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아프리카 기원설과 다른 돌날석기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의 새로운 자료들은 최근 연구 성과로 확인되었다. 시베리아와 몽골과 중앙아시아의 여러 유적에서 중기-후기구석기시대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여러 유적들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몽골지역의 톨보르유적군과 중앙아시아의 오비-라흐 마트유적은 편년과 성격 설정에 있어 신중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세형돌날문화 기원에 대해 돌날석기문화의 다양성을 통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베리아와 그 주변 지역의 전형적인 돌날문화유적에서 카라콜유형 여부와 상관없이 소형돌날과 비체계화된 세형몸돌들이 공반된다. 이 몸돌들은 세형몸돌로 규정할 경우 약 27ka부터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확인되는 체계화된 박리체계를 갖고 있는 세형돌날문화의 확산기의 몸돌들과의 관계 설정에 많은 혼돈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술체계적 측면에서 여전히 이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체계화된 몸돌과의 기술적 연관성을 직접 연결시킬만한 근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카라콜유형의 석기군이 돌날석기문화가 정착되어가며 중소형의 1타격면·1작업면의 몸돌과 2타격면·1작업면의 몸돌들과 같이 기술적으로 중소형돌날을 전략적으로 떼어내는 방식의 기술이 확대되는 것은 주목할 만한 기술 변화이다. 변화의 맥락에서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소형돌날들이 등장하는 것은 아닌지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이런 비체계화된 세형몸돌들이 소량이지만 30-40ka의 유적들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체계화된 세형몸돌 간의 시간적 차이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그 기술변화의 중심에는 기술의 체계화를 가져온 양면박리기술을 석기로가 아니라 몸돌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
Based on the new archeological specimens in Siberia and the surrounding areas, the research trends and new hypotheses of the blade industry have been examined. As the result, some of the hypotheses already suggested are considered to be reexamined.
First of all, the new data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 blade industry,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ut of Africa” theory, draw our attention. This is because they show that many remains from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middle and the upper paleolithic have been found not only in Siberia but in Mongolia and Central Asia as well.
Especially, the artifacts of Tolbor in Mongolia region and those of Obi-Rakhmat in Central Asia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chro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initial upper paleolithic.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chronological record of Obi-Rakhmat remains sets an upper limit in 85ka. Moreover, the fact that the existing Kara Bom and Karakol variant don’t always apply to this region should not be overlooked as well.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origin of the microblade industry should be verified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blade industry. In other words, the remains from the blade industry in Siberia and the surrounding areas are associated with small-sized blades and unsystematic microblades, regardless of Karakol variant.
If we define these cores as microblade cores, they may cause some confusion in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blades from the period when microblade industry spread out, which are found all over Northeast Asia from about its 27ka and have systematic detaching technique. Therefore, there is still little evidence to make close connection between unsystematic microblade core and other systematic microblade cores in terms of technical system.
Meanwhile, it is a remarkable technological shift that the blade tool group of Karakol variant adopted a lithic technology, which was the similar approach that the middle and small-sized blade cores of 1 striking platform 1 working face and those of 2 striking plaform and 1 working face took.
