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1920년대 大倧敎세력과 北滿洲지역 독립운동 = Daejonggyo Forces and Anti-Japanese Activities in North Manchuria in 1920s / 이숙화 인기도
발행사항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05.31
수록지명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62집 (2018년 5월), pp.129-16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8120134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庚申慘變(일명 간도참변)’ 이후 만주의 항일운동 세력은 일본군에 의한 물적·인적 피해를 극복하고 새로운 항전기지 구축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남만주에는 正義府와 參議府가 설립되었고, 북만주에는 新民府가 설립되어 1920년대 중반 남·북만주를 대표하는 3부의 성립을 이루었다.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하여 신민부는 대종교 무장세력과 북만주 民團 대표들이 함께 결성한 독립운동단체라는 점에서 1920년대 중·후반 대종교 세력의 독립운동을 파악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1920년대 중후반 대종교 세력의 활동을 크게 두 계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하나는 대종교총본사를 중심으로 종교활동 및 항일운동을 전개했던 金敎獻·尹世復 등 핵심인물들이다. 경신참변 이후 제2대 도사교 김교헌은 寧古塔에서 대종교부흥운동을 전개하여 대한군정서 재건을 뒷받침했다. 한편 윤세복이 주도하던 1926년의 대종교총본사는 奉天省長 張作林이 내린 ‘대종교금지령’에 따라 모든 활동을 금지당했다. 그 원인으로 대종교 세력의 국내 특파작전이 추진되고 있었던 사실을 본 논문에서 새로 밝혔다.

또 다른 계열은 대한군정서 및 신민부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무장세력이다. 대한군정서는 1921년 9월 총재 徐一의 사거로 해체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만, 부총재 玄天默이 계승하여 金赫·金佐鎭·曺成煥·鄭信 등과 함께 재건에 성공하였다. 이후 대종교 세력은 독립군 통합운동을 추진하면서 ‘夫餘族統一會’를 거쳐 신민부 성립을 이끌어냈다. 대종교와 대한군정서·신민부의 연관성은 주요 인물들의 역할, 종교적 배경, 이념의 정합성, 활동 등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1920년대 후반 대종교 세력은 ‘대종교금지령’ 이외에도 주요 간부들이 고령으로 사거하거나 일제에 피체되고, 신민부 해체까지 겪으면서 점차 약해졌다. 더욱이 1920년대 중·후반 북만주에 확산된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도 대종교 세력의 약화에 주요한 원인이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20년대 후반이 되면 김좌진, 정신 등은 대종교 이념에 무정부주의를 수용하여 한족총연합회를 결성했는데, 그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1920년대 중·후반 대종교의 독립운동은 연구 공백으로 남아있었다. 그 배경에는 먼저, 1926년 ‘대종교금지령’으로 대종교에서조차 1920년대 중·후반의 시기를 ‘단절의 시기’로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사료의 미발굴로 청산리전투 이후 대한군정서와 대종교 무장세력의 명멸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1920년대 대종교 세력의 항일운동은 결코 단절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친일배 척결, 자치기구 결성, 무정부주의 수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항일운동을 지속했던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자위단에 대응한 의병의 활동과 지역사회, 1907~1909 = The Mutual Efforts Between Righteous Army and Self-Defense Forces for Taking Control of Local Communities and Response of Regional Residents to Them, 1907~1909 김헌주 pp.5-3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재판 관련 기록으로 본 화성 장안·우정면 3·1만세운동 = The March 1st Demonstration Movement at Jangan- and Ujung-Myon of Hwasung from the Trial Records 이용창 pp.37-8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안동교통사무국 설치와 운영 =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the Andong Transportation Bureau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Federation for Korean Youth Groups : 대한청년단연합회와 연대를 중심으로 김영장 pp.87-12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1920년대 大倧敎세력과 北滿洲지역 독립운동 = Daejonggyo Forces and Anti-Japanese Activities in North Manchuria in 1920s 이숙화 pp.129-16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중일전쟁시기『韓國靑年』(1940~1941)의 정세인식과 대응 = Korean Youths(『韓國靑年』: 1940~1941) Recognitions of and Responses to the State of Affairs during Sino-Japanese War Era 이재령 pp.171-20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일제강점 말기 송산고등농사학원과 김두혁의 독립운동 =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Songsan Higher Farming Academy and Kim Du-hyuk in the Last Years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Reexamination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So-called Pyong-An Group : 이른바 '평안그룹' 독립운동에 대한 재검토 윤소영 pp.207-25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獨立新聞』 미소장
2 『東亞日報』 미소장
