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평화문화와 지속가능한 평화 : 한국에서의 의미와 과제 = A "Culture of Peace" for Sustainable Peace : Implications and Tasks in South Korea / 홍용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06.30
수록지명
문화와 정치 = Culture and politics. 제5권 제2호 (2018. 6), p.5-3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8198805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평화문화’ 개념의 내용, 한계와 성과 등을 분석하며, 평화문화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평화 문제를 살펴보고 평화문화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화문화는 평화 교육, 지속가능한 발전, 인권 존중, 양성평등 보장, 민주적 참여의 확대, 이해·관용·연대 촉진, 참여적 소통, 국제적 평화와 안보 증진 등을 통한 평화의 확산을 목표로 한다. 특히 평화문화 개념은 문화적 접근을 통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와 정체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냄으로써 평화를 인간의 일상에서부터 증진시키고자 한다.

우리사회에서는 분단이라는 특수성과 냉전문화의 영향으로 평화 문제에 대한 편협한 인식, 이분법적 사고방식과 대립 등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평화문화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우리사회에 대한 적실성이 있다. 첫째, 6.25전쟁의 아픔과 여기서 비롯되어 구조적 폭력의 기제로 작용하고 있는 냉전문화의 상처 치유; 둘째, 관용·이해·협력 같은 가치와 보다 조화로운 사회정체성 형성을 통한 배타적·이분법적 문화 개선; 셋째, 포괄적·문화적 접근을 통한 평화에 대한 우리사회의 편협한 시야 확대; 넷째,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해 평화적 남북관계를 만들어 가는 환경조성 등이 그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ncept of “culture of peace,” examine the problems of peace discourse in South Korea, and apply peace culture to Korea.

The culture of peace aims at promoting peace through fostering peace education, human right, democratic participation, the value of tolerance and solidarity, and international security. Particularly, the peace culture concept tries to build peace by inducing change in value and identity.

