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초등학생의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2 | A Study on Knowles" Thoughts of Adult Education | 소장 |
3 | 강용숙(2010).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존중감,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Comparative study of policy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for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cused on the Seattle Public Schools and Chuncheon Office of Education | 소장 |
5 | 교육부(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교육부 보도자료(2015.3.16.). | 미소장 |
6 | 권순영, 유형근(2007). 초등학생 학습기술 향상을 위한 학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연구, 8(2), 737-750. | 미소장 |
7 | 권정민(2006). 수학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과 해결 방안 모색.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An Analysis of Causes of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 소장 |
9 | 학령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주관성 | 소장 |
10 | 김미숙(2013). 부모교육 방법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Intern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Content Areas Based on TIMSS 2003 | 소장 |
12 | 김연수(2007).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김영지(1994). 어머니에 대한 아동의 애착과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 소장 |
15 | 김은희(2011).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지능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 learning attitude, math achievement and math attitude | 소장 |
17 | 김정미, 임희선, 허성호(2014). 한국판 부모 양육효능감 검사(K-PSOC) 및 배우자 양육 협력 검사 (K-PAI)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7(2), 1-21. | 미소장 |
18 | 김종덕(2001). 부모의 학습관여형태가 자녀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소장 |
20 | 남경인(2010).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노명숙(2009).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노진형(2005). 반성적 사고 중심의 모자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발달지체유아 모자에 대한 적용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Study of Parental Social Support and child Disciplinary Practices | 소장 |
24 | [Effects of active parenting today based on goal attainment theory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 소장 |
25 | 박기종(200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 분석 ![]() |
미소장 |
27 | 박미자(2004). 게임을 활용한 수학 학습이 아동의 학업성취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 수학과 수와 연산단원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박선화, 상경아(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3(4), 697-716. | 미소장 |
29 | Positiv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Concept, and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 소장 |
30 |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 소장 |
31 | 박준희(2009).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n Parental Efficacy Perceived by Parents who had Children Enrolled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소장 |
33 | 박지숙(2014).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Effects of Core Competency Support Program in Parenting Role on Sense of Competence in Parent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Parents of Adolescents | 소장 |
35 | The Effects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arent-Child Relational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 소장 |
36 | effect of emotion-coaching on improvement of mother`s supportive emotional reaction attitude | 소장 |
37 | 소수연, 김승윤, 유준호, 지수연(2013). 초기 청소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30(4), 425-453. | 미소장 |
38 | Parental beliefs and involvement in preschool children's academic education | 소장 |
39 | 신경민(2001). 게임을 통한 수학학습이 아동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신미숙(2015). 학부모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1 |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양난미, 이은경(2008).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0(2), 455-472. | 미소장 |
43 |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their child's an academic learning skills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 소장 |
44 |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 소장 |
45 | 이미림(2007).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요인에 관한 분석 : 중학교 1, 2, 3학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6 | A Study on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 소장 |
47 | 이양희(2012).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이양희, 김금미(2013).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학습지원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8(4), 549-565. | 미소장 |
49 | 이양희, 김금미(2013).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학령기 어머니-자녀의 학업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 소년학연구, 20(9), 149-174. | 미소장 |
50 | A Study on a Home Teaching Method to Prevent Slow Learner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소장 |
51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of state, teachers, and parents in terms of rights in the field of education | 소장 |
52 |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2003 | 소장 |
53 |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54 |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Parent’s Academic Support and Domain-specific Self-efficacy | 소장 |
55 | The Influence of Middle·High School Parent's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 Education on Child's Life Competency | 소장 |
56 |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Parental Expectation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athematics | 소장 |
57 | Validation of a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 소장 |
58 | 정태근(2000). 가정학습기술 훈련이 아동의 가정학습과제 수행, 자기 주도 활용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9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enting Self-Efficacy Scale for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 소장 |
60 | The Effect of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Parent Academic Involve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ment Goals as a Mediator | 소장 |
61 | 조혜정(2005). 수학불안 연구 논문에 관한 분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2 | 최종문(2015).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3 |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 소장 |
64 | The Relationship of Home Mathematics Activity and Mothers` Attitude about Mathematics | 소장 |
65 | A Study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 소장 |
66 | 아동의 수학적 성향, 수학불안,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67 | Mathematical Discourse in Shared Storybook Reading ![]() |
미소장 |
68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 미소장 |
69 | Baroody, A. (2000). Does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ree-to five year-olds really make sense? Young Children, 55(4), 61-67. | 미소장 |
70 | Mathematics in the Preschool ![]() |
미소장 |
71 | Coleman, P. K., & Karaker, K. H. (1998).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 Review, 18(1), 47-85. | 미소장 |
72 |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engage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 |
미소장 |
73 | Ferry, T. R., Fouad, N. A., & Smith, P. L. (2000). The role of family context in a social cognitive model for career-related choice behavior: A math and scienc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7(3), 348-364. | 미소장 |
74 | Ginnot, H. G. (2008). 부모와 아이 사이 [Between parent and child. New York: Three Rivers Press]. (신홍민 역). 서울: 양철북(원저발간일 2003년). | 미소장 |
75 |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s 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 |
미소장 |
76 |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8(2), 167-175. | 미소장 |
77 | NAEYC & NCTM (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s. Washington, DC: NAEYC. | 미소장 |
78 | Saxe, G., Guberman, S., & Gearhart, M. (1987). Social processes in early number development. Chicago, Ill. :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 미소장 |
79 | Parental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ading Skill: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 |
미소장 |
80 |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 |
미소장 |
81 | Trice, A. D., & Ogden, E. E. (1987). Correlates of mathematics anxiety in first-yea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Research Quarterly, 11(3), 2-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