Along with such changes, more systematic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out if the unsystematic microblade cores and small-sized blades would appear. Even though being a few, such unsystematic microblade cores have been consistently found in the remains from 30-40ka. Also, because the timing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atic microblade cores and unsystematic ones has been gradually decreased,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remains which may help us to find out the technological change at that time would be soon discovered. The fact that they used bifacial technique as a core not a tool, which brought the systematization of technology, is the key of the technological change.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경남발전연구원, 『거창 정장리 유적』Ⅰ,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04. | 미소장 |
2 | 경남발전연구원, 『거창 정장리 유적』Ⅱ,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04. | 미소장 |
3 | 김종찬, “남양주 덕소유적의 AMS 연대측정 결과(1).” 『남양주 덕소유적』, 수원대학교박물관·(주)동부건설, 2008. | 미소장 |
4 | 대전 용산동 구석기유적 : 1차 조사를 중심으로 | 소장 |
5 | 서영남·김환진·장용준, “경남밀양시 고례리유적 후기구석기문화.” 『영남지방의 구석기문화』 제8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1999. | 미소장 |
6 | Hunting Tools of the Upper Paleolithic in Siberia | 소장 |
7 | 손동혁, “시베리아 후기구석기시대의 골각기 검토.” 『전남문화재』 제16호, 전남문화재연구소, 2017b. | 미소장 |
8 | 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iberia in the late paleolithic age | 소장 |
9 | 양정석·홍미영·김정례·김남호·모현선·김진홍, 『남양주 덕소 유적』, 수원대학교 박물관·(주)동부건설, 2008. | 미소장 |
10 | 이기길, 『진안 진그늘 구석기시대 유적 현장설명회 자료』, 조선대학교박물관, 2000. | 미소장 |
11 | The Jingeuneul Upper Palaeolithic Site in Jinan County of Submerged Area around the Yongdam Dam and Its Significance | 소장 |
12 | 이기길·윤정국, 『진안 진그늘 선사유적-제1권: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살림』, 조선대학교박물관·진안군·한국수자원공사, 2005. | 미소장 |
13 | 이기길·최미노·김은정, 『순천 죽내리 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순천시청·익산지 방국토관리청, 2000. | 미소장 |
14 | 이승원, 안주연, 김용건, 장형길, 『충주 송암리 왜실유적』, 한국선사문화연구원· 한국농 어촌공사, 2014. | 미소장 |
15 | A Study of Technological Context Between Sub-wedge Shaped Core and Blade Tool Culture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 소장 |
16 | 이헌종, “곡성 오지리유적과 후기구석기 후기의 돌날석기문화 연구.”『역사학연구』 제33집, 2007. | 미소장 |
17 | 이헌종, “韓國 後期舊石器時代 文化갈래의 複雜性 試考.” 『수양개와 그이웃들 제15회 학술대회』, 수양개와 그 이웃들, 2010. | 미소장 |
18 | 이헌종, “한국의 돌날과 세형돌날석기: 기원과 확산.”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 50주년 기념학술대회』, 연세대학교박물관, 2014. | 미소장 |
19 | Study of origin and distribution of blade and microblade industry in Korea | 소장 |
20 | Study of Character of Coexistence Model and Cultural Complexity system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 소장 |
21 | 이헌종·이상석, “우리나라 돌날석기문화 연구.” 『수양개와 그 이웃들: 제15회 국제학술대회』, 단양군·(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3. | 미소장 |
22 | 이헌종·이상석, “우리나라 돌날석기 제작기법의 특징과 변화,” 『수양개와 그 이웃들: 제16회 국제학술 대회』, 단양군·(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4a. | 미소장 |
23 | 이헌종·이상석, “우리나라 돌날몸돌 제작기술체계의 특징과 변화 시고.”『구석기학보』 29, 한국구석기학회, 2014b. | 미소장 |
24 | 이헌종·송장선, 『곡성오지리유적』, 마한문화재연구원, 2008. | 미소장 |
25 | Study of Culture Change on the Microblade Culture in Yenisei river basin with Contiguous Territories | 소장 |
