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930년대 海州의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식민 권력' = The expand of infrastructures of Haeju City and 'colonical powers' in 1930s / 서일수 1

[목차] 1

I. 머리말 1

II. 1930년대 전반 해주 '有志'들의 도시기반시설 유치 활동 4

1. 해주 유지들의 황해도 미곡 이출 거점도시 구상 4

2. 도시기반시설 유치 양상 10

III. 1930년대 후반 '대륙병참기지'정책과 도시기반시설 확대 18

1. 공업도시·'對河北交易都市' 해주의 '국책적 역할' 18

2. 도시기반시설 확대 양상 22

IV. 맺음말 29

참고문헌 33

ABSTRACT 3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광개토왕비와 집안고구려비의 비교 연구 = Comparative analysis of Gwanggaetowangbi and Jian Goguryeobi 정호섭 p.1-40

보기
18世紀 前半 平安道 儒生의 地域認識과 關西辨誣疏 事件 = Regional perceptions of P’yŏngando literati and the events of "Kwansŏ Pyŏnmuso" in early eighteenth-century Chosun 河明埈 p.41-81

보기
湖石 姜錫箕 父子의 대종교 신앙과 민족운동 = Gang Seok-gi and his sons' Daejongism and national movement 박걸순 p.83-115

보기
안재홍의 인류학 이론 수용과 조선 상고사 연구 = Study on the acceptance of anthropological theory and Korea ancient history by Ahn Jae-hong : focusing "Joseon Sanggosa Gwangyun(朝鮮上古史管見)" : 「朝鮮上古史管見」을 중심으로 채관식 p.117-154

보기
1930년대 海州의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식민 권력' = The expand of infrastructures of Haeju City and 'colonical powers' in 1930s 서일수 p.155-191

보기
해방 공간과 인민, 그리고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 Inmin(People) and the two momenta of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post-liberation South Korea 임종명 p.193-246

보기
북한의 위생방역제도 구축과 '인민'의식의 형성, 1945~1950 = The construction of epidemic prevention-hygiene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eople's consciousness" in North Korea, 1945~1950 김진혁 p.247-287

보기
1950~70년대 '사상계' 지식인의 분단인식과 민족주의론의 궤적 = The 'Sasanggye' intellectuals' nationalism and thoughts o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1950s-1970s 장규식 p.289-339

보기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조선총독부 내무국 토목과, 1939, 「의사속기록」 『제4회시가지계획위원회관계철(소화14년7월3일)(각도)』, 조선총독부 내무국 토목과(CJA0015674) 미소장
2 조선총독부 내무국 토목과, 1934, 「제2차궁민구제사업해주수도확장공사시행및국고보조의건」 『국고보조해주수도확장공사』, 조선총독부 내무국 토목과(CJA0015200) 미소장
3 조선총독부 내무국 토목과, 1939, 「해주시가지계획구역가로토지구획정리지구결정에관한건(도면첨부)」 『제4회시가지계획위원회관계철(소화14년7월3일)(각도)』, 조선총독부 내무국 토목과(CJA0015672) 미소장
4 『동아일보』 미소장
5 『매일신보』 미소장
6 『중외일보』 미소장
7 『조선일보』 미소장
8 京城帝國大學法文學部法學科附屬整理室 編, 『新聞切拔 : 朝鮮關係』 미소장
9 『朝鮮總督府 官報』 미소장
10 『朝鮮』 미소장
11 東亞經濟時報社, 1927~1941,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미소장
12 長崎惣之助, 1942, 『戰時經濟と交通運輸』, 東亞政經社 미소장
13 酉鮮日報支社 編, 1928.8, 『海州』 미소장
14 鈴木武雄, 1942, 『朝鮮經濟の新構想』, 東洋經濟新報社 미소장
15 朝鮮工業協會, 1940, 『最近に於ける朝鮮工業の展望』 미소장
16 朝鮮銀行 調査課, 1939, 『朝鮮の對支貿易に就いて』 미소장
17 朝鮮總督府 鐵道局 編, 1939, 『朝鮮鐵道ノ事業槪要』 미소장
18 海州保勝會 編, 1929, 『海州』 미소장
19 海州府 編, 1939, 『海州府勢一斑』 미소장
20 鮮交會, 1986, 『朝鮮交通史』 미소장
21 손정목, 1990, 『일제강점기도시계획연구』, 일지사 미소장
22 손정목, 1996, 『일제강점기 도시화과정연구』, 일지사 미소장
23 Chos?n’s trade with china since 1930's 소장
24 일제말기 지방·국토계획론과 경인시가지계획 소장
25 오호성, 2013, 『일제시대 米穀시장과 流通구조』, 경인문화사 미소장
26 竹內祏介, 2013. 6, 「朝鮮鐵道 黃海線 沿線市場의 物流構造 : 鐵道貨物輸送統計의 考察을 中心으로」 『韓日民族問題學會』24 미소장
27 허영란, 2011, 「식민지 도시개발과 지역사회 갈등의 변주-전남 여수의 도시화 과정」 『도시화와 사회갈등의 역사』, 심산 미소장
28 허영란, 2006, 「억제된 균열 : 일제시기 지역주민의 경험과 행위향식에 대한 고찰」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책과함께 미소장
29 홍순권, 2010, 「동래의 도시화 과정과 ‘주민대회’」 『근대도시와 지방권력: 한말·일제하 부산의 도시 발전과 지방세력의 형성』, 선인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