3 『時代日報』 미소장
4 『신한민보』 미소장
5 『중외일보』. 미소장
6 대종교총본사 편, 『倧門榮秩』, (연도미상). 미소장
7 「大倧敎總本司建策發起會佈明書」, 대종교총본사, 1934. 미소장
8 김승빈, 「回想記(俄領과 中領에서 進行되던 朝鮮民族解放運動」(독립기념관정보시스템 자료번호 1-012254-000). 미소장
9 金學奎, 「지난 30년간 중국동북지방에서의 광복운동(續)」,『光復』 제1권(『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4. 미소장
10 『滿洲及西比利亞における朝鮮人事情』, 朝鮮總督府, 1923. 미소장
11 金正明 편, 『朝鮮獨立運動』 Ⅱ(民族主義運動篇), 原書房, 1967. 미소장
12 川口忠, 『間島琿春北鮮及東海岸地方行脚記』, (大連小林又七支店, 1932), 경인문화사, 1995. 미소장
13 『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ノ部-在滿洲ノ部』 30·31·32·33·34·36·38·40·41·42·43券(일본외무성 외교사료관 및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미소장
14 『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ノ部-鮮人及過激派』 6券. 미소장
15 『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ノ部-在支那各地』 4券. 미소장
16 『朝鮮人ニ對スル施政關係雜件 一般ノ部』 3券. 미소장
17 『檢察行政事務에 關한 記錄 1』, 京城地法 檢事局, 192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미소장
18 「新民府幹部崔昌益取締狀況ニ關スル件」(1925. 11. 10), 『檢察事務에 關한 記錄 1』,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문서,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미소장
19 김준엽·김창환, 『한국공산주의운동사』 4, 1974. 미소장
2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자료』(중국동북지역편 Ⅰ) 38권, 2002. 미소장
21 대종교종경종사편수위원회, 『大倧敎重光六十年史』, 대종교총본사, 1971, 353쪽. 미소장
22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한국공산주의운동사』, 돌베개, 2015. 미소장
23 류시중 외 역, 『국역 고등경찰요사』, 선인, 2009. 미소장
24 박 환, 『만주한인민족운동사연구』, 일조각, 1991. 미소장
25 박 환, 『만주지역 한인민족운동의 재발견』, 국학자료원, 2014. 미소장
26 신 숙, 『剛齊 申肅의 生涯와 獨立鬪爭: 나의 일생』, 국학자료원, 1963. 미소장
27 李乙奎, 『是也 金宗鎭先生傳』, 한흥인쇄소, 1963. 미소장
28 이정식 외,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民音社, 2005. 미소장
29 정화암,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 자유문고, 1982. 미소장
30 조경한, 『白岡回顧錄』, 한국종교협회, 1979. 미소장
31 지복영, 『역사의 수레를 끌고 밀며』, 문학과지성사, 1995. 미소장
32 蔡根植, 『武將獨立運動秘史』, 민족문화사, 1985. 미소장
33 채영국, 『1920년대 후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미소장
34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5권, 1970. 미소장
35 한국독립유공자협회, 『中國東北지역 韓國獨立運動史』, 집문당, 1997. 미소장
36 許東粲, 『金日成評傳』, 북한연구소, 1987. 미소장
37 현규환, 『韓國流移民史』, 어문각, 1976. 미소장
38 Lee, Hui-young's China Exile Life and Independence Movement : 1919~1932년을 중심으로 소장
39 A Study on the DanAe (檀崖) Yoon Se Bok(尹世復) - Centering on Since the Daejonggyo (大倧敎) activities - 네이버 미소장
40 Lee Jangnyeong’s Life and Independent Activity 소장
41 金鎬逸, 「羅喆의 민족종교 重光과 항일독립운동연구」, 『인문학연구』 34, 중앙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 미소장
42 Hyeon Cheon-muk's National movement and Daejonggyo 소장
43 대종교 의 獨立運動 에 관한 硏究 , 金敎獻 敎主 時期 를 中心으로 소장
44 대종교의 民族意識과 抗日民族獨立運動 : 壬午敎變을 中心으로 소장
45 『 新民府 』 에 대한 一考察 소장
46 「韓族總聯合會」의 結成과 그 活動 네이버 미소장
47 A General Kim Hyuk’s Formation of Nationalism and National Movement 소장
48 논문(論文) : 단애 윤세복과 독립운동 네이버 미소장
49 신규섭, 「1920년대 후반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 鮮滿一體化의 좌절과 ‘三矢협정’」, 『한국근현대사연구』 29, 한국근현대사학회, 2002. 미소장
50 大韓(北路)軍政署 獨立軍의 硏究 소장
51 대종교인 서일의 대일항쟁과 그 의미 소장
52 The Restoration of Daejonggyo and its Meaning 소장
53 Yong-yin Na's Anti-Japanese Activities, 1902~1908 소장
54 1920년대후기 滿洲에서의 民族運動과 獨立軍 소장
55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Religious Policy in Modern Korea 소장
56 서일의 생애과 항일무장투쟁 소장
57 The suppression of Japanese empire and the reactions of Daejonggyo in its early days 소장
58 The Formation of Daehan-Gunjeongseo and the Military Consolidation Movement in Manchuria 소장
59 이숙화, 「1930년대 대종교 재건과 민족운동」, 『고조선단군학』 37, 단군학회, 2017. 미소장
60 韓國獨立軍의 抗日武裝鬪爭 硏究 소장
61 조경한, 「大甸子 大捷: 抗日武力鬪爭의 한 斷面史 」, 『군사』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980. 미소장
62 최봉룡,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2,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미소장
63 최영주, 「한국아나키스트 군상」, 『정경문화』, 韓國政經硏究所, 1983. 9. 미소장
64 崔洪奎, 「新民府의 略史」, 『自由公論』, 1982. 미소장
65 夢乎 黃學秀의 생애와 독립운동 소장
66 在滿 韓國獨立黨의 成立過程과 活動에 관한 硏究 소장
67 재만 한국독립군의 성립과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