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진흙 위에서 천천히 피는 꽃 : 성인 장애자 대상 미술 수업에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성인 장애자에 대한 현상학적 경험 연구 = Flowers Blooming Slowly on the Mud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ors for Adult with Disabilities in Art Class / 김경순 인기도
발행사항
경주 :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09.01
수록지명
造形敎育. 제67권 (2018. 9), p.1-34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8217672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복지 시설의 성인 장애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 수업에서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위 범주는 5개, 하위 범주 16개가 도출되었다. 각 상위 범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장애자들은 신경 발달 장애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애들은 기관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일관성을 찾기 어렵다. 둘째, 성인 장애자들의 인지, 지각, 행동, 정서 발달 지체는 미술 수업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셋째, 수업에서의 장애적 현상은 혼합된 장애자 편성으로 인한 수업의 어려움, 돌발 행동, 미술 재료에 대한 반응의 차이, 제작의 어려움, 소통의 어려움, 부족한 학습 동기이다. 넷째, 장애자들은 다수가 선택한 것에 가치를 두며, 예술적 표현 활동을 향유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성인 장애자들은 인지, 정서, 행동 조절력에서 다양한 향상을 보였다. 이어 연구는 시사점과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대만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 An Analysis on High-school Art Textbooks in Taiwan 김은경 p.35-58
동시대에 대한 미술관의 대안적 전망 = Alternative Visitors of Museum on the Contemporary 김희영 p.59-70
미술이론과목 수업개선을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 설계 방안 = Suggestions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for Art Theory Courses 윤민희 p.121-146
미술중점학교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Researching about Oper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Visual Arts Oriented School : Focused on High Schools in Gyeonggi Area : 경기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지선, 강윤정 p.181-211
사회참여미술에 기초한 지역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Communit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 Based in Socially Engaged Art 이현정, 김선아 p.213-233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 지도 방안 = Teaching Program for Creating Landmark Sculptures with Local Symbols in High School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서민규, 심영옥 p.71-93
영유아기 소아암 치료 과정을 경험한 아동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Program for Pediatric Cancer Patients 유승희, 한경아 p.95-120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 이경하, 한경아 p.147-180
진흙 위에서 천천히 피는 꽃 = Flowers Blooming Slowly on the Mud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ors for Adult with Disabilities in Art Class : 성인 장애자 대상 미술 수업에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성인 장애자에 대한 현상학적 경험 연구 김경순 p.1-3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포스트휴먼 시대 미술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 및 시각화 방안 = A Study on Idea Creation and Its Visualization for Developing Art Imagination in the Posthuman Era 최은영, 이주연 p.235-262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기반한 박물관 교육담당자의 구성주의 박물관교육 실천 활동에 관한 분석 = Analysis of work practices of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 Using Activity Theory as a Conceptual Framework 최지혜, 강인애, 진선미 p.263-296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제2판). 서울: 학지사. 미소장
2 The Effect of MGL Traning to Promote the Gross Motors Skills and Fine Motor Skill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
3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Art Expression and Visual Perception Using K-DTVP-2 소장
4 민성길 외(2015). 최신 정신의학 (6판 3쇄). 서울: (주)일조각. 미소장
5 신진숙(2010). 지적장애아 교육. 서울: 양서원. 미소장
6 신민섭 외(2009).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서울: 학지사. 미소장
7 이소원, 이용표(2015).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장애인의 변화경험 연구. GRI 연구논총, 17(3), 35-71. 미소장
8 이소현, 박은혜(2017). 특수아동교육 (3판). 서울: 학지사. 미소장
9 통합 상황에서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전략 고찰 소장
10 지적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참여에 관한 질적 연구 소장
1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2017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평가위원 사전 워크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미소장
12 APA (2018).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 9쇄) (권준수 외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3 출판) 미소장
13 van der Kolk, B. (2018). 몸은 기억한다: 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 (제3판) (제효영 역). 서울: 을유문화사. (원저 2014 출판) 미소장
14 Creswell, J. W.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외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3 출판). 미소장
15 Moral Judgment in Retarded and Nonretarded School Age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16 Giorgio,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7 Hallahan, D. P., Kauffman, J. M., Pullen, P. C. (2014). 특별한 학습자를 위한 특수교육 (장혜성 외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2 출판) 미소장
18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London: SAGE Publications. 미소장
19 Polkinghorne, D. E.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R. S. Valle & S. Hall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psychology: Exploring the breadth of human experience (pp. 41-60). New York, NY, US: Plenum Press. 미소장
20 Prizant, B. M. et al. (2014). SCERT 모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종합적 교육적 접근. 서울: 학지사. (원저 2006 출판) 미소장
21 Van Manen, M. (1990).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신경림 역). 서울: 동녘. (원저1994 출판) 미소장
22 Von Spreti, F., Martius, M., & Förstl, H.(Hrsg.) (2012). Kunsttherapie bei psychischen Störungen. München: URBAN & FISCHER. 미소장
23 Wagner, S. (1999). Inclusive programming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Arlington, TX: Future Horizons Inc.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