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의 가정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가정배경을 구성하는 핵심 요인인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교육포부에 강력한 직접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모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관계도 원만했는데, 부모-자녀 관계는 교사-학생 관계 및 교우 관계는 물론 교육포부에 강력한 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가정배경은 교사-학생 관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반면 교우 관계는 가정배경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가구소득이 교우 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행사했고,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부모-자녀 관계도 교우 관계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교사-학생 관계는 교육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만, 교우 관계는 교육포부와 연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계층 간 교육포부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부모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교사-학생 관계를 적절히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크레덴셜리즘(Credentialism)과 교육-숙련 불일치 = Credentialism and education-skill mismatch 김안국, 이상호 p.1-26

가정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background,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at school, and educational aspirations 김향신, 심재휘, 김경근 p.27-55

혁신학교가 중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Analysis on Effect of Innovation School on Qu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Life : Focusing 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of Innovation School : 혁신학교의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박세진, 안영은 p.57-86

고교 중퇴자들의 학교 밖 학력주의 경험과 그 추구 = The experience and pursuit of out-of-school's credentialism among high school dropouts :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the higher education entrance proces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parents :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진학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종석 p.87-125

영어유치원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상급 학교 진학 계획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ance in English Kindergarten and Parents' Plan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Transition 변수용, 정희진, 안지빈 p.127-155

사회자본과 학업성취도 향상 = Social capital and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 The interrelated effects of families and schools : 가정과 학교의 상호작용효과 한세리, 김안나 p.157-182

