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3차원 준설물량 산출을 위한 최적의 입력DB 구축방안 = Optimal Input Database Construction for 3D Dredging Quantification / 강병주 ; 황범식 ; 박헌우 ; 조완제 1
ABSTRACT 1
요지 1
1. 서론 1
2. 분석 대상 지역 선정 및 입력DB 구축 2
2.1. 분석 대상 지역의 선정 2
2.2. 대표 지층 결정 2
2.3. Kriging 기법 3
2.4. 입력DB 구축방안 3
3. 입력DB 구축방안에 따른 정밀도 분석 4
3.1. 교차검증을 통한 정밀도 분석 방안 4
3.2. 입력DB 구축방안에 따른 RMSE 분석 4
4. 입력DB 구축방안에 따른 3차원 가시화 및 준설물량 산출 분석 5
4.1. 준설매립 정보화 프로그램을 이용한 3차원 가시화 5
4.2. 입력DB 구축방안에 따른 준설물량의 비교 분석 6
5. 결론 및 향후 연구방안 8
References 8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연소재 및 식품폐기물의 혼합 반응에 따른 수처리 여과재 제조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e Filter Media for Water Treatment Using Mixture Response with Ash and Food Waste | 박승도, 이원호, 이민희 | pp.5-12 |
|
보기 |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Prediction of the Strength Properties of CSG Materials | Jeongyeul Lim, Kiyoung Kim, Hongduk Moon, Guangri Jin | pp.13-22 |
|
보기 |
3차원 준설물량 산출을 위한 최적의 입력DB 구축방안 = Optimal Input Database Construction for 3D Dredging Quantification | 강병주, 황범식, 박헌우, 조완제 | pp.23-31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3D modeling using geognostic data: The case of the low valley of Foglia river (Italy) ![]() |
미소장 |
2 | Issaks, E. H. and Srivastva, R. M. (1989), An introductions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225-235. | 미소장 |
3 | ISIM3D: An ANSI-C three-dimensional multiple indicator conditional simulation program ![]() |
미소장 |
4 | Kim, H. S., Kim, H. K., Shin, S. Y. and Chung, C. K. (2012b), "Geostatistical integration of borehole and geophysical data for design of offshore-foundation", Journal of the Korea Geotechnical Society, Vol. 28, No. 5, pp. 109-120. | 미소장 |
5 | Kim, J. S., Kim, H. S. and Chung, C. K. (2014), Determination of optimum outlier for borehole data in offshore dredging area using cross-valid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SCE 2014 CONVENTION 2014 CIVIL EXPO & CONFERENCE, pp. 569-570 (In Korean). | 미소장 |
6 | Comparative Evaluation on Geotechnical Information 3D Visualization Program for Dredging Quantity Estimation | 소장 |
7 | Lee, B. Y., Hwang, B. S., Kim, H. S. and Cho, W. J. (2017),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ology of boring investigation DB for the 3D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33, No. 9, pp 35-47 (In Korean). | 미소장 |
8 | Oh, S. H., Chung, H. J. and Lee, D. K. (2004), "Geostatistical integration of MT and borehole data for RMR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is, Vol. 7, No. 2, pp. 121-12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