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의 현대도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브제’의 오용의 원인을 고찰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에서는 서양 미술사에 등장하는 오브제 미술의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오브제미술은 대상을 재현하는 전통미술에 반기를 들고 인간의 현실의 삶과 환영이 만드는 예술이라는 이분법적인 경계를 허무는 방향으로 진화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브제’의 의미는 작가의 개념이나,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하고 있지만, 비기능적인 조형도자와 순수미술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현대미술의 추세 속에서 비합리적인 ‘도자 오브제’ 혹은 ‘오브제’라는 용어를 한국에서만 이용하는 것은 이론과 비평의 분야에서 혼란만 더욱 가중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잘못 사용되고 있는 사례를 남미경의 박사논문 「현대 도자오브제의 발전양상에 관한 연구」와 일본에서의 사례를 신나경의 논문 「공예의 기능과 미적 표현에서 추상의 문제: 오브제도예를 중심으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또한 영어권 국가에서 사용되는 ‘오브제’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글렌 아담스의 『thinking through craft』통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오브제의 오용의 이유는 두 가지로 판명되었다. 첫째는 남미경과 홍지수와 같은 한국의 비평가들이나 도예가들이 영어권에 쓰는 ‘object’를 단순히 불어로 ‘오브제’라고 번역하면서 자의적으로 해석한 한데서 오는 오역이 주된 원인이었다. 둘째는 20세기 중후반부터 하마무라준이나 오나가미가와 같은 일본 비평가들의 설익은 도자이론을 무분별하게 수용되어온 역사적 상흔에도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공예 비평가 루이스 마잔티가 제안한 수퍼 오브제(Super-Objects)라는 용어를 통해 오용되는 ‘오브제’ 용어의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isuse reason of 'Objet' used in contemporary ceramic art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s. For this, the advanced research has done clos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bjet art that appears in western art history. As a result, I could understand that Objet art have stand with revolt to traditional art which reenact the subject, and that it have evolved to the direction that tears down the binominal boundary of art that is made by human's reality's life and phantom. In addition, I could know that even though the meaning of 'Obje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author's concept or the location of era, using a terminology of irrational 'Ceramic Objet' or 'Objet' in Korea only in the trend of modern art, where the boundary between ceramic art and fine arts is breaking apart, is only adding chaos in the field of theory and criticism. Based on this, the cases that are misused in Korea have been considered focused on the Nam Mi-kyung's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contemporary pottery objet」 and the case in Japan with Shin Na-kyung's Thesis 「Abstract problems in the function and aesthetic expression of crafts: Focused on Objet Pottery」, Moreov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Glen Adams's 『thinking through craft』 to identify the meaning of 'Objet' used in English-speaking country. For the outcome, the reason of Objet's misuse became clear into two. First, as the Korean critics and ceramist like Nam Mi-kyung and Hong Ji-soo translated the 'object' used in English speaking country as 'Objet' in French, it became the main reason of mistranslation from a voluntary translation. The second was also found to be the historical scars that have been indiscriminately accepted from Japanese critics such as Haramura June and Onagamigawa since the mid-20th century. To solve this problem, I tried to come up with a new alternative to the term 'object' that is misused using the term 'Super-Objects' proposed by American crafts critic Lewis Mazanti.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얀 치홀트와 하라 켄야의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 = Value of Functional Design of Jan Tschichold and Hara Kenya 길상희 pp.1-10

조각보에 내재된 음양오행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Yin-Yang Five Elements Inherent in Jogakbo : Focusing on Hado and Naksu : 하도와 낙서를 중심으로 김민정 pp.11-27

글로컬 시대 공시적 미술관과 세계도시체제 = Synchronic Museum in the Glocal Era and the World Urban System 김민지 pp.29-44

자전적 가족사진의 의미와 가족 개념의 확장성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Autobiographical Family Photography and Extension of Family Concept : focused on Nick Waplington's <Living room> series : 닉 와플링턴의 <거실>시리즈를 중심으로 김바울, 손영실 pp.45-56

유튜브 공유회수 높은 바이럴 영상광고의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xpression Strategy of Viral AD with High Number of Sharing on YouTube 김성군, 장청건 pp.57-69

성인여성의 자아존중감이 국내 TV홈쇼핑 뷰티상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Women's Self-esteem has on / Purchase Habit of Beauty Product Sold on TV Home Shopping Channels in Korea 김숙진, 안서영 pp.71-84

안동포 자연염색을 이용한 조각보디자인의 실용화 = Commercialization of Patchwork Design using Andongpo Natural Dyeing 김영숙 pp.85-95

