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라캉의 정신 분석적 비판은 무엇인가? 한국의 라캉 학자들은 정신 분석적 비판을 실천합니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나는 문학작품을 정신분석적으로 읽으려 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한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라캉 (Lacanian) 학자 박찬부 (Chan Bu Park)를 소개할 것이다.
정신 분석 학회에 소속된 대부분의 학자들은 정신 분석적 읽기를 연습하지 않는다. 한국의 정신 분석 학자들에게는 이론과 실천의 증상별 분리가 있다. 그들은 정신 분석적 비판이 무엇인지 알고 있지만 그것에 관여하지 않는다. 정신 분석적 읽기에 대한 토론조차도 Lacan의 Hamlet에 대한 해석을 의역으로 사용한다. 이것은 라캉의 텍스트를 읽지 않고 설명하는 것이 학업 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론적 설명의 습관은 끔찍한 결과를 초래한다. 그것은 그들이 라캉의 권위 있는 텍스트가 아닌 동료의 글도 읽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그들은 동료들과 라캉과 함께 기원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이 논문은 한국의 정신 분석적 비판이 라캉을 읽는 것이 아니라, 박찬부를 읽고 시작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끝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서영(2007),「라깡의『햄릿』 분석에 나타난 프로이트로의 복귀」,『한국과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 발표대회 자료집』 13-22. | 미소장 |
2 | 김석(2008),「라캉과 문학: 텍스트의 기능을 중심으로」,『수사학』 8, 251-276. | 미소장 |
3 | 김숙현(2011),「햄릿 캐릭터에 재현된 라캉의 주체화 연구」,『한국연극학』 45, 241-268. | 미소장 |
4 | 김숙현(2017),「복종의 주체 햄릿, 어느 계기에 행동하는가 - 라캉의‘ 죽음 충동’』,『연극평론』 85, 141-148. | 미소장 |
5 | 김영민(2006),「서평: 타자의 담론에 이르는 재현의 길과 그 재현의 그물망을 넘어선 실재의 귀환(박찬부,『라깡: 재현과 그 불만』(현대의 지성 125, 문학과 지성사, 2006, 355))」,『영어영문학』 52(4), 913-916. | 미소장 |
6 | 김영민(1996),『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민음사. | 미소장 |
7 | 김종갑(2006),「입장의 결핍과 논문의 과잉 : 논문 쓰기의 문제」,『신영어영문학』 34, 43-68. | 미소장 |
8 | 김종주(2011),『이청준과 라깡: 한국문학의 라깡적 독해』, 인간사랑. | 미소장 |
9 | 남정섭(2013),「『햄릿』과 정신분석 비평」,『인문연구』 67, 177-204. | 미소장 |
10 | 박찬부(2007),「정신분석비평, 무엇이 문제인가」,『기호 주체 욕망: 정신분석과 텍스트의 문제』. 창비. | 미소장 |
11 | 박찬부(2001),「주체와 타자의 욕망: 라캉의 햄릿론」,『비평과이론』 6(2), 145-168. | 미소장 |
12 | 박찬부(2012),「『햄릿』에 재현된 텍스트성 무의식」,『영미어문학』 104, 235-246. | 미소장 |
13 | 송승철·장시기(2000),「이론의 자의식」,『안과 밖』 9, 359-378. | 미소장 |
14 | 양석원(2009),「욕망의 탄생과 존재의 역설 : 라캉의『햄릿』읽기」,『비평과이론』 14(1), 51-83. | 미소장 |
15 | 양석원(2011),「텍스트와 주체: 해롤드 블룸의 문학이론과 정신분석」,『비평과이론』 16(2), 77-108. | 미소장 |
16 | 이명호(2007),「우리가 라캉에 대해 알지 못했지만 알아야 할 것들, 박찬부 저『라캉: 재현과 그 불만』(문학과지성사 2006)」,『비평과이론』12(1), 171-175. | 미소장 |
17 | 이선정(2012),「라캉으로『햄릿』 읽기: 욕망과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102, 187-205. | 미소장 |
18 | 이재성(2007),「라깡의“ 실재”의 개념과 철학: 박찬부 지음,『기호, 주체, 욕망-정신분석학과 텍스트의 문제』(서평)」,『영어영문학』 53(4), 691-698. | 미소장 |
19 | 정장진(1998),「특집 : 프로이트 특집-문학과 정신분석: 정신분석과 문학비평-정신분석의 <轉移> 개념을 중심으로-」,『인문학 연구』 5, 93-114. | 미소장 |
20 | 존 파울즈(2009),『프랑스 중위의 여자』, 김석희 옮김, 열린책들. | 미소장 |
21 | 추재욱(1999).「‘햄릿’의 주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인 고찰: 라캉의 용어를 빌어」,『비평과이론』 4(1), 75-97. | 미소장 |
22 | 피에르 브르디외(2005).『호모 아카데미쿠스』, 김정곤 외 옮김, 동문선. | 미소장 |
23 | 황보경(2007),「정신분석적 문학비평: 비판적 거리두기를 통한 성찰과 상호텍스트 창조」,『영미어문학』 85, 69-91. | 미소장 |
24 | Lacan, Jacques. (1958-1959), Le Désir. http://staferla.free.fr/S6/S6%20LE%20DESIR.pdf | 미소장 |
25 | Lacan, Jacques. (2007), The Seminar XVII, The Other Side of Psychoanalysis, Tr. Russell Grigg, New York: Nort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