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우성.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비교문학 72 (2017): 5-34. |
미소장 |
2 |
설현수. 「영화 <그녀>: 호아킨 피닉스x스칼렛 요한슨 인공지능의 사랑」. 위클리오늘 . 2017년 12월 9일 게재. 2018년 3월 9일 접속. |
미소장 |
3 |
이상형.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법과 정책연구 16.4 (2016): 283-303. |
미소장 |
4 |
이수안. 「사이보그와 몸의 물질성: 가상현실 속 체현의 양가적 개념들 –영화 <그녀 Her>에 대한 사이버페미니즘 관점의 분석을 중심으로」. 영미문학페미니즘 23.2 (2015): 119-45. |
미소장 |
5 |
이정화. 「21세기 할리우드 SF 영화에 반영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관계의 확장: Her(2013)을 중심으로」. 미국학논집 49.1 (2017): 125-45. |
미소장 |
6 |
천현득. 「인공지능에서 감정지능으로」. 철학 131 (2017): 217-43. |
미소장 |
7 |
Aibel, Matt. “From Provisioning to Reciprocity: Logging in to Spike Jonze’s her.” Psychoanalytic Psychology 34.3 (2017): 368-71. |
미소장 |
8 |
de la Durantaye, Leland. “How Do You Share Your Life with Someone?” Flash Art International 295 (2014): 64-69. |
미소장 |
9 |
Dickson, Ben. “What is Narrow, General and Supe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talks. 12 May, 2017. Web. 9 March, 2018. |
미소장 |
10 |
Flisfeder, Matthew & Clint Burnham. “Love and Sex in the Age of Capitalist Realism: On Spike Jonze’s her.” Cinema Journal 57.1 (2017): 25-45. |
미소장 |
11 |
Haidt, Jonathan.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 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ment.” Psychological Review 108.4 (2001): 814-34. |
미소장 |
12 |
Jollimore, Troy. “This Endless Space between the Words: The Limits of Love in Spike Jonze’s her.” Midwest Studies in Philosophy 39.1 (2015): 120-43. |
미소장 |
13 |
Jonze, Spike. her. Joaquin Phoenix, Amy Adams and Scarlett Johansson. HaEun Media. 2014. DVD. |
미소장 |
14 |
Margulies, Alfred. “Avatar of desire and the question of prese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97 (2016): 1697-708. |
미소장 |
15 |
Nussbaum, Martha. 감정의 격동 . 조형준 옮김. 서울: 새물결, 2015. |
미소장 |
16 |
Pizzaro, David. “Nothing More than Feelings? The Role of Emotions in Moral Judgement.”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iour 30.4 (2000): 355-76. |
미소장 |
17 |
Zaretsky, Eli. “From Psychoanalysis to Cybernetics.” American Imago 72.2 (2015): 197-210.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