모바일 게임의 사용자 경험의 요소로서 시지각적 속성과 인지적 속성의 상관관계 실증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ttributes as a factor of user experience of Mobile Games 김원경, 오유빈 pp.97-109

장신구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미학 = Grotesque Aesthetics Represented in Jewellery 김희주, 강연미 pp.111-124

태백시 경로당 공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ce Improvement Plan of Senior Citizens in Taebaek City 문정인, 조원석 pp.125-137

공사장 가림막의 특성과 시각적 표현 유형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 The research on visual informatization of public space block 바이옌, 이홍, 안병진 pp.139-151

현대도예에서 유희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layfulness Expression in Contemporary Ceramics 박경주 pp.153-163

코스메틱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유형과 표현 특성 = Typ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osmetic Brand Collaboration : focusing on the cases of M.A.C : 맥(M.A.C) 사례를 중심으로 박소형, 김지민 pp.165-179

경계 밖의 디아스포라 = Diaspora Outside the Boundary : a study on the photograph documentary representation method about Korean residents in Japan : 재일교포에 대한 다큐멘터리 사진 재현방식 연구 박종현 pp.181-191

수공예 섬유기법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Textile Design Using Handicraft Textile Technique : focused on a case study by undergraduate students and a vendor industry-academia-linkage : 산학연계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주 pp.193-204

한국 현대 도자미술에서 '오브제' 용어의 오용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Object' misused in Contemporary Ceramic Art in Korea 방창현 pp.205-218

황금비를 활용한 학제적 융합 미술수업 방안과 구현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odel and Implementation Possibility of Art Class Utilizing Golden Ratio through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신현용, 신실라 pp.219-232

전통시장 이용자 의식 향상을 위한 지원방향에 대한 연구 = Analysis of Supporting Direction to Improve Traditional Market Consciousness : focused on Namsan Central Market in Cheonan : 천안 남산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안미경, 이원제 pp.233-244

초등학교 공예실기 수업에서 공예프로그램 재료실험과 확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Experiment and Expansion of Materials for Crafts Program in Craft Practical Class for Elementary School 안재영 pp.245-253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캐릭터 컬래버레이션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aracter Collaboration of Cosmetics Package Design on Purchase 양은미, 임경호 pp.255-269

중국 백주 향에 따른 백주라벨 글자체의 적용사례 분석 = An Analysis of Typeface's Application Example in Chinese Baijiu Label on the Basis of Its Aroma 양효용, 박용진 pp.271-285

게임 유저 유형에 따른 SCI 수준 및 게임 몰입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vel of Self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Game Flow according to Game User Type 온유연, 조동민 pp.287-299

중국 뉴스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시각정보전달 효율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Visual Communication for Opening Title Sequence of Chinese News based on Semiotic Analysis : focusing on terrestrial general channel hunan satellite TV, CCTV13, Zhejiang TV : 지상파 종합편성 채널 CCTV13, 후난위성, 저장위성 중심으로 유면, 박용진 pp.301-313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통한 평면적 재입체화의 전략 및 조형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y and Design Characteristic of Planar Reconstruction in Digital Fabrication 유재원, 안성모 pp.315-328

공공디자인의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Guide Design Standar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Based on the cases from development projects by KOICA : KOICA의 도시개발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이가영 pp.329-342

시각적 복잡성 연구고찰= Research on the Visual Complexity. 1, Problems through literature review . 1, 문헌고찰을 통한 문제점 도출 이광호, 윤성원 pp.343-355

블랙컬러마케팅이 소비자 구매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Black Color in Marketing on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Purchasing 이려, 김맹호 pp.357-371

아동 교과서 이미지에 함의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 = A Study on Family Mythologies Implicated in the image of textbooks for children : focusing on semiotic analysis of 10~13 years old moral textbook case : 10~13세 도덕교과서 사례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주 pp.373-389

2D 기초디자인 실습을 위한 경험적 증거로서 구조적 프레임워크의 역할 = The Role of Structural Framework as the Empirical Evidence for 2D Basic Design Practice 이주훈 pp.391-409

A Study on the developing data-based segmenting CTA(Call to Action) persona model for web service= 웹서비스를 위한 데이터기반 CTA 퍼소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Lee, Ji Hyun, Kiyoshi, Tomimatsu pp.411-423

탑의 조형성을 형상화한 도자조형 연구 = A Study on Ceramic Sculpture Embodying Formativeness of Pagoda : focused on pagodas and vertical structure of the researched works : 탑과 연구작품의 수직구조를 중심으로 이훈기 pp.425-435

귀금속 제품의 함유량 표준화를 위한 성분 분석과 실태파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tate and Component analysis for the Components Standardization of Precious Metal Products 임철민, 홍찬석, 한인옥 pp.437-448