26 | A Comparative Study of Techno-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croblade Industry of the UP in Baikal region with Contiguous Territories | 소장 |
27 | 이헌종·노선호·이혜연, 『나주 당가·촌곡리 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2004. | 미소장 |
28 | 장용준, 『밀양고례리유적 몸돌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1. | 미소장 |
29 | 장용준, 『한국 후기구석기의 제작기법과 편년연구』, 학연문화사, 2007. | 미소장 |
30 | 중앙문화재연구원, 『대전용산동 구석기유적』, 2007. | 미소장 |
31 | 최몽룡·이헌종·강인욱,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 주류성, 2003. | 미소장 |
32 | 최복규·유혜정, 『포천 화대리 쉼터 구석기유적』, 강원대학교, 2005. | 미소장 |
33 | 호남문화재연구원, 『완주 갈산리 유적Ⅰ』, 2014. | 미소장 |
34 | 홍미영·김종헌, 『남양주 호평동 유적 Ⅰ·Ⅱ』, 기전문화재연구원·한국토지공사, 2008. | 미소장 |
35 | 木村英明, 『シベリアの旧石器文化』, 北海道大學図書刊行会, 1997. | 미소장 |
36 |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n Northeast Asia ![]() |
미소장 |
37 | Archaeology NEWS ![]() |
미소장 |
38 | Archaeology's Closet ![]() |
미소장 |
39 | Derevianko A.P et al, The paleolithic of Siberi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 미소장 |
40 | Derevianko A.P·Olsen, J.W·Tseveendorj, D·Petrin, V.T·Gladyshev, S.A·Zenin, A.N·Mylnikov, V.P·Krivoshapkin, A.I·Reeves, R.W·Brantingham, J·Gunchinsuren, B·Tserendagva, Ya, Archaeological Studies Carried Out by the Joint Russiane Mongoliane American Expedition in Mongolia in 1996, Institute of Archaeology & Ethnography, SB RAS Press, Novosibirsk, 1998. | 미소장 |
41 | Archaeology NEWS ![]() |
미소장 |
42 | Derevianko A.P·Olsen J.W·Tseveendorj D·Petrin V.T·Gladyshev S.A·Zenin A.N·Mylnikov V.P·Krivoshapkin A.I·Reeves R.W·Brantingham J·Gunchinsuren B·Tserendagva Y, Archaeological Studies Carried Out by the Joint Russian-Mongolian-American Expedition in Mongolia in 1997-1998. Institute of Archaeology & Ethnography SB RAS Press, Novosibirsk. 2000. | 미소장 |
43 | Archaeology at War ![]() |
미소장 |
44 | Archaeology Island ![]() |
미소장 |
45 | CHRONOLOGY AND PERIODIZATION OF UPPER PALEOLITHIC SITES IN MONGOLIA* ![]() |
미소장 |
46 | The Upper Paleolithic of Mongolia: Recent finds and new perspectives ![]() |
미소장 |
47 | Gladyshev G., Jull, A.J.T., Dogandzic, T., Zwyns, N., Olsen, J.W., Richards, M.P., Tabarev, A.V., Talamo, S., “Radiocarbon dating of Paleolithic sites in the Ikh-ulberiin-Gol River Valley, Northern Mongolia,”Vestnik, 12 (5), 44-48.. 2013. | 미소장 |
48 | Jaubert J., Bertran, P., Fontugne, M., Jarry, M., Lacombe, S., Leroyer, C., Marmet, E., Taborin, Y., Tsogtbaatar, B., Brugal, J.P., Desclaus, M., Poplin, F., Rodière, J., Servelle C.,. Le Palèolithique supèrieur ancient de Mongolie: Dörölj 1(Egiïn Gol). Analogies avec les donnèes de l”Altaï et de Sibèrier (Acts of the XIVth UISPP Congress University of Liège, Belgium, 2-8 September 2001. Section 6: Le Palèolithique Supèrieur). Archaeo Press, Oxford, UK, pp. 225-241., 2004. | 미소장 |
49 | Rethinking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 |
미소장 |
50 | Rybin E.P·Khatsenovich A.M·Gunchinsuren B·Olsen J.W·Zwyns N, “The impact of the LGM on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Paleolithic in Mongolia,” Quaternary International xxx, 2016. | 미소장 |
51 | The Upper Palaeolithic of Northern Asia ![]() |
미소장 |
52 | TOLBAGA: UPPER PALEOLITHIC SETTLEMENT PATTERNS IN THE TRANS- BAIKAL REGION ![]() |
미소장 |
