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루이제 린저, 윤이상. 『윤이상: 상처입은 용』. 서울: RHK, 2017. | 미소장 |
2 | 서정은. “진은숙의 음악언어, 추상화를 통한 재맥락화: 생황 협주곡〈슈〉를 한 예로.” 『글로벌 시대의 동아시아 현대음악』. 서울: 음악세계, 2015, 119-146. | 미소장 |
3 | 이미경. 『도전 혹은 스밈: 작곡가 이건용과의 대화』. 서울: 예종, 2007. | 미소장 |
4 | 이희경. “초문화적 상상력의 가능성. 진은숙의 생황 협주곡《슈》(2009/2010)를 중심으로.”『音樂論壇』32 (2014), 135-162. | 미소장 |
5 | The short Insight into the Constructions of Genre and Gender of the Korean Migrant Artists | 소장 |
6 |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 소장 |
7 | 창작국악의 신분 연구.2,김기수를 통해 본 국악의 근대화 양상 | 소장 |
8 | 윤신향. “윤이상의 음향 제스처 진단.” 『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동아시아 문화』(2006), 215-234. | 미소장 |
9 | 윤신향. 『윤이상. 경계선상의 음악』. 파주: 한길사, 2005. | 미소장 |
10 | 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민족의 문제 | 소장 |
11 | Barthes, Roland. “The Grain of the Voice.” Image Music Text. Selected and translated by Stephen Heath, London: Fontana, 1977. | 미소장 |
12 | Bhagwati, Sandeep. “Imagining of the Other’s Voice. On Composing across Vocal Traditions.” Vocal Music and Contemporary Identities. New York: Rutledge, 2013, 76-95. | 미소장 |
13 | Benjamin, Walter. “Über den Begriff der Geschichte.” Gesammelte Schriften. Vol. I, 2. Edited by Rolf Tiedemann und Hermann Schweppenhäuser, Frankfurt a. M.: Suhrkamp, 1978. | 미소장 |
14 | Bossinade, Johanna. Die Stimme des Anderen. Zur Theorie der Alterität. Würzburg: Königshausen & Neumann, 2011. | 미소장 |
15 | Butler, Judith. Das Unbehagen der Geschlechter: Gender Studies. Translated by Kathrina Menke, Frankfurt a. M.: Suhrkamp, 2012. | 미소장 |
16 | What is Entrainment? Definition and applications in musical research ![]() |
미소장 |
17 | Kristeva, Julia. Die Revolution der poetischen Sprache.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78. | 미소장 |
18 | Drees, Stefan. Körper, Medien, Musik. Körperdiskurs in der Musik nach 1950. Hofheim: Wolke, 2001. | 미소장 |
19 | Drees, Stefan. Im Spiegel der Zeit. Die Komponistin Un-Suk Chin. Mainz: Schott, 2011. | 미소장 |
20 | Fischer-Lichte Erika. Ästhetik des Performativen. Frankfurt am Main:Suhrkamp, 2004. | 미소장 |
21 | Mayer, Andreas & Christina Richter-Ibanez (ed.). Übergänge: Neues Musiktheater–Stimmkunst–Inszenierte Musik, Stuttgarter Musikwissenschaftlicher Schriften Vol. 4. Mainz: Schott, 2016. | 미소장 |
22 | Mladen, Dolar. He’s Masters Voice–Eine Theorie der Stimme. Frankfurt a. M.: Suhrkamp, 2014. | 미소장 |
23 | Nora, Pierre (ed.). Erinnerungsorte Frankreichs. German translated by von Mona Ozouf, München: C. H. Beck, 2005. | 미소장 |
24 | Utz, Christian. “Die Wiederentdeckung der Präsenz. Intercultural Passage through Vocal Spaces between Speech Voice and Vocal.” Komponieren im Kontext der Globalisierung. Perspektiven für eine Musikgeschichte des 20 und 21 Jahrhunderts. Bielefeld: transcript, 2014. | 미소장 |
25 | Weigel, Sigrid. Parnes Ohad, Ulrike Vedder & Stefan Willer (ed.). Generation. Zur Genealogie des Konzeptes–Konzepte der Genealogie. München: Wilhelm Fink, 2005) | 미소장 |
26 | Yun, Micell. Nam Jun Paik: Becoming Robot. Newyork: Asia Society, 2013. | 미소장 |
27 | Yun, Shinhyang. “Hinter/vor dem Schleiervorhang–Zur intermedialen Gattungsstrategie des Musiktheaters von Isang Yun mit einem Einblick in die Videokunst von Nam-June Paik.” Reflexion– Improvisation–Multimedialität: Kompositionsstrategien in der Musik des 20 und 21 Jahrhundertes. Edited by Christian Storch, Göttinger Studien zur Musikwissenschaft X, Hildesheim/Zürich/New York: Rutledge, 2015, 73-93. | 미소장 |
28 | https://www.boosey.com/cr/music/Isang-Yun-Memory/17216. | 미소장 |
29 | http://www.boosey.com/pages/cr/catalogue/cat_detail?musicid=7177. | 미소장 |
30 | http://www.medienkunstnetz.de. | 미소장 |
31 | http://www.pagh-paan.com. | 미소장 |
32 | http://www.ilryunchung.com. | 미소장 |
33 | https://van.atavist.com/klavieretueden-unsuk-chi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