아동 실종 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제안 = Suggested Wearable Device Design to Prevent Missing Children and Child Abduction 정의철, 조지희, 박기철 pp.449-463

조립기술 도입을 통한 브리지 주얼리 시장 성장전략 연구 = A Study of Bridge Jewelry Market Growth Strategy through Applying Assembly Technology : focused on assembly ring and parametric design method : 조립식 반지와 패러매트릭 디자인 기법을 중심으로 정진규 pp.465-478

GUI(Graphic User Interface) 디자인의 연구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 Content Analysis of the GUI Design Research Trends in the Article 진진아 pp.479-490

고령 여성의 상반신 체형분석 = Analysis of the upper body shape of old-old women : focused on 70~85 aged women : 70~85세 여성을 중심으로 차수정 pp.491-505

관계미학과 적대적 이론에 기초한 공공예술적 광고의 특성 고찰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Artistic Advertisement Based on 'Relational Aesthetics' and 'Antagonismand Relational Aesthetics' 차은수 pp.507-520

크라우스와 클라크의 '급진적인 미술사'에 의한 피카소의 콜라주 해석 = Interpretation of Picasso's Collages by R.E. Krauss and T.J. Clark's Views of Radical Art History 최병길 pp.521-532

크라우드 펀딩 패션 디자인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Analysis of Fashion Design Based on Cloud Funding 최유진 pp.533-544

모듈러를 응용한 플렉서블 입체조형물의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method of flexible 3D Form to which modulor is applied 하봉수 pp.545-557

디지털 크로스 모달의 옥외광고 사례연구 = Case study for the Digital-Cross modal of OOH advertising 허준영 pp.559-570

한국 현대도예의 회화적 표현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Painting Expression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Craft 홍지연 pp.571-580

심플리시티를 주제로 한 뷰티 제품 이노베이션 프로세스 = Beauty Product Innovation Process on the Theme of Simplicity : focused on the stage of discover : 발견(Discover) 과정을 중심으로 황현희 pp.581-594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주연, 「현대미술에 있어서 오브제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3 미소장
2 “Nomadic Readymade” in Chinese Contemporary Art: Ai Weiwei and Ni Haifung 소장
3 고충환, 「물신주의와 오브제의 이해」, 문화예술지 2월호, 2001 미소장
4 남미경, 「현대도자오브제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 논문, 2001 미소장
5 박용숙, 「현대미술의 반성적 이해」, 집문당, 1988 미소장
6 신나경, 「공예의 기능과 미적 표현에서 추상의 문제: 오브제도예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회 제34집, 2010 미소장
7 우관호, 「야기가즈오론」,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07 미소장
8 이인범, 「왜 <만남을 찾아서 outside the box> 인가?」, 한국미학예술학회, 2009 미소장
9 이 일, 「현대미술의 궤적」, 서울:동화출판사, 1974 미소장
10 이재언, 「현대도예의 오브제화 양상」, 누벨 오브제 01, 디자인 하우스, 1997 미소장
11 장동광, 「현대 금속공예에 있어서 오브제의 의미와 그 전개양상」, 누벨 오브제 01, 디자인 하우스, 1997 미소장
12 The Contemporaneous Discourse of Vanitas Still-Life; Based on the Metamorphosis of Concept and Style Including Extended Signification 소장
13 최범, 『한국 디자인 신화를 넘어서』, 안그라픽스, 2013 미소장
14 (A)Study on the expression of de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Moon Jar' in Korean ceramics after 2000s 소장
15 Glen Adams, 『Thinking through craft』, Bloomsbury, 2015 미소장
16 Lee Nordness, 『Objects U.S.A.: Works by Artist-Craftsmen in Ceramic, Enamel, Glass, Metal, Plastic, Mosaic, Wood and Fiber』, 1970 미소장
17 Louise Mazanti, 「Super-Objects: Craft as an aesthetic position」, Duke University Press, 2011 미소장
18 M. Anna Fariello, 「Making and Naming: The lexicon of studio craft」, Duke University Press, 2011 미소장
19 Roger Bordier, 『L'Art moderne et l'Objet』, Editions Albin Michel, 1978 미소장
20 Thomas Albright, 「Art in the Sanfrancisco Bay Area: 1945-1980, University of Califonia Press」, 1985 미소장
21 William S. Rubin , 『Dada, Surrealism, and Their heritage』, New York : The Museum of Modern Art, 1968 미소장
22 웹사이트 인용, 디자인 담론, 네오 다다이즘(2018년 2월 5일 접속) (http://m.blog.naver.com/dayon6162/4002903995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