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크리에이터에게 이용자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인터넷 개인방송 창작자에 관한 에스노그래피 = Digital Ethnography : Korean Youtubers' interaction with viewers / 김해원, 강혜원, 백지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방송문화진흥회, 2018.06.01
수록지명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제19권 제2호 (2018년 6월), p.49-9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8186249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크리에이터에게 이용자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Digital Ethnography : Korean Youtubers' interaction with viewers : 인터넷 개인방송 창작자에 관한 에스노그래피 / 김해원 ; 강혜원 ; 백지연 1

[요약] 1

1. 문제제기 2

2. 선행 연구와 주요 개념 고찰 5

1) 인터넷 개인방송에 관한 선행 연구 5

2) 미디어 환경 변화와 '상호작용' 개념 9

3) 미디어 어포던스와 상호작용 구현 11

3. 연구방법과 연구문제 초점화 14

4. 참여관찰 결과 18

1) '즉흥방송'으로 상호작용 유지하기: 이용자와 '소통'의 마지노선 18

2) 콘텐츠 밀도와 소통 밀도 사이에서의 줄타기 24

3) 플랫폼 어포던스와 자율성 사이의 줄타기 32

5. 논의 및 결론 34

참고문헌 38

Abstract 4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페이스북상에서의 방사능 오염 관련 정보 노출이 위험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n Analysis on Effect of Information Exposure about Radioactive Damage on Perception of Risk in Facebook : The Focusing on Perceived Network Structure : 본인의 페이스북 네트워크 속성 인식의 상호작용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박진우, 황태연 p.123-164 원문보기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방송 자유의 성격과 주체, 구현 방안에 대한 법원의 인식 분석 = How Freedom of Broadcasting Can Be Implemented : Focusing on MBC Precedent analysis : MBC 파업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정영주 p.5-48 원문보기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크리에이터에게 이용자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Digital Ethnography : Korean Youtubers' interaction with viewers : 인터넷 개인방송 창작자에 관한 에스노그래피 김해원, 강혜원, 백지연 p.49-90 원문보기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제19대 대통령선거 TV토론의 수용자 반응 연구 = The Analysis of Audience Reaction to Televised 19th Presidential Debates using Social Big-data : Focusing on Related Keywords and Emotion Words : 연관어 분석과 감정어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범, 김용준, 이선정 p.91-121 원문보기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TV광고 노출량과 빈도분포를 활용한 광고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예측 = Forecasting Advertising Communication Effects Using TV Advertising Exposure Data : Case Study of Beer Brands in Korea : 맥주 브랜드 사례 연구 박현수, 박서정, 임정일 p.165-197 원문보기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5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Investigation on the Business Model of Multi-Channel Network of Online Platform 소장
2 김애라(2016). 디지털 노동의 성별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 사회』, 24권 4호, 98~145. 미소장
3 김영은(2016.3.1). 별풍선보다 좋은 건, 익명의 소통과 자아 발견. 『미디어오늘』, URL: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8389#csidx833f5de2a8f0c1d9fbf6e496e508c4a 미소장
4 김영천(2011). 『질적연구방법론 I: Bricoleur(제2판)』.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미소장
5 김해원(2015). SNS 거주민의 일상과 네트워크 실천: 페이스북 ‘쓰기’ 활동과 ‘관계’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소장
7 문영은·심지수·박동숙(2017). 내가 좋아하는 먹방 BJ는요……. 『언론과 사회』, 25권 2호, 58~101. 미소장
8 박기영(2016.4.1). 별풍선이 욕망을 구원할 수 있을까. 『한겨레신문』, URL: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737906.html 미소장
9 박동숙·전경란(2002). 디지털시대의 이야기하기. 『방송통신연구』, 37~64. 미소장
10 박지현(2016.8.13.). 디바제시카 선생님이 좀 섹시하면 어때. 『여성조선』, URL: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6072901821#Red yho 미소장
11 박진선(2018). 온라인 개인 영상 창작자의 생산 문화와 창의 노동.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박진선·지혜민·이헌율(2018). 새로운 콘텐츠 수용 과정에 나타난 참여와 노동에 대한관찰. 『한국방송학보』, 30권 5호, 117~156 미소장
13 송민정(2016). 글로벌 5대 MCN 미디어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 연구. 『방송통신연구』, 96권, 38~67. 미소장
14 진행자-청취자 직접 상호작용에 의해 제작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특성 연구 소장
15 Characteristics of the Viewing Community in Personal Web-Casting 소장
16 윤영석·이현우(2016).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3권 4호, 56~63. 미소장
17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 섀넌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소장
18 이동후·이설희·홍남희(2016). 『스마트 미디어 시대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 체계 정비』.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9 인터넷 개인방송 BJ의 노동 과정에 대한 탐색 소장
20 이민재·이진규·박성준(2012). Research in Progress Web 2.0 환경에서 지속적인 콘텐츠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freeca TV의 개인방송국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2012년 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1288~1294쪽). 미소장