53 | Zwyns N, Laminar Technology and the Onset of the Upper Paleolithic in the Altai (Siberia), Leiden University Press, Leiden. 2012. | 미소장 |
54 | The open-air site of Tolbor 16 (Northern Mongolia): Preliminary results and perspectives ![]() |
미소장 |
55 | Zwyns N·Gladyshev S.A·Tabarav A.V·Gunchinsuren B, Mongolia:paleolithic, Encyclopedia of Global Archeology Vol. 8 (Mo-O), Chapter:Mongolia:Paleolithic, Publisher: Springer-Verlag, Editors: Claire Smith, 2014. | 미소장 |
56 | Абрамова З.А·Аникович. М.В·Бадер. Н.О·Борисковский. П.И·Любин. В.П·Праслов. Н. Д·Рогачев. А.Н, Палеолит СССР, Москва, 1984. (소련의 구석기시대) | 미소장 |
57 | Абрамова З.А. “Палеолит Северной Азии”, Палеолит мира: Палеолит Кавказа и Северной Азии, Л: Наука, 1989. (북아시아의구석기시대) | 미소장 |
58 | Аксенов М.П·Шуньков М.В, “Новое в палеолите Верхней Лены”, Древняя истори я народов юга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ркутск: Изд-во Иркут, гос. ун-та, Вып. 4, 1978. (레나강 상류 구석기시대의 새로운 발견) | 미소장 |
59 | Васильев С.Г·Кузнецов. О.В·Мещерин. М.Н, “Поселение Толбага”, Природная сред а и древний человек в позднем антропогене, Улан Уде. 1987. (톨바가 정착지) | 미소장 |
60 | Воробьева Г.А·Медведев Г.И, Плейстоцен-голоценовые отложения юга Средне й Сибири 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остатки в геологических слоях, Голоцен, Ирк утск, 1984. (중부 시베리아 남부의 홍적세-충적세 퇴적물과 지질학적 층위에서의 고고학적 흔적) | 미소장 |
61 | Деревянко А.П. Переход от среднего к верхнему палеолиту ипроблема формир ования Homo sapiens sapiens в Восточной, Центральной и Северной Азии, Новосибирск Изд-во ИАЭТ СОРАН, 2009.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의 중기구석기에서 후기구석기로의 전환기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형성문제) | 미소장 |
62 | Деревянко А.П, “Три сценария перехода от среднего к верхнему палеолиту. Сце нарий первый: переход к верхнему палеолиту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и на Ближнем Востоке”, Археология, эт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 4, Но восибирск, 2010. (중기구석기에서 후기구석기로의 전환의 세 가지 시나리오, 첫 번째 시나리오: 중앙아시아와 근동의 후기구석기시대로의 전환) | 미소장 |
63 | Деревянко А.П·Петрин В.Т,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й и временной аспекты существо вания комплексов каменного инвентаря типа Кара-Бом”, Хронология и кул ьтур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памятников каменного и бронзового веков Южной Сибири:Тез. докл. и сообщ. науч. конф. (Барнаул, 23-25 марта 1988г.), Бар наул: Изд-во Алт. гос. ун-та, 1988. (카라봄 유형 석기군의 존재의 시·공간적인 양상) | 미소장 |
64 | Деревянко А.П·Петрин. В.Т·Рыбин Е.П·Чевалков Л.М., Палеолитические к омплексы стратифицированной части стоянки Кара-Бом, Новосибирск, 1998. (카라봄 유적의 층위화된 부분의 구석기군) | 미소장 |
65 | Деревянко А.П·Маркин С.В·Олсен Д·Цэрэндагва Я·Петрин В.Т,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е каменного века Чихэн-2 в Южной Монголии”, Проблемы археологии, эт-н ограф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Сибири и сопредельных террито- рий: мат-лы Год овой юбилейной сессии Института археоло- 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СО РАН, д екабрь 2000 г., Новосибирск: Изд-во ИАЭТ СО РАН, 2000. (남몽골 치헨-2 석기시대의 유적) | 미소장 |
