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의 상호문화적 수사 장르 분석 연구들은 문화의 역동적이고 복합적인 속성과 사회적 상황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두 언어의 수사적 차이점을 고려하여 전문가들이 한국어와 영어로 쓴 학술 논문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영어의 수사적 차이점을 고려하여 전문가가 한국어로 쓴 학술 논문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개발하고, 전문가가 한국어와 영어로 쓴 학술 논문에 수사 구조의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인터뷰와 이전 관련 연구들을 참고하여 전문가가 한국어로 쓴 학술 논문을 분석하기 위한 틀이 개발되었다. 또한 Swales의 무브 분석을 이용하여 전문가가 한국어와 영어로 쓴 학술 논문의 서론 각 100개가 분석되었다. 비교 결과, 두 그룹의 학술 논문의 수사 구조는 여러 가지 차이점과 상호문화적 측면들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전문가가 한국어로 쓴 학술 논문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틀을 제공함으로써 장르기반 쓰기 교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 intercultural rhetoric (IR) genre-based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xplain dynamic and hybrid nature of culture and social contexts. However, few IR genre-based studies have examined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considering their differences in rhetori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1)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alyzing Research Articles (RAs) written in Korean by experts considering different rhetorics between English and Korean; and (2) to identify what rhetorical moves occur in two groups of RAs written in English and Korean by experts, in terms of rhetorical structure from an IR perspective. A framework for analyzing RAs written in Korean was first developed with reference to interviews and previous research. Then, a comparison of the rhetorical structure of the two corpora was conducted through move analysis (Swales, 1981, 1990). Based on the findings, the overall rhetorical structure in the two corpora showed some differences with some intercultural aspec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by conducting a comparative genre analysis of English and Korean RA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교육의 시제와 상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of tense and aspe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김윤신 p.29-56

성인영어학습자의 발화오류분석을 통한 전치사 사용 연구 = An analysis of errors on prepositions based on online university students' spoken learner corpus 천승미 p.229-256

고등교육에서의 인도네시아어 교수법 = Metode Pengajaran Bahasa Indonesia di Perguruan Tinggi : Berdasarkan Perubahan Tipologis : 언어유형론적 변화를 중심으로 이주영 p.57-75

A Comparative Genre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Research Article Introduction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와 영어 학술 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Ji-Yoon Hong p.1-28

The Korean College Students' Use of Writing Strategies Based on Self-Regulation= 자기 규칙화를 근거로한 한국 대학생들의 글쓰기 전략 사용의 조사 Eun Hwa Park p.257-275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영어교육이 만 4세 아동의 영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 song and story-based and theme-centered integrated English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language ability of 4-year-old children 이상기, 박현민, 이창희 p.151-176

상호 질문 기법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에서 모둠 구성 유형이 학습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Learner Grouping Types on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s in the Primary English Class Employing Reciprocal Questioning Techniques 장정임, 노경희 p.123-150

Implicit Prosody in L2 English Acquisition = 제 2 외국어로서의 영어 습득 시 암묵운율 : 관계사절 구문해석에 관한 예비연구 : A Preliminary Study on Parsing a Relative Clause with a Complex Noun Phrase Minjung Son p.303-330

중국어문법 교육용 시청각 자료 활용 연구 =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in Chinese grammar teaching : focusing on the teaching of '把' sentence pattern : '把'구문 교육을 중심으로 엽은현, 이종오 p.277-301

한국어 교육학 연구 유형의 분류를 위한 제언 = Suggestions for classification of research types in TKSOL 김영규 p.77-96

초등 영어 쓰기 지도의 미래 방향 = Future Directions for English Writing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김태은 p.207-228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ism 성민창, 강정진, 김기택 p.177-206

어휘 군집 방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ifferent word clustering o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하봄이, 윤현숙 p.97-121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pedagogical value of intercultural rhetoric: A report from a Persian-as-a-foreign-language classroom 미소장
2 TESOL and Culture 네이버 미소장
3 Contrasting rhetorics/contrasting cultures: why contrastive rhetoric needs a better conceptualization of culture 미소장
4 Applied linguistics Review, Vol. 2, pp. 1 미소장
5 Text structure of Korean speakers' argumentative essays in English 네이버 미소장
6 New Directions in Contrastive Rhetoric 네이버 미소장
7 Intercultural rhetoric research: beyond texts 미소장
8 Patient-directed medicine labeling: Text differenc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pain 네이버 미소장
9 Text, Vol. 3, pp. 183 미소장
10 Language Learning, Vol. 16, pp. 1 미소장
11 Toward critical contrastive rhetoric 미소장
12 Journal of the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Vol. 17, pp. 23 미소장
13 한국어교육, Vol. 17, pp. 191 미소장
14 Contrastive Rhetoric, Contrastive Poetics, or Perhaps Something Else? 네이버 미소장
15 Rhetorical differences in RA introductions written by English L1 and L2 and Castilian Spanish L1 writers 미소장
16 The Rhetorical Construction of Multilingua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17 An approach to corpus-based discourse analysis: The move analysis as example 네이버 미소장
18 Toward a Model of Transcultura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