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기초학문자료센터가 인문자산 원스톱(One-Stop) 포털 서비스 구축에 있어 효과적인 데이터연계 방향성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자산을 보유한 국내 기관에 대한 현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대상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인문자산의 주제에 대하여 기존 분류체계 검토를 기반으로 인문자산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둘째, 조사 대상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주제와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인문자산으로 편입될 수 있는 잠재적 데이터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셋째, 인문자산 원스톱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유사사례 기관의 플랫폼을 분석하였으며, 유사성을 중심으로 원스톱 시스템 구축 시, 적용 가능한 메타필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direction of data linkage for building the humanities assets one-stop portal servic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ctual status of the domestic institution with humanities assets, and presented the linkage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data held by the target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proposed a classification system of humanities assets based on the reviewing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on the subject of humanities assets. Second, we set up the categories of potential data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humanities assets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subject and type of data held by the subject institutions. Third, we analyzed the platforms of similar case organizations providing one-stop portal services for humanities assets and proposed the applicable meta fields when constructing one-stop system based on similar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연구데이터 관리서비스의 구현 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Key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김성훈, 오삼균 p.141-165

인문자산 원스톱포털서비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연계 방향성 제안 연구 = A Study on the Proposal of Direction of Data Linkage for Building a One-Stop Portal Service for Humanities Assets 노영희, 오의경, 정대근 p.7-36

기계학습에 기초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Automatic Classification of Domestic Journal articles Based on Machine Learning 김판준 p.37-62

토픽모델링과 딥 러닝을 활용한 생의학 문헌 자동 분류 기법 연구 = A Study of Research on Methods of Automated Biomedical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Topic Modeling and Deep Learning 육지희, 송민 p.63-88
이슈 생존 주기 모형 기반 재난 아카이브 수집 방안 = Acquisition Methods for Disaster Archives Based on the Issue Life Cycle Model 유호선, 오효정 p.115-139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전문성 추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n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 교수-학생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이수영, 남재우 p.167-186
국회도서관 지방의회 정보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The Local Assembly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배경재, 서유진 p.187-213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 및 연구 동향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 Time Series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and Research Trend Chang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2003 to 2017 :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최형욱, 최예진, 남소연 p.89-114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2017). 인문학 진흥 5개년 기본계획(2017∼2021). 세종: 교육부. 미소장
2 국가법령정보센터 (2016.2.3).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에 관한 법률(법률 제13940호).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826&efYd=20160804#0000 미소장
3 네이버 어학사전 (2017, September). 자산. Retrieved from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169840 미소장
4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Collection and Use of Research Data in the Humanities 소장
5 이언주 (2016). 인문학을 활용한 도덕과 교육 개선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과. 미소장
6 이재완, 박은형 (2017). 원스톱 서비스의 고객만족도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4), 215-239. 미소장
7 한국문학평론가협회 (2006).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미소장
8 Evaluation of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in primary care using direct observation of the 5As. 네이버 미소장
9 Choi, E. J. (2001).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health education materials in community setting. Seoul.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미소장
10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is it really effective? 네이버 미소장
11 Federal Benchmarking Consortium (1997, November). Serving the american public: Best practices in one-stop customer service. Retrieved from https://govinfo.library.unt.edu/npr/library/papers/benchmrk/onestp.html 미소장
12 Kotler, P. (1982) Marketing for nonprofit organizations. NJ: Prentice-Hall. 미소장
13 Rathmell, J. M. (1976). What is meant by service?. Journal of Marketing, 30(4), 32-36. 미소장
14 공공데이터포털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s://www.data.go.kr/ 미소장
15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미소장
16 국가정책연구포털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s://nkis.re.kr/ 미소장
17 국립국어원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www.korean.go.kr/ 미소장
18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portal.nrich.go.kr/ 미소장
19 국립중앙도서관 고전적종합목록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s://nl.go.kr/ 미소장
20 국립중앙도서관 근대문학종합목록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literature.nl.go.kr/ 미소장
21 기초학문자료센터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www.krm.or.kr/ 미소장
2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s://www.much.go.kr/ 미소장
23 인문한국지원사업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hk.nrf.re.kr/ 미소장
24 한국고전종합DB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s://www.itkc.or.kr/ 미소장
2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s://www.keris.or.kr/ 미소장
26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s://search.i815.or.kr/ 미소장
27 한국문학번역원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s://www.ltikorea.or.kr/ 미소장
28 한국사 정보사이트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www.histopia.net/ 미소장
29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www.kossda.or.kr/ 미소장
30 한국역사문화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www.excavation.co.kr/ 미소장
3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www.koreanhistory.or.kr/ 미소장
32 한국연구재단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www.nrf.re.kr/ 미소장
33 한국콘텐츠진흥원 컬쳐링 (2017, October). Retrieved from http://www.culturing.kr/ 미소장
34 한국표준협회 한국서비스품질지수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ks-sqi.ksa.or.kr/ks-sqi/3334/subview.do 미소장
35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s://www.kci.go.kr/ 미소장
3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종합정보서비스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rinks.aks.ac.kr 미소장
37 한국학진흥사업단 성과 포털 (2017, November). Retrieved from http://waks.aks.ac.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