8. 27. 검색일) | 미소장 |
23 | 통계청, 「콘텐츠산업」 특수분류 1차 개정 개요, 통계문류포털 경제부문 콘텐츠산업특수분류자료실,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 (2017. 8. 27. 내려받기)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