21 The Strategy for MCN business of MCNs and the Existing Media Companies : Focused on the Resource Based View(RBV) 소장
22 주용진(2004). 생산자로서 드라마 수용자와 수용자로서 드라마 생산자: 『옥탑방 고양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최유리(2014.10.30). 판도라TV “유튜브 시대 끝났다… 1인 동영상 앱으로 패권 잡을 것”. 『한국경제』, URL: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41030article/201410307739g?nv=o 미소장
24 Watching TV While Chatting Online : The Concept Explication of ‘Social Viewing’ 소장
25 최윤정(2015). 예능 프로그램 수용 방식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27(2), 7~37. 미소장
26 최진응(2016.7.1). 인터넷 개인방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슈와 논점』, 1187호. 미소장
27 최현우(2016). 『국내외 MCN산업 동향 및 기업 실태 조사 보고서』. 한국전파진흥협회. 미소장
28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소장
29 홍하나(2017.3.2). 카카오TV, 아프리카TV, 트위치TV, 유튜브… ‘별풍선’ 후원금 수수료가장 적은 곳은?. URL: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 no=104132 미소장
30 Brosius, H.-B.(1995): Alltagsrationalität in der Nachrichtenrezeption: ein Modell zur Wahrnehmung und Verarbeitung von Nachrichteninhalten. Westdeutscher Verlag. Opladen. 미소장
31 Bründl, S. & Hess, T.(2016). Why do Users Broadcast? Examining Individual Motives and Social Capital on Social Live Streaming Platforms. in proceeding PACIS 2016(pp. 332~348). 미소장
32 Christians, C. G. & Carey, J. W.(1989). The logic and aims of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methods in mass communication, 354~374. 미소장
33 The audience in the text: ethnographic observations of a Hollywood story conference 네이버 미소장
34 Evans, S. K., Pearce, K. E., Vitak, J. & Treem, J. W.(2016). Explicating affordances: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ffordances in communication research.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2(1), 35~52. 미소장
35 Parasocial Intera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Model for Future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36 Hamilton, W. A., Garretson, O. & Kerne, A.(2014). Streaming on twitch: fostering participatory communities of play within live mixed media. Proceedings of the 32nd annual 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 1315~1324. 미소장
37 Head, S. W.(1993). A Framework for Programming Stragies. in Susan T. Eastman(ed.). Broadcasing cable programming (4th ed). CA: Wadworth Publishing. 미소장
38 Jackel, J.(1992). U.S. Patent No. 5,146,811. Washington, DC: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미소장
39 Jenkins, H.(2006). Fans, bloggers, and gamers: Exploring participatory culture . 정현진 역(2008). 『팬, 블로거, 게이머: 참여문화에 대한 탐색』. 서울: 비즈앤비즈. 미소장
40 The institutionalization of YouTube: From user-generated content to professionally generated content 네이버 미소장
41 Krappmann, L.(1989). Family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in middle childhood: An exploratory study of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ren’s integration into the social network of peers and family development. in K. Kreppner & R. Lerner(eds.), Family systems and life-span development (pp. 93~104).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42 Lincoln, Y. S. & Guba, E. G.(1990). Judging the quality of case study reports. Internation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3(1), 53~59. 미소장
43 McLuhan, M.(200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Marshall McLuhan. TPB. 김상호 역(2011).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44 McQuail, D.(1994). Mass communication. John Wiley & Sons. 미소장
45 Proulx, M. & Shepatin, S.(2012). Social TV: how marketers can reach and engage audiences by connecting television to the web, social media, and mobile . John Wiley & Sons. 미소장
46 Loyalty to computer terminals: is it anthropomorphism or consistency? 네이버 미소장
47 Sundar, S. S., Jia, H., Waddell, T. F. & Huang, Y.(2015). Toward a theory of interactive media effects (TIME). in S. Shyam Sundar(ed.), The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communication technology (pp. 47~86). Oxford: John Wiley & Sons. 미소장
48 Zimmerman, E.(2004). Narrative, interactivity, play, and games: Four naughty concepts in need of discipline. in N. Wardrip-Fruin & P. Harrigan(eds.), First person: New media as story, performance, and game (pp. 154~164). Cambridge: The MIT Press. 미소장
49 Vorderer, P.(1995). Will das Publikum neue Medien(angebote)?: Medienpsychologische Thesen über die Motivation zur Nutzung neuer Medien. Rundfunk und Fernsehen, 43, pp. 494~505. 미소장
50 Der mediatisierte Lebenswandel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