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 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library specialization and the perception and opinions on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 total of 69 director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main result was that while there are difficulties in terms of manpower and budget in providing the specialization services, they have been fully aware of the need and value of the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s and were willing to maintain and develop the servi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placement of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t the public libraries are essential. The qualification for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was said to be higher than a master's degree and 4 to 7 years or longer of relevant work experience and must be managed as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discussions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comprised of the training system for specialized librarian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theme related organization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among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