66 | Деревянко А.П·Шуньков М.В·Агаджанян А.К. и др, Природная среда и человек в палеолите г орного Алтая, Издательство Института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СО РАН, Новосибирск, 2003. (고르노 알타이의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과 인간) | 미소장 |
67 | Деревянко А.П·Зенин А.Н·Рыбин Е.П. и др, “Развитие каменных индустрий вер хнего палеолита Северной Монголии (поданным стоянки Толбор)”, Челов ек и пространство в культурах каменного века Евразии, Новосибирск: Изд-во ИАЭТСО РАН, 2006. (북몽골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기술의 발달) | 미소장 |
68 | Деревянко А.П·Кандыба А.В·Петрин В.Т, Палеолит Орхона, Новосибирск: Изд-во Института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СО РАН, 2010. (아르혼의 구석기시대) | 미소장 |
69 | Кинд Н.В. Геохронология позднего антропогена по изотопным данным, М.: Наук а, 1974. (동위원소 자료에 의한 후기 인류의지질연대학) | 미소장 |
70 | Константинов М.В, “Палеолитическое поселение Толбага”, Вопросы краеведения Забайкалья, Вып. 2, Чита, 1973. (구석기시대의 정착지 톨바가) | 미소장 |
71 | Константинов М.В, Каменный век восточного региона Байкальской Азии, Ула н Уде-Чита, 1994. (바이칼 아시아의 동쪽 지역의 석기시대) | 미소장 |
72 | Кузьмин Я.В и другие, “Радиоуглеродное датирование палеолита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материалы к каталогу 14С дат (по состоянию на конец 2010 г.)”, Stratum plus, №1, 2011. (시베리아와 극동 구석기시대의 방소성탄소연대) | 미소장 |
73 | Лбова Л.В, Палеолит предгорных районов заподного Забайкалья, Диссертация на соискание ученой степени доктора исторических наук, Новосибирски 2001. (자바이칼 서쪽지역 구릉지대의 구석기시대) | 미소장 |
74 | Медведев Г.И·Савельев. Н.А·Свинин. В.В, Стратиграфия, палеогеография и архео логия юга Средней Сибири, Иркутск, 1990. (중앙시베리아 남쪽의 층서학, 고고학, 고지형학) | 미소장 |
75 | Окладников А.П·Кириллов.И.И, Юго-Восточное Забайкалье в эпоху камня и ран ней бронзы, Новосибирски, 1980. (자바이칼남동쪽의 석기시대와 초기 청동기시대) | 미소장 |
76 | Окладников А.П, Палеолит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Москва, 1981.(중앙아시아의 구석기시대) | 미소장 |
77 | Рыбин Е.П, “Хронология и географическое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культурно значимых артефактов в начальном верхнем палеолите северной Азии и восточной част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Известия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Т. 1. Вып. 4 (84), 2014.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동쪽지역의 문화적 중요 유물의 연대 및 지리적 분포) | 미소장 |
78 | Харевич В.М, Начальная стадия верхнего палеолита Среднего Енисея, кандидата исторически х наук, Новосибирск, 2010. (중앙예니세이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 단계) | 미소장 |
79 | Харевич В.М·Стасюк И.В, “Техника первичного расщепления позднепалеолитичес кого местонахождения Усть-Малтат II (Средний Енисей)”, Вестник НГУ. С ерия: История, филология. Т. 7. Вып. 3, 2008. (우스트-말탓 2 후기구석기유적의 초기 석기생산 기술) | 미소장 |
80 | Харевич В.М·Акимова Е.В·Стасюк И.В, “Каменная индустрия позднепалеолитичес кого местонахождения Дербина V(Красноярское водохранилище)”, Вестн, Но восиб. гос. ун-та. Серия: История, филология, Т. 9, вып. 5, 2010. (제르비나 5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의 석기기술) | 미소장 |
81 | Цейтлин С. М, Геология палеолита Северной Азии, Москва, 1979. (북아시아 후기 구석기시대의 지질학)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