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가 실시한 교수-학습 국제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3, TALIS) 중 교직 선택에 대한 교사 후회에 관한조사를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한국의 경우 중학교 교사가 참여한 이 조사에서 응답 교사의 20.1%가 교사가 된 것을 후회한다는 결과가 나오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었다. 교직 선택을 후회하는 교사 비율은 조사대상국 중 최고로 높은 수치로 이는 곧 교사의 낮은 사기와 만족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되었고 교원 정책에 대한 비판의 근거로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교사가 경험하는 후회의 감정은 매우 복잡한 현상이고 다양한 변인이 작용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이러한 단순한 해석이 갖는 위험을 지적하고 탐색적인 차원에서 대안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회(대안)와 후회, 정상(norm)과 후회, 후회의 기능이라는 3가지 영역을 검토하면서, 교사 후회 현상은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지적하고 관련 정책적 시사점도 아울러 모색하였다. 특히, 교사 후회는 교직 선택동기에 관한 연구, 교직을 선택한 시기에 관한 조사, 교직 선택이 당연한 집단이 가진 특성, 후회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사의 교직 행동 등과 관련지어 새롭게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후회 감정에 관련된 심리적 비교에서 고려되는 요소, 행위/비행위 사이 차이, 후회에 관련된 심리적 처리의 휴리스틱과 편향 등 후속 연구가 적절히 이루어질 때 교사 후회 현상에 대한 제대로 된 해석이 가능하고, 교사 후회 현상을 바탕으로 한 정책 개발 및 평가도 타당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In Search of the Reflection and Orientation of the Practicum in Korea Teacher Education Program | 소장 |
2 | 교육부(2015). 2015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12.1). | 미소장 |
3 |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2017). 교육통계연보. | 미소장 |
4 | study on the motiv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entrance into teachers college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 소장 |
5 | A Study on the Meaning of Student Teaching of Student-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s | 소장 |
6 | The Quantity and Quality of Korea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An Analysis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 소장 |
7 | 남궁미경(2011). 유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교직 몰입 및 교사 효능감에미치는 영향.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서민지(2017). 비사범계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진학동기, 희망진로 및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연구: 교직이수자와 교육대학원 재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Emotional Geographies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 소장 |
10 | 장유수(2010). 초등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경인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Study on Teacher Education System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소장 |
12 | 조선일보(2018). 교사 54% “좋은 선생님? 1년 무탈하게만 보내고 싶다”(5.15). 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5/2018051500111.html(2018년 7월 1일 접속) | 미소장 |
13 | 조석훈(2018). 학교와 교육행정.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4 | 중·고등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5 | 최수진(2017). 가정과 교사 되어가기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교사를 꿈꾸지않았던 세 가정과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한국교총(2010). 교육공동체 인식 설문조사. | 미소장 |
17 | 한국교총(2015a). “교사 된 것 후회” 비율 OECD 1위에 대한 교총 입장. 보도자료(2.10). | 미소장 |
18 | 한국교총(2015b). 제34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5.14). | 미소장 |
19 | 한국교총(2016). 제35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5.12). | 미소장 |
20 | 한국교총(2018a). 2017년도 교권회복 및 교직상담 활동실적. | 미소장 |
21 | 한국교총(2018b). 법원의 대구초등교사 벌금 800만원 선고에 대한 교총 입장. 보도자료(5.20). | 미소장 |
22 | 허주·최수진·김이경·김갑성·김용련(2015).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 연구:TALIS 2주기 결과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3 | Regret in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 |
미소장 |
24 | Assessing the Accuracy of Decisions ![]() |
미소장 |
25 | OECD(2014a). TALIS 2013 Resul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TALIOSE. CD Publishing. | 미소장 |
26 | OECD(2014b). Teachers love their job but feel undervalued, unsupported and unrecognized. Press release(25 June), OECD. | 미소장 |
27 | Looking Forward to Looking Backward: The Misprediction of Regret ![]() |
미소장 |
28 | The experience of regret: what, when, and why. ![]() |
미소장 |
29 | Varieties of regret: A debate and partial resolution. ![]() |
미소장 |
30 | Regret Regulation: Disentangling Self-Reproach From Learning ![]() |
미소장 |
31 | The Knowledge of What Might have Been ![]() |
미소장 |
32 | Regret appraisals, age, and subjective well-being ![]() |
미소장 |
33 | Protecting the self from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risky decisions. ![]() |
미소장 |
34 | The Psychology of Preferences ![]() |
미소장 |
35 | Kahneman, D., & Tversky, A. (1982b). The simulation heuristic. In D. Kahneman, P. Solovic, & A. Tversky (Eds.),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psp. 201-208).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Norm theory: Comparing reality to its alternatives. ![]() |
미소장 |
37 | Landman, J. (1988). Regret and elation following action and inaction:Affective responses to positive versus negative outcom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3(4), 524-536. | 미소장 |
38 | Landman, J. (1993). Regret: The persistence of the possible.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9 | Miller, D. T., Turnbull, W., & McFarland, C. (1990). Counterfactual thinking and social perception: Thinking about what might have been.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3, pp. 305-331). San Diego: Academic Press. | 미소장 |
40 | What We Regret Most... and Why ![]() |
미소장 |
41 | Mental simulation of causality. ![]() |
미소장 |
42 | Affective Forecasting ![]() |
미소장 |
43 | Perceived control of life regrets: good for young and bad for old adults. ![]() |
미소장 |
44 | Anticipated regret, expected feedback and behavioral decision making ![]() |
미소장 |
45 | The use of crying over spilled milk: A note on the rationality and functionality of regret ![]() |
미소장 |
46 | Consequences of Regret Aversion: Effects of Expected Feedback on Risky Decision Making ![]() |
미소장 |
47 | Comparing Service Delivery to What Might Have Been ![]() |
미소장 |
48 | A Theory of Regret Regulation 1.0 ![]() |
미소장 |
49 | Re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Regret and Responsibility ![]() |
미소장 |
50 | The inaction effect in the psychology of regret.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