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공감을 이끌어내는 SNS 디자인 프레임워크 제안 = A study on the design framework of SNS that induces empathy : focusing on the case of 'Kakaostory' : 카카오스토리 사례 중심으로 / 강민정 ; 윤주현 1
[Title] 1
요약 2
Abstract 2
1. 서론 3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2. 공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2.1. 공감의 정의 3
2.2.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공감경험의 확장 3
3. 공감적 자아의 발달 단계 4
3.1. 멀티모달리티를 통한 서비스 파악 4
3.2. 자아표현 5
3.3. 인간관계 5
3.4. 놀이 6
3.5. 자아 정체성 6
3.6. SNS에서 공감적 자아의 발달 단계 7
4. 카카오스토리 사례연구 7
4.1. 카카오스토리 분석 7
5. 결론 9
참고문헌 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크로스 플랫폼에서의 매끄러운 읽기 경험 강화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 | 소장 |
2 | Exploring Dispositional Media Use Motives : An Extension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in a Multimedia Environment | 소장 |
3 | The Effects of Blog Writing for Self-Presentation and Preference toward Others’ Blog Writing for Self-Presentation on Interpersonal and Social Trus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ic Experiences of Blog Use | 소장 |
4 | 박성희, 공감학: 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 미소장 |
5 | 신선,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현황, KISDI STAT Report, 제13권 제4호, 2013.04.25. | 미소장 |
6 | 제러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 미소장 |
7 |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 |
미소장 |
8 | Goffman, E.,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New York: A double day Anchor Original, 1959. | 미소장 |
9 | Granovetter, Mark S.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P.V. Marsden, N. Lin (Eds.),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Sage, Beverly Hills, 1982. | 미소장 |
10 | Greenspan, Stanley(with Beryl Lieff Benderly). The Growth of the Mind: and the Endagered Origins of Intelligence. Reading, MA: Addison Wesley, 1997. | 미소장 |
11 | Hoffman, Martin L. emphathy and moral developma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cmbrighe, UK: cambridg University press, 2000. | 미소장 |
12 | J. C. Roca, C. M. Chiu and F. J. Martinez, "Understanding e-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An Exten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64, 2006. | 미소장 |
13 | Multimodal human–computer interaction: A survey ![]() |
미소장 |
14 | James, W. The Philosophy of William James, Modern library Edition. New york: Random House, n.d. 1925. | 미소장 |
15 | Force of Habit and Information Systems Usage: Theory and Initial Validation ![]() |
미소장 |
16 | MACLEAN, Paul D. The triune brain in evolution: Role in paleocerebral functions. Springer, 1990. | 미소장 |
17 | Relationship Formation on the Internet: What’s the Big Attraction? ![]() |
미소장 |
18 | Okamoto, M., Nakano, Y. I., & Nishida, T., Toward enhancing user involvement via empathy channel in human-computer interface design. In Intelligent Media Technology for Communicative Intelligenc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5. | 미소장 |
19 | Perinbanayagam, R. S. Signifying acts: Structure and meaning in everyday life.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5. | 미소장 |
20 | Preece, J., & Ghozati, K.Observations and exploration of empathy online. In. R. R.Rice & J. E. Katz(Eds.). The Internet and health communication: Exprience and Expectations. Sage Publications Inc., Thousand Oaks, 2001. | 미소장 |
21 | 이상균, 카카오스토리, 8일만에 가입자 1000만 돌파,머니투데이뉴스, 2012. 03.30. http://stock.mt.co.kr | 미소장 |
22 | Garside, Facebook loses millions of users as biggest markets peak, the quardian, 2013.04.29. http://www.theguardian.com | 미소장 |
23 | KT콘텐츠팀, 플랫폼 생태계를 통해 본 차세대 미디어,조선닷컴, 2014.10.29. http://news.chosun.com | 미소장 |
24 | Lee Rainie, John Horrigan, Barry Wellman and Jeffrey Boase. the strength of internet ties.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2006.01.25. http://www.pewinternet.org | 미소장 |
25 | Sharma, Being ignored on Facebook can lower self-esteem 2014. 05. 14. http://www.smh.com.au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