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법원도서관은 사법부를 대표하는 법률전문도서관으로서 국내·외 다양하고 유익한 법률정보를 수집하여 대국민서비스 확대 제공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18년 후반에는 고양시로 이전하여 일반 국민에게도 개방하고 대출서비스를 포함하여 법률특화분야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 및 고양시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이용자 및 법률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법원도서관의 장서구성, 공간구성, 장서배치를 포함한 법원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법률종사자 및 일반국민에 대한 국내외 법률 자료 제공역할을 높게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인들을 위한 장서구성에 대해서 전문가와 일반이용자간 인식차이가 있었으며, 선호하는 정보원의 유형에서 이용자 집단은 일반 주제도서 및 잡지류를, 전문가 집단은 법률관련 전문도서 및 판례/판결정보, 연구보고 등 주로 전문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원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된 도서관의 이용 의향은 이용자는 80%에 이르고 있어서, 도서관에서 제공할 서비스와 시설, 그리고 공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진다면 도서관은 매우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a law library representing the Department of Justice,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collects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legal information and aims to become more publicly accessible. In 2018, after its relocation to Goyang, Korea, the library has initiated check-out services to citizens and is currently developing a plan to provide services in the legal field. In this study, we have assessed the current situation at the Supreme Court Library as well as public libraries in Goyang. Furthermore, we have surveyed future users and legal experts to formulate a proposal for optimal literary composition and spatial composition, as well as library arrangement. Survey participants expected extensive provision of legal information regarding legal professions and the general publi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legal experts and users with respect to resources for the public; general citizens desire more materials related to general topics whereas legal experts expect more law-specific resources such as information regarding judicial precedents and court decisions, research articles. Furthermore, 80% of users expressed interest in utilizing the library; therefore, active efforts to improve its facilities will lead to successful operations of the libra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개인 관심분야 추적기법을 이용한 과학기술정보 개인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son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by User Interest Tracking Technique 한희준, 최윤수, 최성필 p.5-33

검색 언어가 웹 정보검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arch Language on Web Searching Behavior :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Web Searching Pattern : 웹 정보검색행위의 양상 차이를 중심으로 변제연 p.289-334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through Library Cultural Program : Focused on Eco Generation :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이경아, 김기영 p.335-361

국가도서관 정책정보 개발 전략 연구 = A Study on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Strategies for a National Library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을 중심으로 윤희윤, 장덕현 p.273-287

대학도서관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Developing a Leadership Scale for University Library Middle Managers 조성원, 이지연 p.91-119

디지털 독서 및 정보 리터러시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독서 및 정보 서비스의 방향 탐색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ading and Information Service through Analysis of Digital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Evaluation Items : Focusing on PIAAC and PISA : PIAAC와 PISA를 중심으로 박주현 p.61-89

법원도서관의 대국민서비스 개방에 따른 이용자요구 분석연구 = A Study on User Needs for Public Access to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곽승진, 노영희 p.215-246

사회복지 전문가 참여형 도서관 아웃리치 모델 개발을 위한 핵심 요소 도출 = Findings of Core Elements for Library Outreach Model of Social Workers in the Library 이혜원 p.363-390

생명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유형별 연구 생산성과 인용 성과 분석 = Research Productivity and Citation Performance of Researchers by Co-authorship Type in the Biological Sciences 김미진 p.149-169

심화독서용 서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ook Reviews for Further Readings 민경록 p.35-59

중국의 고문헌 관리 법제화의 조사 분석 = Research and Analysis of Enactment of China's Old and Rare Books Management 한미경 p.193-214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 = Awareness on the Establishing and Operation of the Makerspaces in School Libraries 강봉숙, 정영미 p.171-192

해외학술정보자원의 유통체계 개선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s in Korea 곽동철 p.121-147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 사용성 평가 = Usability Testing of Open Source Software for Digital Archiving 전경선, 장윤금 p.247-271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기도청. 2014. 『경기도 대표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및 운영방안 연구』. 경기도: 경기도청. 미소장
2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ibrary as a Multicultural Institution 소장
3 국립세종도서관. 2017.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세종: 국립세종도서관. 미소장
4 국립중앙도서관. 2014.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미소장
5 A Study on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Measure for Chungnam Representative Library 소장
6 An Exploratory Study of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소장
7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P University Library 소장
8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소장
9 Spatial Configuration Suggestions Based on Interpretation of Library Programs: A Study on Operations Plan in the National Sejong Library 소장
10 한국도서관협회. 2017. 『2017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11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소장
12 Bailin, K. 2011. Changes in Academic Library Space: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Journal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2(4), 342-359. 미소장
13 Standards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an Academic Library: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ibrari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