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리더십의 대안적인 개념인 공유 리더십, 진정성 리더십, 셀프 리더십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조직유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리더십 유형 중 어떤 리더십이 조직유효성 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가 있는가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전국의 대학도서관 중 10인 이상의 정규직 사서가 근무하는 55개 대학도서관 사서 275명을 대상으로 14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인 대안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영향 관계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도출되었고, 각 리더십의 종속변인에 대한 영향 차이에서는 셀프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지능의 조절효과에 관한 검증 결과 공유 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영역에 새로운 개념과 사실을 주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비교적 연구되지 않았던 대안적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개념들에 대해 이론적 관계를 도입하는 기여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Big6 모델 및 수정 모델 분석 연구 = Analysis of the Big6 Skills Model and the Modified Big6 Models 박주현 p.331-359

공공도서관 음식물 반입제한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Food and Drink Restriction in Public Libraries 윤희윤 p.33-53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의 실태와 개선방안 = Current Status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the Case of Online Service of Regional Central Libraries : 지역대표도서관의 온라인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은주 p.383-406

공유경제시대에서 도서관의 공유가치 실현을 위한 역할 도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 of Library for Realizing Sharing Value in a Sharing Economy Era 노영희, 정대근, 노지윤 p.133-168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 완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교육 서비스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School Library Educational Services to Reduce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Due to the Education Gap :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Ⅰ·Ⅱ 영역을 중심으로 강봉숙 p.307-329

국제 학술지 발간 개선을 위한 자매학술지의 분석 연구 = An Analysis of Sister Journal Characteristics for Enhancing the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Journals 오동근, Kiduk Yang, 여지숙, 박상후 p.219-240

대안적 리더십이 대학도서관 사서의 조직유효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Alternative Leadership on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a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차현주 p.361-382

독서치유 전문사서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양성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urriculum Design and Training Method for Fostering Librarians Specialized in Reading Healing 차성종, 황금숙, 김수경 p.77-109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적절한 선택과 조합을 위해 태스크 모델을 활용한 업무중심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 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 A Proposal for Creating Task-Centric Application Profile : Utilization of Task Model for Suitable Selection and Combination of Metadata Schema Properties 백재은 p.407-428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 The Structure of Research Article Conclus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김갑선 p.111-132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도서관 업무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brary Working Experience of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Focusing on the Case of Supporters at Library B : B도서관 서포터즈 사례를 중심으로 조미아 p.169-192

병영도서관 이용 및 독서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Military Library Uses and Reading Activities 장윤금, 전경선, 이혜영, 이지수 p.241-261

외국학술지지원센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oreig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ians in charge : 운영 담당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종욱 p.283-305

익산시 공공도서관 발전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Public Library in Iksan 이현실 p.429-458

중등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경험 분석 = An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Korean School Libraries 소병문, 송기호 p.55-75

택소노미와 CIPP 모형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우수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An Analysis of Ch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Program Employing Taxonomy and CIPP Model 강지혜 p.263-282

한국 문헌정보학은 건강한가? = What is Wrong with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이제환 p.1-32

해외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University Libraries in Other Countrie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aterials deposit and services : 자료이관과 자료제공을 중심으로 강은영 p.193-217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신유근. 2005. 『인간존중경영 : 조직행위론적 접근』. 서울: 다산출판사. 미소장
2 Effects of employees` perceptions of CSR Legitimacy on their citizenship behaviors: The role of moderation by CEO`s visionary Leadership 소장
3 이정근. 2012. 『조직유형별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학교조직, 관공서조직, 기업조직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of Hotel Employees:Moder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소장
5 A Study on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Alternative Leadership in University Libraries 소장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2016 대학도서관 통계 분석』.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소장
7 Avolio, B. J., & Gardner, W. L. 2005.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the root of positive forms of leadership.” Leadership Quarterly, 16: 315-318. 미소장
8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네이버 미소장
9 Critical questions in asses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네이버 미소장
10 Shared Leadership in Teams: An Investigation of Antecedent Conditions and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11 Organization Structure and Performance: A Critical Review 네이버 미소장
12 The influence of superleader behaviors on organization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self-esteem in a self-managed work team 네이버 미소장
13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미소장
14 Collective enactment 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네이버 미소장
15 Appearances do matter: Leadership in a crisis 네이버 미소장
16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네이버 미소장
17 Manz, C.C. 1992.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ellence.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미소장
18 Pearce, C. L., & Sims, H. P. 2002. “The relative influence of vertical vs shared leadership on the longitudinal effectiveness of change management team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2): 172-197. 미소장
19 Shamir, B. & Eilam, G. 2005. “What's your story: A life-story approach to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The Leadership Quarterly. 16: 395-4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