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일 양국의 여학생들의 학교폭력 현상은 급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학생 폭력은 기존에도 있어왔고 남학생들과 공격양상이 달라 주목을 덜 받은 것임을 알 수 있다. 한일 양국의 여학생폭력에 대한 기사를 살펴보면, 한국은 휴대폰 메시지, 왕따카페, 안티카페, 카톡왕따. 등으로 진화하고 있고, 일본은 휴대폰 메시지에서부터 학교비공식사이트와 라인이지메 등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폰의 발달은 학부모나 학교에 의한 감시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결국 한일 양국의 여학생 폭력은 ‘급증’에서 ‘심각화’, ‘음습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BSCによるインタンジブルズ研究の現状とその方向性 = Present Condition and Direction of Intangibles Study by BSC : Case Study Using Strategy Map : 戦略マップを用いた事例研究 李会爽 p.321-343

協働活動に対する学習者の認識調査 = A Study of Learners' Belief in Cooperative Activities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 日本語教育の授業実践を通して 金志宣 p.77-93

日本における認知症ケアの問題と「徘徊」の隠喩的分析 = The care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Japan and the metaphorical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Wandering" 岡本かおり p.279-299

日本人 拉致 事件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idnapping of Japanese by North Korea : 가족회 결성을 중심으로 이수익 p.219-235

日本語学習者の母語を取り入れた落語の活動報告 = An Investigative Report on Rakugo in the JFL(Japanese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native language : Through a rakugo performance in China : 「中国語落語の会」でみんな笑っチャイナ 福重一成 p.65-75

日韓のテレビ·ドラマに用いられた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 = The Positive Politeness in Japanese and Korean TV Dramas 元智恩 p.95-111

結果を表す「受動動詞+テアル」構文の出現様相の分析 = Analysis of appearance patterns of passive verb+tearu that indicates the meaning of the resultant 裵銀貞 p.7-26

という空間(トポス)"> 芥川龍之介「玄鶴山房」論 = A Study of Ryunosuke Akutagawa's Genkaku Sanbo : Space (Topos) called "Hanare" : <離れ>という空間(トポス) 早澤正人 p.129-142

도시괴담 소설의 배경과 변용 = The transformation and the setting of an urban myth story : based on the analysis of Akutagawa Ryunosuke's 'Yoba', 'Ageunisin'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요파」와「아그니 신」을 중심으로 조성미 p.143-163

동북아 해역의 서적 유통 연구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Books in the Northeast Asian Sea Area : Focusing on Busan Local Newspapers and Book Advertisement in the 1920s : 1920년대 부산 지역신문과 서적 광고를 중심으로 임상민 p.183-202

미군정기 재일조선인 발행 신문의 사설 고찰 = Explorations into Zainichi Koreans-published Newspaper Editorials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ance of Japan : 『民主新聞』·『朝連中央時報』·『文敎新聞』을 중심으로 이행화, 이경규 p.203-218

상대시간명사 +「にも」의 의미기능과 문의 제약 = The meaning and the sentence restriction of "relative time noun+nimo" 이정옥 p.27-39

일본 근대의 '중간소설' 연구 = A Study on Japanese Modern 'Middlebrow fiction' : Focus on the Yasunari Kawabata's work :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순희 p.113-127

일본지진을 통해 바라본 혐한(Anti-Korea(n) Sentiment)과 혐오 발언(Hate Speech)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Hate Speech and the Anti-Korea(n) Sentiment through the Japan's Earthquake : Focusing on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 관동대지진과 동일본대지진을 중심으로 노윤선 p.237-250

한국 생명보험시장의 형성과 전개 =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life insurance market in the Korea : Sociocultural Perspective : 사회문화적 관점 이윤호 p.301-319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한자어 친밀도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Familiarity of Chinese Character by Korean Learners of Japanese 조남성 p.41-64

한일 양국 여학생들의 학교폭력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ypes of School girl Violence in Korean and Japanese Schools : 기사의 내용분석에서 이진아, 안병곤 p.251-277