참고문헌 (8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and School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 소장
2 소득, 포부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소장
3 교육성취에 대한 가족구성의 영향 소장
4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소장
5 Educational Gap in Korea and Determinant Factors 소장
6 김경근(2016).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교육학연구, 54(1), 229-257. 미소장
7 Determinants of children's educational transition in Korea 소장
8 Determinants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policy implications 소장
9 Effects of time perspective on educational aspirations: Causal relationships based on instrumental variables such as cultural capital and significant others 소장
10 The Effects of Teacher Expectation and its Change on Students`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11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Human Relations(Parents-Children Relations,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Peer Relations)as Soci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소장
12 A comparative analysis on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family type, score and upbringing style 소장
13 Parent-child social relation on college pla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소장
14 부모·친구·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소장
15 가구소득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16 김수혜, 황여정, 김경근(2010). 가정배경, 사회심리학적 매개요인들과 학업성취의 구조적관계. 한국교육학연구, 16(1), 153-182. 미소장
17 대학진학에 대한 가정배경의 누적적 매개 효과 분석 소장
18 Change and Inheritance 네이버 미소장
19 기회와 불평등 : 고등교육 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분석 소장
20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소장
21 백병부, 김정숙(2014). 학교 내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격차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2(1), 221-249. 미소장
22 교육포부 형성과 유형에 관한 질적연구 :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23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 achievement in South Korea: Focusing on differential effects by family background 소장
24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소장
25 Predictors of Career Aspirations for Adolescents from Low- and middle-Income Families 소장
26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ce: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a Guilty 소장
27 이재훈, 김경근(2007). 가족 및 학교 내 사회자본과 학업성취. 한국교육학연구, 13(2), 175-208. 미소장
28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관계 : 콜맨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소장
29 이종범, 정철영(2005). 중학생의 가족 관련 변인과 진로포부 및 진로의식 간의 관계분석.제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785-813. 10월 7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미소장
30 A path analysis of parent`s socioeconomic position Influenc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31 장기빈곤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32 Determinants of educational aspi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ffect of significant others 소장
33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dolescent's Self-Esteemand Strategies in Peer Conflict Situations on 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s among Korean Adolescents 소장
34 통계청(2018). KOSIS 통계표: 학생의 기대하는 교육수준 및 목적. http://kosis.kr/?orgId=101&tb|ID=DT_1SSED020R&vw_cd=MT_ZTITLE&list_id=101_D214&scrID=&seqNo=&|a에서2018.04.21. 인출. 미소장
35 한세리(2017).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미소장
36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at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varying relationships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소장
37 Determinant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general high school 소장
38 후기 청소년의 문화자본, 직업포부, 교육포부,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소장
39 Social capital and student learning: Empirical results from Latin American primary schools 네이버 미소장
40 Male African Americans, Single Parent Homes, and Educational Plans: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Policymakers 네이버 미소장
41 Baumrind. D.(1991). Effective parenting during the early adolescent transition. In P.A. Cowan and E.M. Hetherington(Eds.), Family transitions. Hillsdale, NJ: Erbaum. 미소장
42 Blau. P.M., and O.D. Duncan(1967).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미소장
43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lassical and Bootstrap Estimates of Variability 네이버 미소장
44 Teacher Support and the School Engagement of Latin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Risk of School Failure 네이버 미소장
45 Browne, M.W., and R. Cudeck(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A. Bollen and J.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Sage. 미소장
46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네이버 미소장
47 Social Class, Scholastic Aspi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48 Intergenerational Bonding in School: The Behavior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네이버 미소장
49 Development of the Probability Concept in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50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51 Cultural Capital, Gender, and School Success: The Role of Habitus 네이버 미소장
52 Parental Power Legitimation and Its Effect on the Adolescent 네이버 미소장
53 A primer on the use of modern missing-data methods in psychosomatic medicine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54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Growth Modeling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55 Sense of relatedness as a factor i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56 Peer Influences on Levels of Occupational and Educational Aspiration 네이버 미소장
57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네이버 미소장
58 Gaining Ground: Values and High School Success 네이버 미소장
59 Haveman, R., and B. Wolfe(1994). Succeeding generations: On the effects of investments in children.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미소장
60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Eighth-Grade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61 Hopson, L.M., and E. Lee(2011). Mitigating the effect of family poverty on academic and behavioral outcomes: The role of school climate in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11), 2221-2229. 미소장
62 Hughes, M.(1997). Schools’ responsiveness to parents’ views at key stage one. In R. Glatter, P.A. Woods, and C. Bagley(eds.) Choice and diversity in schooling: Perspectives and prospects,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63 Karabel, J., and A.H. Halsey(1983). 교육과 사회구조: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제[Power and ideology in education]. (강순원 역). 서울: 한울. (원전은 1977에 출판) 미소장
64 Kline R.B.(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ew York:Guilford Press. 미소장
65 Lareau, A.(1987). School-class differences in family-school relationships: The importance of cultural capital. Sociology of Education, 60(2), 73-85. 미소장
66 Cultural capital in educational research: A critical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67 Little, R.J., and D.B. Rubin(2002).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2nd ed.). New York:Wiley. 미소장
68 Lockwood, C.M., and D.P. MacKinnon(1998). Bootstrapping the standard error of the mediated effect. Proceedings of the 23rd annual meeting of SAS users group International, 997-1002. 미소장
69 Ly, J., Q. Zhou, K. Chu, and S.H. Chen(2012).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nese American children i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0(4), 535-553. 미소장
70 Cumulative Disadvantage Among the Highly Ambitious 네이버 미소장
71 Social Cognition and Behavior Correlates of Preadolescent Chumship 네이버 미소장
72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Child,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네이버 미소장
73 Pallas, A.M., D.R. Entwisle, K.L. Alexander, and M.F. Stluka(1994). Ability-group effects:Instructional, social, or institutional? Sociology of Education, 67(1), 27-46. 미소장
74 Capital at Home and at School: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75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In L. Crothers and C. Lockhart(eds.) Culture and politics, 223-234. New York: Palgrave Macmillan. 미소장
76 Schoon, I., and S. Parsons(2002). Teenage aspirations for future careers and occupational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2), 262-288. 미소장
77 The Educational and Early Occupational Attainment Process 네이버 미소장
78 Socioeconomic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tic Review of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79 Interpersonal Influences on Educational Aspirations: A Cross-Cultural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80 Family Background, Educational Resources, and Educational Attainment 네이버 미소장
81 The Family and Educational Aspirations 네이버 미소장
82 Family Influences on Educational Expectations of Late Adolescent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