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병란 시세계에서 제1시집『문병란시집』의 위상 재고(再考) = A study on the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 : Focusing on criticism of existing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literary status : 『문병란시집』과『정당성』을 중심으로 김미미 p.7-27
전봉건의 전쟁참여시와 전후시의 특성 = The character of Jeon Bonggeon's participatory war poetry and postwar poetry 김사홍 p.28-53
4·19 혁명이 지속되는 방법, '사랑'이라는 통로 = 4.19 How the Revolution Continues, A Pathway of Love : Focusing on Choi In-hoon's [Guunmong] : 최인훈의「구운몽」을 중심으로 김영삼 p.54-81
박경리 전후 장편소설의 '사랑서사' 연구 = A Study on 'Narration of Love' in Park Kyung-Ri's Postwar Novels : Focused on Body's Metaphor & Cognitive Structure : 인지구성과 몸의 은유를 중심으로 김원희 p.82-109
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 SF = Posthumanist Criticism and Science Fiction : 미래 인간을 위한 문학과 비평 이론의 모색 노대원 p.110-133
김규동 초기시의 특성과 그 의미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early poems of Kim Gyu-dong 여태천 p.134-161
김지하의 시「타는 목마름으로」에 나타난 "쓴다"의 의미 = Meaning of "Writing" in Kim Ji-ha's "With a Burning Thirst" : Focused on the Literal Imagination of the Genre of Poetry : 시 장르의 문자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이강하 p.162-188

김기영의 영화 <육체의 약속>에 드러난 가부장제의 다층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multilayered meanings of patriachy shown in Kim Ki-Young's film <Promises> 조규찬 p.189-217
두 가지 층위로 나타난 하얼빈의 장소성 = The Placeness of Harbin Depicted in Dual Layers : Centering on Pak, Kyong-ni's 'Toji', or 'The Land' : 박경리의「토지」를 중심으로 조윤아 p.218-247
박범신의「유리」에 나타난 이야기하기의 의미효과 = Meaning Effect of Talk in Yuri of Park, Beom-sin 최영자 p.248-275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장원, 「한국의 베스트 SF작가 열전」, <사이언스타임즈>, 2012 연재.(www.sciencetimes.co.kr) 미소장
2 고장원,『SF란 무엇인가?』, 부크크, 2015. 미소장
3 Korean Child and Youth Science Fiction Literatures, and Scientific Imagination 네이버 미소장
4 김건우, 「포스트휴먼의 개념적, 규범학적 의의」, 한국포스트휴먼학회 ․ 포스트휴먼연구소 편,『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아카넷, 2016. 미소장
5 김보영 외,『SF 크로스 미래과학』, 우리학교, 2017. 미소장
6 김상훈, 「현대 SF의 진화 — 포스트고딕에서 슬립스트림으로」,『HAPPY SF』창간호, 행복한책읽기, 2004. 미소장
7 노대원, 「대체 역사 SF의 젠더 정치학 ― 복거일 소설『비명을 찾아서』의 비판적 독해」,『탈경계인문학 TRANS-HUMANITIES』23집,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7, 47~70쪽. 미소장
8 Narrative Characters and "Theory of Mind" -Character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소장
9 노대원, 「한국 문학의 포스트휴먼적 상상력 — 2000년대 이후 사이언스 픽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Comparative Korean Studies』23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333~360쪽. 미소장
10 마정미,『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미소장
11 A Road to the Posthuman: Toward the Coevolution of Human and Machine 소장
12 복거일,『벗어남으로서의 과학』, 문학과지성사, 2007. 미소장
13 The Star of Robots and Posthuman Imagination 네이버 미소장
14 포스트휴먼 시대의 포스트휴먼 담론들 :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소장
15 이수진,『사이언스픽션, 인간과 기술의 가능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미소장
16 임석원,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획: 배타적인 인간중심주의의 극복」, 이화인문과학원 편,『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미소장
17 정명훈·송지민·김민혜·김승수·강민석·김동영(제주과학고), 지도교사 양원, 지도교수 노대원, 「한국 과학소설의 진화비평적 연구 — 복거일의 「꿈꾸는 지놈의 노래」와 듀나의 「기생(寄生)」을 중심으로」,『고등학생이 바라본 학교, 지역사회, 제주인: 2016 인문 ․ 사회 과제연구(R&E) 학술논문집』,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미소장
18 게르트 레온하르트,『신이 되려는 기술: 위기의 휴머니티』, 전병근 역, 틔움, 2018. 미소장
19 도미니크 바뱅,『포스트휴먼과의 만남: Post-human 1세대를 위한 안내서』, 양영란역, 궁리, 2007. 미소장
20 마크 존슨,『몸의 의미: 인간 이해의 미학』, 김동환 · 최영호 역, 東文選, 2012. 미소장
21 슈테판 헤어브레히터,『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 김연순 ․ 김응준, 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미소장
22 에드워드 슬링거랜드,『과학과 인문학: 몸과 문화의 통합』, 김동환 ‧ 최영호 역, 지호, 2015. 미소장
23 조너선 갓셜,『스토리텔링 애니멀』, 노승영 역, 민음사, 2014. 미소장
24 캐서린 헤일스,『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허진 역, 플래닛, 2013. / N. Katherine Hayles, How we became posthuman: Virtual Bodies in Cybernetics, Literature, and Informa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미소장
25 테드 창, 「인류 과학의 진화」,『당신 인생의 이야기』, 김상훈 역, 행복한책읽기, 2004. 미소장
26 호세 코르데이로, 「인간의 경계: 휴머니즘에서 트랜스휴머니즘까지」,『제1회 세계인문학포럼 발표자료집』, 2011. 미소장
27 Bruce ClarkeㆍManuela Rossini (eds.), “PREFACE: Literature, Posthumanism, and the Posthuman,” The Cambridge Companion to Literature and the Posthum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미소장
28 Lisa Yaszek ‧ Jason W. Ellis, “Science Fiction,” Bruce Clarke ‧ Manuela Rossini (eds.), The Cambridge Companion to Literature and the Posthum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미소장
29 Manuela Rossini, “Science/fiction: Imagineering posthuman bodies,” Gender and Power in the New Europe, the 5th European Feminist Research Conference, August 2003, pp.1~13. 미소장
30 Rosi Braidotti, Maria Hlavajova (eds.), Posthuman Glossary, Bloomsbury, 2018. 미소장
31 Sherryl Vint, “Science Fiction and Posthumanism,” , May 2015. (http://criticalposthumanism.net/genealogy/science-fic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