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 Relations of Self-esteem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정원 ; 전선옥 1
[요약] 1
I. 서론 1
II. 연구방법 4
1. 연구대상 4
2. 연구도구 4
3. 자료처리 4
III. 연구결과 5
1.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의 전반적 양상 5
2.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의 전반적 양상 6
3.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 7
IV. 논의 및 결론 8
참고문헌 11
Abstract 1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Relation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ork Burden to Their Self-Concept and Teacher-Efficacy | 소장 |
2 | 강종구(1986). 자아개념, 진로의식성숙 및 학업성취도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3 |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on Creativity and Their Teaching Efficacy | 소장 |
4 | 구은미(2004).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5 | 국립국어원(2014).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에서 2018년 4월 1일 인출. | 미소장 |
6 |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Childcare Teacher's Life Satisfaction | 소장 |
7 | 김경란(2006).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8 | 김경선(2016).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9 | 김계영(1998). 교사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10 | 김미숙(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이후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11 | 김은화(2004). 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정은(2010).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13 | 김진영(2013).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직인·적성과의 관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4 | 김혜경(2012).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15 | (The)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and Teacher Sensitivity on Their Teacher Efficacy | 소장 |
16 |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and Teacher`s Efficacy | 소장 |
17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ptitude and Personality for Teacher and Core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소장 |
18 | 박상돈(2010). 교인들의 자아존중감이 책임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목회상담적 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19 | Relationships among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Self-Esteem, and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소장 |
20 |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 Aptitude and Sense of Happiness | 소장 |
21 | The Effect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ptitude on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 소장 |
22 |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23 | 박희영(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직선택 동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24 | The Relations among Job Satisfactions, Teaching Efficacy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 소장 |
25 | 변지혜(2013).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교직적성의 관계.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26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 소장 |
27 | The Effects of the Workpla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ccording to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 소장 |
28 |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장 |
29 | Relation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to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Ability | 소장 |
30 | 이경미(2012).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31 |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교사 민감성 분석 | 소장 |
32 | A Study of Educare Center`s Teachers on Perception of Their Role | 소장 |
33 | 이윤주(2016). 교사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34 |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 소장 |
35 | 이지영(2008).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36 | 이지영(2012).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37 | 이지현(2013). 어린이집 교사의 가치관 및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38 |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 소장 |
39 | 임연진(2012). 예비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및 교육신념 간의 관계 [초록]. 한국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27 | 미소장 |
40 | 전재선(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41 | The Influence of Children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Belief | 소장 |
42 |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 소장 |
43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적성·인성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 | 소장 |
44 | 조주연(2003). 교직적성·인성검사도구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미소장 |
45 | The development of the test measuring aptitude for primary school teacher(TAPST) | 소장 |
46 | 조주연, 백순근, 임진영, 여태철, 최지은(2007). 초등교적성검사(TAPST). 타당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20(2), 161-182. | 미소장 |
47 | A relationship of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among infant teachers | 소장 |
48 | Infant-Child Care Teacher Interaction: Infant Development, Teachers' Sensitivity and Early Home Environment | 소장 |
49 | The Impact of Self-Esteem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 소장 |
50 | 한진원(2011).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51 |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 소장 |
52 |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2009). 아이의 사생활. 서울: 지식채널. | 미소장 |
53 | Exploring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
미소장 |
54 |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ir Collective Self-Esteem ![]() |
미소장 |
55 | Religiousness, Ra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ploring Social Psychological Mediators ![]() |
미소장 |
56 |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hallenge: Supporting Young Children and Families ![]() |
미소장 |
57 | Five goals for teacher leadership ![]() |
미소장 |
58 |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 미소장 |
59 | Exploring the Beliefs of Comme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tudents: Providing Insight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 |
미소장 |
60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for excellence’: teachers’ own perceptions ![]() |
미소장 |
61 | Investıgatıon and procedure accordıng to some varıables and attıtudes toward teachıng ![]() |
미소장 |
62 | Halliwell, S. (1993). Teacher creativity and teacher education. In D. Bridges & T. Kerry(Ed).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Reflections for initial and In-service trainers (pp 67-78).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63 |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 |
미소장 |
64 | Kumar, S. S., & Mohana, D. (2014). An investigation into self-esteem and adjustment of B.E.D. teacher traine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al Research, 3(3), 28-32. | 미소장 |
65 | Enacting Teacher Leadership: The Role of Teachers in Bringing about Change ![]() |
미소장 |
66 | A Collective Self-Esteem Scale: Self-Evaluation of One's Social Identity ![]() |
미소장 |
67 | An Alternative to Self-Esteem: Fostering Self-Compassion in Youth ![]() |
미소장 |
68 | Assessing Preservice Teachers' Dispositions: A Critical Dimension of Professional Preparation ![]() |
미소장 |
69 |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Beliefs ![]() |
미소장 |
70 | Primary-Grad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Discipline and Teaching Practice Priorities in Relation to the "Responsive Classroom" Approach ![]() |
미소장 |
71 | Roseng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2 | Symposium Introduction: Stepping into Their Power: The Development of a Teacher Leadership Stance ![]() |
미소장 |
73 | A Study on Differential Aptitude and Teaching Competency of Student Teachers in Kancheepuram District ![]() |
미소장 |
74 | Influence of Personality and Self-Esteem on Teachers' Proness to Burnout Syndrome in Lagos Metropolis ![]() |
미소장 |
75 | Influence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a sample of Chinese teachers ![]() |
미소장 |
76 |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andicapping Tendencies, Self-Esteem and Cognitive Distortion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