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근대문학 작가 중,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나 다자이 오사무(太宰治)는 소설 창작에 있어 고전을 소재로 활용한 작가로도 유명한데, 현대 작가 중에서는 고교쿠 나쓰히코(京極夏彦)와 유메마쿠라 바쿠(夢枕獏)가 고전을 잘 활용하는 작가로서 주목된다. 본고는 일본에서 음양사관련물의 붐을 일으킨 장본인 유메마쿠라 바쿠(夢枕獏)의 『음양사』시리즈 1권의 고전 활용방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작은 에피소드로 활용된 고전소재를 차지하고, 스토리 레벨에서 영향을 미친 경우를 살펴보면 전 6편의 단편 중, 3편이 특정한 한 고전작품의 영향이 강했고, 2개의 단편은 복수의 고전이나 역사적 사실에 기반해서 스토리가 짜여 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 활용의 측면뿐만이 아니라 유메마쿠라의 소설이 만화, 영화, 극예술 등 다른 매체와 결합되는 미디어믹스의 현상에 관해서는 차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이지(明治) 초기 우키요에(浮世絵)의 하이브리드적 변형 = 明治初期における浮世絵のハイブリッド的変形 : 新聞錦絵を中心に : 신문니시키에(新聞錦絵)를 중심으로 손정아 p.217-235

일본의 근대화 산업유산과 도시재생 = 日本の近代化産業遺産と都市再生 : 富岡製糸場絹産業遺産群を中心に : 도미오카 제사장과 실크산업 유산군을 중심으로 박삼헌 p.169-193

전쟁과 세대론 = 戦争と世代論 : 黒沢明の戦中と戦後 : 구로사와 아키라(黒澤明)의 전전과 전후 조정민 p.195-216

일본의 시쓰케(躾)를 명분으로 한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 = 日本における「躾」としての児童虐待の一考察 김경옥 p.237-256

일본근세기 지식인 모임과 지식의 형성 = 日本近世における知識人の会と知識の形成 : 兎園会と『兎園小説』を中心に : 토원회(兎園会)와 『토원소설(兎園小説)』을 중심으로 홍성준 p.71-88

시마자키 도손의 『어린이에게(幼きものに)』론 = 島崎藤村の『幼きものに』論 : 充実した親としての出発 : 충실한 부모로서의 출발 천선미 p.149-167

'군국소년'의 자살과 일본의 전후기억 = 「軍国少年」の自殺と日本の戦後記憶 최범순 p.127-147

'가라'(唐)와 '고마'(高麗) = 「唐」と「高麗」 : 『源氏物語』における東アジア文化認識 :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에 나타난 동아시아문화 인식 이미숙 p.3-26

『伊勢物語』の「女はらから」をめぐる一考察 = 이세모노가타리 「女はらから」에 관한 일고찰 宋貴英 p.89-106

『彼岸過迄』の「須永の話」から見た抑壓と逃避 = 『히간스기마데』의 「스나가의 이야기」에서 본 억압과 도피 : 스나가 이치조의 이성애 : 須永市蔵の異性愛 矢野尊義 p.107-125

『해도기(海道記)』의 미야코(都) = 『海道記』の都 이영경 p.27-48

夢枕獏の『陰陽師』の方法と素材としての古典 = 유메마쿠라 바쿠의 『음양사』의 방법과 소재로서의 고전 李市埈, 張庚男, 黃敏湖 p.49-70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夢枕獏(1991,2)『陰陽師』文春文庫、pp.1-333 미소장
2 夢枕獏(1998.11)『陰陽師 飛天ノ巻』文春文庫、pp.1-292 미소장
3 夢枕獏(2000.11)『陰陽師 付喪神ノ巻』文春文庫、pp.1-348 미소장
4 日本国語大辞典第二版編集委員会(2001)『日本国語大辞典 第二版②』小学館、p.190 미소장
5 稻田浩二·小沢俊夫(1989)『日本昔話通觀 1』同明舍、p.821 미소장
6 片桐 洋一外訳(1994)『新編日本古典文學 竹取物語 伊勢物語 大和物語 平中物語』小学館、p.403 미소장
7 小沢正夫/校注・訳(1994)『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古今和歌集』小学館、p.393. 미소장
8 石井正己(2017)「御伽草子に見る異類婚姻譚─文学研究と昔話研究の接点から─」『日本學硏究 51巻』檀國大學校 日本硏究所、pp.9-30 미소장
9 遠藤伸治(2002.12)「夢枕獏試論--消費される過剰な欲望」『近代文学試論(40)』, pp.191-202 미소장
10 大倉貴之(2016)「「陰陽師」メディアミックスの系譜」 『陰陽師のすべて』文春文庫、pp.226-234参照。 미소장
11 小野地健(2005)「八百比丘尼伝承の死生観」『人文研究』・神奈川大学人文学会誌、2005、pp.1-2 미소장
12 志村有弘(2001)『夢枕獏と安倍晴明』桜桃書房、p.213 미소장
13 構大樹(2015.3)「夢枕獏『上限の月を喰べる獅子』論 : <宮沢賢治>と排除のシステムからの脱却」『横浜国大国語研究 (33)』pp.1-18 미소장
14 宮田登(1986)「八百比丘尼」『日本架空伝承人名事典』平凡社、p.383 미소장
15 夢枕獏(2003)「言葉の引力が物語を生む」『『陰陽師』読本 平安の闇に、ようこそ』文春文庫、pp.14-15. 미소장
16 夢枕漠編(2003)『陰陽師・徹底解剖―陰陽夜話・安倍晴明の世界』朝日文庫、pp.1-245 미소장
17 夢枕漠編(2016)『『陰陽師』のすべて』文春文庫、pp.1-273 미소장
18 中山太郎(1930)『日本巫女史』大岡山書店、pp.1-743 미소장
19 The Consideration of "Onmyouji" by Yumemakura Baku : The Path from a Novel to a Film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