In Korea, a narrow perception on peace and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have been maintained because of the division and subsequent formation of the ‘culture of cold war.’ Accordingly, the features of peace culture have usefulness in solving the problems in Korea. First, the peace culture may help curing the pain from the culture of cold war which has been a cause of structural violence. Second, it will contribute to recovering exclusive relationships by encouraging the value of understanding and harmonious identity. Third,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peace will broaden narrow perspective on peace among the Koreans. Finally, the culture of peace will encourag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for peaceful inter-Korean relationship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평화문화와 지속가능한 평화 = A "Culture of Peace" for Sustainable Peace : Implications and Tasks in South Korea : 한국에서의 의미와 과제 홍용표 p.5-3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재현되는 공간으로서의 연변 = Yanbian as a Spatial Representation 임지현, 서정민 p.31-6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도시재생에서 나타난 문화접근법의 대안 = A New Cultural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 Making a Cultural Space for the Restoration of Citizenship : 시민성 회복으로서의 문화 공간 김새미 p.61-9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EU의 환대와 공생 개념의 변화에 따른 난민과 이민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 = A Paradigm Shift of Refugee and Immigra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Conceptual Change of Hospitality and Conviviality in EU : Focusing on Elections in Major European Countries : 유럽 주요 국가들의 선거를 중심으로 김종법 p.97-125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타자 출현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Exposure of Others 정병화 p.127-14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인간 존재와 열린 공동체 = Human Existence and Open Community : Roberto Esposito's Conception of Community : 로베르토 에스포지토의 사상을 중심으로 이문수 p.147-17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갑우. 2007.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서울: 후마니타스. 미소장
2 Peace Culture and the Movement in Civil Society to Establish the Korean Peace Regime 소장
3 김명섭. 2002. “평화학의 현황과 전망.” 하영선 편. 『21세기 평화학』. 서울. 풀빛. 미소장
4 김병로. 2017. 『다시 통일을 꿈꾸다: 한반도 미래전략과 ‘평화연합’ 구상』. 서울: 모시는 사람들. 미소장
5 문화일보 평화포럼 평화문화위원회. 2000. 『세계평화문화지수 2000』. 서울: 문화일보 평화포럼. 미소장
6 민병원. 2006. “탈냉전시대의 안보개념 확대: 코펜하겐 학파, 안보문제화, 그리고 국제정치이론.”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편. 『세계정치 5: 세계정치와 동아시아의 안보구상』. 고양: 인간사랑. 미소장
7 A New Vision of Jeju Island of World Peace:In Terms of the Spread of Peace Culture 소장
8 서보혁 ․ 정욱식. 2016. 『평화학과 평화운동』. 서울: 모시는 사람들. 미소장
9 서우석. 2011. “현제명의 삶과 한국 음악의 어제와 오늘.”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창회보』 제17호, 15-21. 미소장
10 세계평화포럼. 2001. 『세계평화지수』. 서울: 세계평화포럼. 미소장
11 세계평화포럼. 2009. 『세계평화지수』. 서울: 세계평화포럼. 미소장
12 세계평화포럼. 2015. 『세계평화지수』. 서울: 세계평화포럼. 미소장
13 Culture of Peace, Peace of Culture-Cul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ities for Peace- 소장
14 Human Security: Inventing, Transforming, and Proliferation of an International Norm 소장
15 전성훈 ․ 황병덕 ․ 조민 ․ 미즈모토 카즈미 ․ 서보혁. 2005. 『동북아 평화문화 형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16 전성훈. 2006. 『동북아 평화문화 형성을 위한 인지공동체 활성화 방안』. 서울: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미소장
17 National Security and Human Security 소장
18 조 민. 2000. 『한국사회 평화문화 형성방안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19 조영기. 2017. “ ‘6.25는 대리전’ 주장은 傱北의 뿌리.” 『문화일보』(10월 13일). 미소장
20 조한범 외. 2004. 『동북아 평화문화 비교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21 Peace and Peace Education 소장
22 통일교육원. 2017. 『통일문제 이해』. 서울: 통일교육원. 미소장
23 하영선. 2002. “근대 한국의 평화 개념의 도입사.” 하영선 편. 『21세기 평화학』. 서울: 풀빛. 미소장
24 The Broadening of the Security Concept in the Post-Cold War Era and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소장
25 홍용표. 2011. “통일한국을 위한 비전.” 최진욱 외. 『통일외교 과제와 전략』.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26 Galtung, Johan 저. 강종일 외 역. 2000.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서울: 들녘. 미소장
27 경향신문. 2017. “소설가 한강 NYT 기고문 두고 정치공세 벌이는 야당.” 『경향신문』(10월 13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0132131015(최종검색일: 2017/10/23). 미소장
28 오마이뉴스. 2017. “ ‘평화’ 외친 한강 기고마저 트집 잡는 <조선일보>.” 『오마이뉴스』(10월 11일).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66669(최종검색일: 2017/10/23). 미소장
29 인터넷 자료. “홍난파와 현제명, 그리고 봉선화와 선구자의 수난.” https://blog.naver.com/bbae46/80019667450(최종검색일: 2017/09/28). 미소장
30 조선일보. 2017. “한강의 뉴욕타임스 기고.” 『조선일보』(10월 10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09/2017100901714.html(최종검색일: 2017/10/16). 미소장
31 한겨레. 2010. “선구자, 대동아 공여에 바쳐진 친일노래.” 『한겨레』(8월 24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436502.html(최종검색일: 2017/10/12). 미소장
32 Toward a Global Movement for a Culture of Peace 네이버 미소장
33 Adams, David. 2003. “Early History of the Culture of Peace: A Personal Memoire.” http://www.culture-of-peace.info/history/introduction.html(최종검색일: 2018/04/24). 미소장
34 Culture of Peace: Sociostructural Dimensions, Cultural Values, and Emotional Climate 네이버 미소장
35 Addressing fear and injustice to create an East Asian culture of peace 소장
36 Boulding, Elise. 2000. Cultures of Peace: The Hidden Side of History. New York: Syracus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7 Boulding, Kenneth E. 1978. Stable Peace.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미소장
38 Buzan, Barry. 1991. People, States, & Fear: An Agenda for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in the Post-Cold War Era. Hemel Hempstead: Harvester Wheatsheaf. 미소장
39 Coleman, Peter T. 2012. “Conclusion: The Essence of Peace? Toward a Comprehensive and Parsimonious Model of Sustainable Peace.” Peter T. Coleman & Morton Deutsch eds. Psychological Components of Sustainable Peace. New York: Springer. 미소장
40 Culture of Peace. 1986. “Seville Statement on Violence.” http://www.culture-of-peace.info/vita/2011/seville2011.pdf(최종검색일: 2018/05/02). 미소장
41 Assessing the Basis for a Culture of Peace in Contemporary Societies 네이버 미소장
42 De Rivera, Joseph eds. 2009. Handbook on Building Culture of Peace. New York: Springer. 미소장
43 Dietrich, Wolfgang ed. 2011. The Palgrave International Handbook of Peace Studies: A Cultural Perspective.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미소장
44 Fry, Douglas P., and Marta Miklikowska. 2012. “Culture of Peace.” Peter T. Coleman and Morton Deutsch eds. Psychological Components of Sustainable Peace. New York: Springer. 미소장
45 Guetta, Silvia. 2003. “From peace education to culture of peace: context and issues.” Studi Sulla Formazione (1): 167-179. 미소장
46 Han, Kang. 2017. “While the U.S. Talks of War, South Korea Shudders.” New York Times, October 17. 미소장
47 Hard Issues, Core Values and Vertical Constraint: The Case of Nuclear Power 네이버 미소장
48 Building a Culture of Peace to Replace the Culture of War 네이버 미소장
49 Richerson, Peter J., and Robert Boyd. 2005. Not by Genes Alone: How Culture Transformed Human Evolu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50 Summy, Ralph. 2009. “The Paradigm Challenge of Political Science: Delegitimizing the Recourse to Violence.” Joseph de Rivera ed. Handbook on Building Culture of Peace. New York: Springer. 미소장
51 UN. 1999a. “Declaration on a Culture of Peace(A/RES/53/243A).” http://www.un-documents.net/a53r243a.htm(최종검색일: 2017/10/02). 미소장
52 UN. 1999b. “Programme of Action on a Culture of Peace(A/RES/53/243B).” http://www.un-documents.net/a53r243b.htm(최종검색일: 2017/10/02). 미소장
53 UNDP. 1994. Human Development Report 199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4 UNESCO. 1989. “Yamoussoukro Declaration on Peace in the Minds of Men.” http://www.unesco.org/education/pdf/YAMOU_E.PDF(최종검색일: 2017/10/02). 미소장
55 UNESCO. 1995. UNESCO and a Culture of Peace: Promoting a Global Movement. Paris: UNESCO. 미소장
56 UNESCO. 1996. From a Culture of Violence to a Culture of Peace. Paris: UNESCO. 미소장
57 Website of David Adams. “Global Movement for a Culture of Peace.” http://www.culture-of-peace.info(최종검색일: 2018/04/02).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