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 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library specialization and the perception and opinions on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 total of 69 director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main result was that while there are difficulties in terms of manpower and budget in providing the specialization services, they have been fully aware of the need and value of the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s and were willing to maintain and develop the servi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placement of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t the public libraries are essential. The qualification for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was said to be higher than a master's degree and 4 to 7 years or longer of relevant work experience and must be managed as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discussions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comprised of the training system for specialized librarian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theme related organization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among oth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 사서의 핵심업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brarian's key tasks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박태연, 한희정, 오효정, 양동민 p.327-356

BIBFRAME 구축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Analyzing BIBFRAME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BIBFRAME Application Plans in Korea 이미화 p.59-78

FRBR 기반의 OPAC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AC Prototype based on FRBR Model 이은주 p.221-244

Producing Top LIS Journal Paper List Based on the Yearly Citation Growth Rate = 연간 인용 횟수 증가율에 기반한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목록의 순위화에 관한 연구 Eungi Kim p.245-266

癸未字本『四時纂要』의 書誌的 硏究 = An Bibliographic Analysis on the Gyemi Metal Type Sasichanyo 남권희 p.25-58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정책적 과제 =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y in Seoul 윤희윤 p.1-23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에 따른 독서유효성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by Collaborative Reading Practice of Teenagers 김명희, 조현양 p.79-104

독서치료 변인에 비추어 본 독서치료 연구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 A Study on the Problem and on the Development Plan of Bibliotherapy based on the Factors that Affect Bibliotherapy : Focusing on the Bibliotherapy of Aimed at Improving Self Esteem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연구를 중심으로 최영임 p.201-220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운영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University Librarie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National Universities in Busan/Gyeongnam area : 부산·경남지역 국립대를 중심으로 강은영, 장덕현 p.105-129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공공도서관 규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in Korea : Focusing on Japanese Hongdohoe Library : 일본홍도회도서실을 중심으로 김영석, 이용재 p.131-150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박주현 p.267-300

주민자치와의 협력을 통한 한국형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 Strategies for Improving Communities of Practice in Korea by Cooperating with Residents Autonomy 박성우 p.301-326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방향에 대한 도서관 관장의 인식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Library Director's Perception on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Service 노영희, 오의경 p.151-178

빅데이터 로그 기반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 분석 = An Analysis of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Bigdata Logs :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김태영, 백지연, 오효정 p.357-388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도서관과 정보생활』교과의 Ⅰ·Ⅱ 영역을 중심으로 강봉숙 p.179-199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Comparative Study on a General Culture concern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hip 소장
2 A Study on the Assignment of the Subject Bibliography Course for the Education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소장
3 김세훈. 2004. 도서관 전문성 강화방안: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미소장
4 노영희. 2017.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과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241-271. 미소장
5 Study on How to Introduce Subject-Oriented Service to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Their Size in Korea 소장
6 An Analysis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 소장
7 A study on vitalization methods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ies 소장
8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소장
9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for Young Adult : In the Cases of U. S. Public Libraries 소장
10 박현주. 2012. 공공도서관 장서특성화 사례 연구: 인천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년도 동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47. 미소장
11 반달림, 오동근. 2015.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자료운영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년 2015 년도 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1-181. 미소장
12 Curriculum Development of Training Librarians for Subject Liaison Service 소장
13 송갑순. 2004. 부산광역시립공공도서관 특성화사업에 대한 연구: 교육청 소관 11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미소장
14 Strategies for Improving 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소장
15 이수영. 2017.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서비스 품질분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정보서비스전공. 미소장
16 Introducing the 'Subject librarian system' into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in their present developmental stage 소장
17 Study on the role model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academic libraries 소장
18 차연호. 2005. 『공공도서관 서비스 특성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미소장
19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소장
20 홍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 6개 지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 미소장
21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소장
22 Subject specialization in British university libraries: a second survey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