후지와라 데이 연구의 문제점 = Problems in Fujiwara's research : From a bibliographic point of view : 서지학적 측면에서 박상현, 미네자키 토모코 p.165-182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기도교육청(2016)「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보고서」http://www.goe.go.kr/ 미소장
2 교육부(2016)「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http://if-blog.tistory.com/ 미소장
3 교육부(2015)「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http://if-blog.tistory.com/ 미소장
4 교육부(2014)「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http://if-blog.tistory.com/ 미소장
5 부산교육청(2015)「학교폭력실태조사 보도자료」http://www.pen.go.kr/ 미소장
6 부산경찰청(2017)「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http://www.bspolice.go.kr/ 미소장
7 열린의사회(2014). 상다미쌤 http://www.opendrs.or.kr/ 미소장
8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12)「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요약 보고서」http://blog.naver.com/ 미소장
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1)「한국의 청소년 게임중독보고서」http://www.nypi.re.kr/ 미소장
10 石川県教育センター(2015)「いじめに繋がる言葉の地図」、pp.11-27 미소장
11 小針誠(2010)「学校裏サイトにおける『ネットいじめ』の構造と対策」深谷昌志、深谷和子、高旗正人編『ユビキタス社会の中での子どもの成長』ケータイ時代を生きる子どもたち 미소장
12 警察庁(2013)「平成25年上半期の出会い系サイト等に起因する事犯の現状に対策について」www.npa.go.jp/ 미소장
13 警察庁(2014)「いじめに起因する事件の検挙補導」www8.cao.go.jp/ 미소장
14 高石浩一(1988)「少年期の対人関係の問題について: 特に「いじめ」との関連から」『京都大学教育学部紀要』34、pp.221-230 미소장
15 菅野純(1996)「いじめ: 子どもの心に近づく」『月刊生徒指導』26(19)、pp.24-29 미소장
16 少年教育振興機構(2016)「日本の小学生スマホン保有率」www.garbagenews.net 미소장
17 総務省(2009)「平成20年通信利用動向調査報告書 世帯編」 미소장
18 総務省(2011)『情報通信白書』「第2節共生型ネット社会の実現に向かって」、pp.84-88 미소장
19 竹内和雄(2014)「心とからだの健康: 子どもの生きる力を育む」ci.nii.ac.jpスマホ時代のいじめの実態と対策: 子どものSOSが聴こえる養護教諭であるために(特集 じめの実態把握と防止対策) 미소장
20 内閣府(2007)「第5回情報化社会と青少年に関する意識調査報告書」 미소장
21 内閣府(2011)「青少年のインターネット利用環境実態調査」 미소장
22 内閣府(2016)「若者たちのインターネット利用環境実態調査」http://www8.cao.go.jp/ 미소장
23 中井良・田代千晶・永岡慶三(2012)「教科情報モラルジレンマ教材を用いたオンラインディスカッションと対話型授業の実践」『日本教育工学会研究報告集』1、pp.23-30 미소장
24 文部科学省(2008)「ネット上のいじめ」に関する対応マニュアル・事例集(学校・教員向け)」http://www.mext.go.jp/ 미소장
25 文部科学省(2014)「いじめ問題に対する事例集」http://www.mext.go.jp/ 미소장
26 文部科学省(2014)「平成25年度児童生徒の問題行動等生徒指導上の問題に関する調査」http://www.mext.go.jp/ 미소장
27 文部科学省(2015)「平成26年度児童生徒の問題行動等生徒指導上の問題に関する調査」http://www.mext.go.jp/ 미소장
28 文部科学省(2016)「平成27年度児童生徒の問題行動等生徒指導上の問題に関する調査」http://www.mext.go.jp/ 미소장
29 Erdur-Baker(2010)「온라인 괴롭힘과 일반 괴롭힘의 빈도차이를 비교한 연구」、pp.10-29 미소장
30 GSMA・MSRI(2009)「세계청소년 이동통신 이용형태 조사」http://news.inews24.com/ 미소장
31 KISA(한국인터넷진흥원)(2014)「인터넷윤리문화실태조사보고서」http://blog.naver.com/ 미소장
32 MMD研究所(2007)「스마트폰의 이용실태조사」mmdlabo.jp/investiga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